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박사"(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2017 UN청소년환경총회’에서 미래의 에코리더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총회인 만큼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다양한 방법도 배웠어요. 국토환경연구소 최동진 박사님, 서울대학교 한무영 교수님은 “샤워 시간을 줄이고 빗물을 재활용하는 것만으로도 기후변화를 막을 수 있다”고 말씀해 주셨어요. 환경보호를 위한 행동은 어른들만 할 수 있다고 생각했던 것을 ... ...
- [식물 속 동물 찾기] 복슬복슬 꼬부랑, 다람쥐꼬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겨울에도 초록빛을 잃지 않는 식물들이 있어요. 소나무과 식물과 나무나 바위에 붙어 사는 석송과 식물들이 대표적이죠. 그중에서도 동물을 닮은 식물이 있어요. 바로 ‘다람쥐꼬리’예요. 다람쥐꼬리의 생김새를 보면 바로 이름의 뜻을 이해할 수 있어요. 줄기에 뾰족뾰족 잎이 돋아나 있는데, 그 ... ...
- Part 4. 과학으로 빛 공해를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쓰면서도 빛 공해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어요. 한국조명연구원 임종민 박사는 “LED 조명에 렌즈나 반사판을 붙이면 빛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서 원하는 영역만을 정확히 비출 수 있다”고 말했어요. 이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사람이 있고 없음에 따라 가로등의 밝기가 자동으로 ... ...
- [공룡은 왜?] 단단한 머리뼈로 박치기를 쾅! 파키케팔로사우루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박치기를 했다는 주장이 다시 주목받기 시작했어요. 미국 위스콘신대학교의 피터슨 박사 연구팀이 파키케팔로사우루스 머리뼈화석을 연구한 결과를 발표했거든요. 연구팀은 파키케팔로사우루스 머리뼈화석 109개를 컴퓨터 단층촬영(CT)으로 살펴봤어요. 그 결과, 표본 중 22%에 해당하는 뼈화석에서 ... ...
- Part 2. 생태계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빛 공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공해는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빛 공해는 동물과 식물 등 생태계에도 영향을 미쳐요. 동물들은 밝은 불빛을 따라가다 포식자에게 쉽게 발견되기도 하고, 불빛이 번식을 방해해 개체수가 줄어들기도 해요. 또 식물들은 지나친 불빛 아래서 잘 자라지 못하거나 조명에서 나오는 열 때문에 손 ... ...
- Part 5. 빛 공해를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직접 빛 공해를 측정하자! 시민과학 프로젝트 빛 공해와 관련된 시민과학 프로젝트가 한창이에요. 먼저 국제우주정거장에서 찍은 밤하늘 사진을 분류하는 ‘시티스 앳 나이트(Cities at night)’ 프로젝트가 있어요. 2007년 스페인 마드리드 콤플루텐세대학교의 알렉산드로 산체스 연구원이 시작했지 ... ...
- Part 1. 빛 공해에 시달리는 전세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낮처럼 밝은 밤?! 빛 공해가 문제!햇빛이 아닌 인공적인 빛을 이용해 주위를 밝게 비추는 것을 ‘조명’이라고 해요. 아주 오랜 옛날, 인간이 불을 사용하던 때부터 조명의 역사가 시작됐어요. 이후 동물과 식물에서 얻은 기름으로 양초와 램프 등을 만들어 밤을 밝혔지요. 들은 더 밝고 안전한 조 ... ...
- Intro. 낮처럼 밝은 밤? 빛 공해를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친구들 안녕! 나는 잠자는 숲속의 공주님을 깨우러 온 왕자야.공주님을 만나기 위해 한걸음에 달려왔지. 이제 문을 열고 들어가서 입맞춤을 하면 되는데….엥? 뭐야? 공주님이 이미 깨어나 있잖아?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낮처럼 밝은 밤? 빛 공해를 막아라!Part 1. 빛 공해에 시달리는 ... ...
- Part 3. 사람의 건강을 위협하는 빛 공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눈의 피로부터 수면 방해까지!빛 공해는 사람에게도 피해를 줘요. 먼저 지나친 조명은 우리 눈에 피로를 느끼게 해요. 2014년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빛 공해 연구팀은 빛 공해가 눈의 피로를 증가시킨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어두운 방에서 잔 사람들보다 빛이 많은 방에서 잔 사람들에게서 눈 ... ...
- [현장취재] 지구에서 떠나는 화성 여행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미치 슐터 박사가 우리나라 친구들에게 보낸 메시지를 전해 줬어요. 영상에서 미치 슐터 박사는 “화성 탐사는 물론, 다양한 연구는 끊임없는 호기심에서 시작된다”며, “천체나 생물, 지질 등 주변에 관심을 갖고, 열심히 탐구하는 것이 과학자가 되는 첫걸음”이라고 말했답니다. 화성에 드론을 ... ...
이전1461471481491501511521531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