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로
신작로
차도
찻길
진로
레일
경로
d라이브러리
"
궤도
"(으)로 총 2,146건 검색되었습니다.
반덴버그 공군 기지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공군기지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와 샌프란시스코 중간에 위치하고 있으며,극
궤도
위성 발사와 미사일 테스트기지로 유명하다.1950년 한국전쟁 당시 보병훈련장소로 개발됐다가 1953년 2월에 폐쇄됐다.그러나 1956년 11월 미국 최초의 대륙간 탄도 미사일 기지로 선정되면서 화려하게 ... ...
솥 모양 해시계 앙부일구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대해 23.5도 기울어 있다. 또한 태양은 타원
궤도
를 부등속 운행한다(실은 지구가 타원
궤도
를 운행하는 것이지만 겉보기 운동은 태양이 운행하는 것으로 보인다). 태양의 고도가 변하는 것과 타원운동에 따른 부등속 운동으로 실제 하루의 길이는 정확히 24시간이 아니다. 1월1일은 하루가 24시간 2 ... ...
날카로운 불은 정사면체, 안정된 흙은 정육면체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나중에 알았을 것이다. 그는 ‘신비의 우주’를 출판하고 13년이 지난 1609년 행성들의
궤도
가 타원이라는 사실을 발견했다. 오늘날 정다면체를 플라톤이나 케플러와 같이 이용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하지만 자연 속에서 정다면체는 얼마든지 있다. 염화나트륨(소금)의 결정에서 정육면체와 ... ...
디지털로 세계를 묶은 인터넷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위해 컴퓨터시설과 데이터를 분산시키는 것. 당시 컴퓨터는 암호해석과 미사일
궤도
분석을 할 때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도구였다. 그런데 컴퓨터를 분산시키더라도 컴퓨터들을 연결하는 회선이 망가지면 역시 문제가 된다.고등연구계획국의 고민은 1962년 MIT의 리클라이더 박사가 해결해주었다. ... ...
찔레꽃은 붉지 않고 낮에 나온 달은 하현달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다 떨어져 빈 몸으로 돌아왔을 때 나는 보았다 단 한 번
궤도
를 이탈함으로써 두번 다시
궤도
에 진입하지 못할지라도 캄캄한 하늘에 획을 긋는 별, 그 똥, 짧지만, 그래도 획을 그을 수 있는, 포기한 자 그래서 이탈한 자가 문득 자유롭다는 것을(김중식의 ‘황금빛 모서리’(문학과지성사) 중 ... ...
움직이는 지구 변하는 우주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둘레를 공전하고 있으므로 반년 간격으로 두 번 관측을 함녀 태양을 사이에 둔 지구 공전
궤도
의 두 지점에서 별을 관측하는 것이 된다. 두 지점의 거리가 커지면 같은 거리의 별이라도 시차가 그만큼 커지며 따라서 관측이 쉬워지게 된다. 이렇게 해서 구한 시차를 '연주시차'라고 한다. 한편 너무나 ... ...
한국 우주시대를 개막한 아마추어위성 우리별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두번째 우리별은 1993년 9월 26일 우리별 1호가 탔던 아리안로켓을 타고 다시 지구
궤도
로 올라갔다.우리별 2호가 올라간 다음 인공위성연구센터에는 길고 긴 가뭄이 닥쳤다. 무궁화위성과 같은 실용위성은 우주에 발도 들여놓지 못하고 있는데 우리별 3호가 웬말이냐는 것이었다. 아마추어 소형위성은 ... ...
외계행성 직접 증거 포착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증거”라고 말했다.이번에 발견된 행성은 공전주기가 3.253일로 중심별에 매우 가까운
궤도
를 돌고 있다. 질량은 목성의 60% 정도. 그러나 행성의 반지름은 목성보다 63%나 커서 밀도가 매우 낮은 가스형 행성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렇게 커다란 가스형 행성은 중심별 가까이에서는 생성될 수 없기 ... ...
열 번째 행성 또다시 논란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거리는 약 0.5광년이라고 보고했다. 그는 또 새로운 행성의
궤도
가 현재의 행성들의
궤도
에 비해 매우 기울어져 있으며 공전 방향도 반대라고 밝혔다. 이 행성은 태양계 외곽을 지나던 떠돌이 별이 태양의 중력에 포획된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그러나 많은 천문학자들은 아직 회의적이다. “단지 두 ... ...
사자자리 유성우 관측가이드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유성우가 나타날 확률이 해마다 비슷하다고 알려지고 있다. 지난해 모혜성이 지나간
궤도
를 지구가 통과한 것은 혜성 통과 후 2백58일이었고, 올해 11월 18일은 혜성 통과 후 6백23일이 되기 때문에 올해도 유성우가 생길 확률이 높다고 보는 것이다.역사적으로도 ‘템펠-터틀 혜성’의 주기와 같은 3 ... ...
이전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