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국제"(으)로 총 5,598건 검색되었습니다.
- 예쁜꼬마선충으로 ‘제6의 감각’을 찾다과학동아 l2019년 06호
- -1 채널과 TRP-2 채널이 자기수용감각의 수용체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 내용은 국제학술지 ‘플로스 바이올로지’ 2018년 6월 호에 게재됐다. doi:10.1371/journal.pbio.2004929 TRP-1과 TRP-2의 기능이 고장나도록 돌연변이를 유도한 예쁜꼬마선충은 직진하지 못하고 왼쪽으로만 움직였다. 김 교수는 .. ...
- [수학뉴스] 항공기 실종 사건 수학이 해결할까?수학동아 l2019년 06호
- 밝히며, 이 방법으로 바다에 잠겨있을 비행기를 찾길 기대하고 있습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카오스’ 4월 30일자 온라인판에 실렸습니다. ... ...
- [과학뉴스]우주여행이 코앞에? 민간 우주선, ISS 찍고 돌아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기술로 우주인을 ISS에 보낼 수 있게 됐다는 것도 중요하지요. 미국은 2011년 7월 이후부터 국제우주정거장에 우주인을 보내기 위해 러시아의 소유즈 우주선을 이용해야만 했는데, 우주인 한 명을 보내기 위해 8200만 달러(한화 약 919억 원)의 막대한 비용이 들었거든요. 크루 드래건은 5일 동안 ISS에 ... ...
- [통합과학 교과서] 행복한 왕자도 당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매우 많고 압력이 높아 다이아몬드 비가 내릴 수도 있어요. 독일 헬름홀츠 협회가 이끈 국제 연구진은 강력한 광학 레이저와 충격파를 이용해 해왕성의 내부와 비슷한 환경을 만들었어요. 그리고 탄소로 만든 플라스틱에 충격파를 준 결과, 충격파와 압력이 가해지면 탄소 원자들이 10억 분의 1m ... ...
- 하마 똥, 생태계 규소 순환 핵심과학동아 l2019년 06호
- 규소의 순환 과정을 분석한 결과 하마가 규소의 운반자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발견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5월 1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케냐 남서부 지역에 있는 마라강에서 하마의 배설물과 주변 식물, 강물을 채취해 동위원소희석분석법으로 각각에 함유된 규소 농도를 ... ...
- 새야, 박쥐야? 새로운 공룡 화석 발견과학동아 l2019년 06호
- 고척추동물고환경연구센터 교수팀이 깃털과 날개막을 동시에 가진 새로운 종을 발견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5월 8일자에 발표했다.중국 동북부 지역 랴오닝성에서 발견된 이 화석은 1억6300만 년 전 중생대 쥐라기에 살았던 수각류 공룡으로 밝혀졌다. 수각류는 티라노사우루스 같은 이족보행 ... ...
- MIT, 냉장고 열전달 효율 높이는 기술 개발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냉장고는 냉매가 액체에서 기체로 변하는 과정에서 주변의 열을 흡수하는 현상을 이용해 온도를 낮춘다. 기화된 냉매는 다시 응결되 ... 스테인리스, 구리, 티타늄 등 다양한 금속에 적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줄’ 5월 15일자에 실렸다. doi:10.1016/j.joule.2019.04.00 ... ...
- 게임이 무슨 죄? 청소년 게임 중독 질병일까, 아닐까과학동아 l2019년 06호
- 급속히 퍼졌다. 영국 과학전문지 ‘뉴사이언티스트’는 2017년 12월 세계보건기구(WHO)가 국제질병표준분류 11차 개정안(ICD-11)을 통해 과도한 게임 몰입을 도박이나 마약 등의 정신 장애와 동일한 질병코드로 분류하기 위해 준비 중이라고 보도하며 게임 중독에 쐐기를 박았다. WHO는 올해 5월 20~28일 ... ...
- [프리미엄] 부활한 돼지 뇌세포 생명의 경계를 흔들다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말했다. 뇌세포는 살아났지만, 뇌 기능은 못해세스탄 교수팀은 이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4월 17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doi: 10.1038/s41586-019-1099-1 이후 과학계에서는 뇌 연구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었다는 찬사와 함께 생명윤리 논란이 일었다. 세스탄 교수는 이번 연구에 대해 ... ...
- [수학 THE LOVE] 어디서나 사랑받는 팔방미인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사이버 실험 표본인 셈이다. 미분방정식으로 생체시계 모델 만들어김 교수는 국제학술지 ‘몰레큘러 셀’ 2015년 10월 1일자에 생체시계에 관한 논문을 발표했다. doi:10.1016/j.molcel.2015.08.022 1954년경 학계에 처음 보고된 생체시계는 몸에 시계가 있는 것처럼 생명체의 생명 현상이 24시간을 주기로 ... ...
이전1461471481491501511521531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