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화
이형
변질
변환
변전
변이
이상
d라이브러리
"
변형
"(으)로 총 1,753건 검색되었습니다.
3 홈PC 기본 소프트웨어 가이드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롬 판으로
변형
한 것이고, 엔카르타는 펑크와 왜그널(Funk&Wagnall)사의 29권짜리 백과사전을
변형
한 것이다. 영어로 된 백과사전 제품이 무슨 소용이 있을까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이들 백과사전에는 수천개의 사진과 음향, 비디오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영어를 잘 모르는 사용자에게도 훌륭한 ... ...
생물- 닭 골격표본 만들기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살을 제거할 때 같이 제거해 주세요. 이곳의 연골들은 뼈대를 말리는 동안 그 모양이
변형
돼 뼈와 뼈를 붙일 때 어려움을 줍니다.그러나 머리뼈 몸통뼈 척추뼈의 경우는 반대로 연골을 가능한 한 보존해야 합니다. 이들 뼈는 작은 뼈들이 모여 그 모양을 이루기 때문에 연골이 없으면 무척 손이 ... ...
수학난제 '페르마 정리'의 증명 과연 성공했는가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해를 논하는 일은 소박하고 고전적인 정수론의 문제다. 하지만 실제 그것은 단순한 식의
변형
과 같은 초등적인 방법으로는 도저히 들어갈 수 없는 어려운 문제다. 현대 수학은 그와 같은 소박하고 고전적인 정수론의 문제에 본질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고도의 단계에 도달한 것이다. 최후의 ... ...
1 크게 보면 같은 꼴-시작도 끝도 없다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정상우주론의
변형
인 준정상우주론에서는 우주는 늘 같은 꼴로 있지 않고 잠깐씩 진화할 수 있으나 거시적으로 보면 균질하고 등방이라고 주장한다. 이 모형의 최대장점은 대폭발이론에서 가정하는 암흑물질의 존재가 필요치 않다는 점이다.현대우주론에서 가장 많이 연구되는 우주진화모형은 ... ...
4 다리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단점이 있다. 이러한 하이브리드형 이동기구는 특수한 용도를 위해 개발되는 보행기구의
변형
된 형태라고 볼 수 있다.관절형 4각 보행기구의 개발 사례 중 가장 앞선 것으로는 히타치사가 개발한 4각 보행 기구를 들 수 있다. 히타치사에서는 원자로의 보수 등에 이용할 수 있는 로봇의 개발에 ... ...
사람의 마음 컴퓨터에 이식한다.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죽어 없어졌지만 당신의 마음은 컴퓨터에게 온전히 옮겨졌기 때문이다. 당신은 새롭게
변형
된 셈이다.모라백의 시나리오에 의하면 인간의 마음이 컴퓨터에 이식됨에 따라 상상하기 어려운 다양한 변화가 일어난다. 먼저 컴퓨터의 처리성능에 힘입어 사람의 마음이 생각하고 문제를 처리하는 속도가 ... ...
컴퓨터 프랙탈 그림특강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보게 된다. 실제로 꽃가지를 그리는 gift.mal 프로그램에서 사용된 18개의 숫자들을 약간씩
변형
시키며 그림을 그려보면 여러 형태의 비슷한 모양의 꽃가지를 보게 된다.이제 위의 꽃가지 그림과 관계되는 3개의 아핀변환을 반복적으로 실행시키면, 다음에서 보듯이 점점 꽃가지의 모습이 화면에 ... ...
3. '94년 빛낸 영광의 얼굴들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물리학상/브록하우스와 슐열중성자 산란 이용, 고체 결정 연구에 새길 터이들이 개척한 열중성자를 이용한 산란실험은 최근들어 물리학 재료공학 생명과학 등에 사용되 ... 이루어진다면 이 G단백질을 억제하거나 증폭시킬 수 있을 것이며 세포내 신호전달을
변형
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 ...
[2] 미지의 생체 네트워크-질병치료에도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나타내건 풍(風)이라고 간주한다. 임상적으로 중풍이나 중풍후유증 파킨슨씨병, 혹은
변형
성 척추증 등으로 인한 신경감각장애 등이 포함된다.둘째가 한(寒)이라고 하는 상태로서 인체의 어떤 부위가 차가운 것에 장기간 노출되었을 때에는 그 부위에 차가운 기(寒氣)가 나타나게 된다. 짐작컨대 ... ...
알기쉬운 미적분이야기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2}$ 이다.지금 2초 후에 떨어졌다 하면 t에 2를 대입해 떨어진 거리를 금방 알 수 있다. 2를
변형
해 2.1로 하면 s도 그에 따라 조금씩 변한다. 그리하여 △t와 △s가 나온다. △t를 더욱더 작게 하면서 매우 짧은 시간에 얼마만큼 낙하 거리가 증가하는 것인가 하는 것이 △s/△t 이다.△s/△t는 거리 ... ...
이전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