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일
과거사
기왕지사
jinan
스페셜
"
지난
"(으)로 총 5,284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국도 첫발 뗀 '천연수소' 탐사...땅속 무한에너지
2023.06.28
고갈될 자원이다. 반면 천연수소는 화석연료가 아니라 지질 활동에서 만들어진다.
지난
해 10월 미국 지질조사국에서 내놓은 보고서에 따르면 천연수소의 추정 매장량은 수조 톤으로 인류가 수천 년 동안 쓸 양이다. 참고로 수소의 주된 용도인 암모니아 비료를 만드는 데 매년 9000만톤이 쓰인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시들해지는 과학영재학교 열풍
2023.06.20
빠르게 성장한 것은 그런 사회 분위기 덕분이었다. 그런데 이제 사정이 달라지고 있다.
지난
10년 사이에 영재교육 대상자는 12만 명에서 7만 명으로 40%나 줄었고 교육기관의 수도 반토막이 나버렸다. 다만 과학영재학교의 경우에는 앞으로도 2개교가 더 문을 열 계획이라고 한다. 학생과 학부모도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인구감소·의대쏠림·대학해체의 삼각파도에 휩쓸리는 대학
2023.06.07
전 대학설립준칙주의 시절과 조금도 다르지 않다. 서울·인천·경기를 제외한 지방대가
지난
달에 마감한 ‘글로컬대학’ 신청으로 몸살을 앓았다. 4년제 대학의 97%가 글로컬대학30 사업에 지원했다고 한다. 15년 동안의 등록금 동결과 신입생 충원의 어려움으로 돈에 목말랐던 지방대의 입장에서 ... ...
[표지로 읽는 과학] X선의 위대한 도약, 단 한 개의 원자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3.06.03
연구팀은 역사상 최초로 X선을 통해 단 하나의 원자를 포착하고 연구결과를 네이처에
지난
31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원자란 물질을 이루고 있는 가장 작은 구성단위로, 물질 구성에 기본이 되는 원소의 화학적 성질을 갖는 최소 단위이기도 하다. 그동안 육안으로 볼 수 없는 물질의 특징을 ... ...
[과기원은 지금] KAIST 반도체공학대학원 설립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6.02
KAIST 반도체공학대학원 홍보 포스터. KAIST 제공 ■ KAIST는 미래 반도체 산업을 이끌어나갈 세계적인 인력 양성을 위해 반도체공학대학원을 설립했다고 1일 밝혔다. 이 대학원 ... 전환 특성이 구현됐다는 설명이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머터리얼즈 호라이즌스'에
지난
달 16일 게재됐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과기 유공자 김성호 교수, 노벨상 불발된 사연
2023.05.31
수상자로 선정되는 순간 언론의 먹잇감이 될 게 뻔했다. tRNA 구조 규명이 있고 8년이
지난
1982년 아론 클루그는 전자현미경으로 핵산-단백질 복합체의 구조를 규명한 업적으로 노벨화학상을 단독 수상했다. 크릭과 페루츠 라인인 클루그는 다른 업적으로 보상을 받은 셈이다. 그래도 혹시나 한 ... ...
[과학게시판] 국립과천과학관, 벌집성단·화성 근접특별관측회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5.25
누리집을 통해 가능하다.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대전광역시 중·고교 학생
지난
25년간 지급한 장학금이 37억원에 이른다고 25일 밝혔다. 26일 개최된 '2023년도 사랑의 장학금과 장학증서 전달식'에선 15명의 장학생이 새롭게 선정됐다. 이날 전달식에선 기존 및 신규 장학생에게 장학금 총 ... ...
[과기원은 지금] KAIST, 고분자전해질 수전해 시스템에서 귀금속 촉매 성능악화 현상 규명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5.23
그린 수소 생산기술 저가화의 실마리를 찾은 KAIST의 연구. ACS 에너지 레터스 제공 ■ KAIST는 김희탁 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얇은 고분자 막을 분리막으로 사용하는 ... 빛으로 다시 전환하는 데도 성공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지난
12일 온라인 게재됐다 ... ...
[과학게시판] 한국-스위스 양자과학기술포럼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5.19
공동으로 ‘한-스위스 양자과학기술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지난
1월 윤석열 대통령이 스위스 취리히 연방공대에서 가진 ‘양자석학과의 대화’에 대한 후속조치다. '양자시대를 위한 준비'라는 주제로 열린 이날 행사에서는 한-스위스 양자 생태계 현황, 바젤 퀀텀 밸리와 제약산업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라거 맥주 시대를 연 결정적 장면들
2023.05.17
‘맥주 교황’으로 불린 독일 뮌헨공대의 양조학자 루드비히 나르치스 명예교수가
지난
해 11월 30일 97세로 타계했다. 1956년 나르치스는 각지에서 수집한 여러 라거효모 균주의 양조 특성을 평가한 결과를 담은 박사학위 논문을 발표했다. 그가 가장 뛰어나다고 평가한 TUM34(뒤에 이름을 W34/70으로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