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높은사람"(으)로 총 4,795건 검색되었습니다.
- [life & Tech] 이젠 그만 깨고 싶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최근 인기 가수 ‘엠블렉’의 멤버 지오가 자신이 기면증을 앓고 있음을 고백했다. 그는 “노래를 듣다가 잠들 뿐만 아니라 고음 부분을 노래하다가 잠들기도 한다”고 말해 화제를 모았다.기면증은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갑자기 잠에 빠지는 질환이다. 정신을 집중해서 공부나 일을 해야 하는 ... ...
- 밀가루는 무죄!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저는 면 요리를 몹시 좋아합니다. 특히 요즘처럼 날씨가 추워지면 따뜻한 국물이 있는 국수가 자주 생각나지요. 다니는 길에 못 보던 국수 가게가 생기면 꼭 가서 맛을 보곤 합니다. 사실 국수만 좋아하는 건 아닙니다. 만두, 수제비 등 밀가루로 만든 음식은 거의 다 좋아합니다. 왜 하필 밀가루가 ... ...
- Part 1_ 우주를 팽창시키는 힘, 암흑에너지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우주는 점점 빠르게 팽창하고 있다. 이를 우주의 가속팽창이라고 한다. 도무지 이유를 알 수 없던 과학자들은 암흑에너지라는 게 있어 우주를 팽창시키고 있다는 이론을 세웠다. 아직 암흑에너지가 대세긴 하지만 한편에서는 암흑에너지란 없으며 우리가 알고 있는 중력이론을 수정하면 충분하다 ... ...
- 과학기술 인재에게 싱가포르는 기회의 땅과학동아 l2013년 12호
- “과학기술 분야에서 많은 기회가 싱가포르에 열려 있습니다. 특히 싱가포르는 문화와 인종의 용광로(melting pot)이기 때문에 다양한 나라 사람들과 흥미진진한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자신의 경력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11월 22일부터 이틀 동안 진행된 싱가포르 채용박람회 ‘리서치 버츄얼 커리어 ... ...
- [knowledge] 인류는 지금도 진화하고 있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인류는 지금도 진화하고 있나요?”강의를 하다 보면 자주 듣는 질문입니다. 인간은 문명과 문화를 이룩했고, 따라서 생물학적으로는 더 이상 진화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기 때문입니다. 생물학적인 차원을 초월한 고등한 존재가 됐다고 말이죠. 그런데, 정말 그럴까요. 우리는 진정 진 ... ...
- [수학뉴스] 단순한 코드로 만든 ‘돌고래 번역기’수학동아 l2013년 12호
- 우리 모두에게 고유의 이름이 있듯이, 돌고래도 서로의 이름을 부른다는 추측은 예전부터 있었다. 그런데 미국 국립수학및생물학연구소의 애릭 케르센바움 박사가 최근 이 주장에 대한 증거를 찾았다고 미국 공공과학도서관회보에 발표했다.케르센바움 박사는 우선 돌고래 20마리가 서로 이야기하 ... ...
- 러시아 운석우의 재구성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올해 2월 15일 러시아 우랄산맥 인근 첼랴빈스크 주 상공에서 일어난 유성체 폭발로 7000여 채의 건물이 훼손되고 1600여 명이 다치는 사건이 있었다(과학동아 2013년 3월호 ‘서울에 운석우가 떨어진다면’ 기사 참조). 운석이 무더기로 쏟아졌다 하여 ‘러시아 운석우’ 사건으로도 유명하다. 1908년 시 ... ...
- 미래의 선택, 통계로 결정한다!수학동아 l2013년 12호
- “선택한다는 게 뭐지?”어린왕자가 여우에게 물었어요.“선택은 여러 가지 길 중에 하나를 고르는 거야.”“하지만 어떤 길을 골라야 할지 모르겠는걸.”“어디로 가야할지 모를 때 높은 곳에 올라가 길을 살펴보잖아. 인생의 길에선 통계가 이런 역할을 해. 이참에 통계를 공부해 보는 건 어때?” ... ...
- ‘살인 진드기’와의 인터뷰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갑자기 더워진 날씨에 나들이 욕심이 부쩍 늘어난 닥터그랜마예요. 나무그늘 아래 아름답게 펼쳐진 잔디밭에 앉아 맛있는 도시락도 먹고, 시원한 바람도 쐬고~. 상상만 해도 정말 즐거운 거 있죠? 그런데 막상 공원에 갔더니 사람들이 없어요. 너무 더워서 그런가?잠깐, 뭐라고요? 무서운 ‘살인 진 ... ...
- Part ∥. 우리는 왜 입으로 딴짓을 할까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어류, 양서류, 파충류, 조류, 포유류의 입은 제각기 다른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그 안에서도 종에 따라 입은 그야말로 제각각이다. 입이 이렇게 제각각으로 발달한 것은 ‘잘 먹고 잘 살기’ 위해서였다. 먹이를 더 효율적으로 먹을 수 있도록, 남들이 안 먹어서 찾기 쉬운 먹이를 먹을 수 있도록, 먹 ... ...
이전1461471481491501511521531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