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슈] 위기탈출! 세 단어 주소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2호
- 먼저, 비슷한 발음이나 철자를 가진 단어가 한 주소 안에 담기지 않도록 했어요. 만약 비슷한 단어들이 있다면 각각을 서로 멀리 떨어진 곳의 주소에 사용해 사용자가 혼동하지 않게끔 했죠. 또 비교적 짧은 단어는 지하철역 주변이나 쇼핑몰 등 사람들이 많이 찾아가는 곳에 주로 사용했어요. ... ...
- [층간소음 줄이기 대작전] 소음 측정 방식을 바꿔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떨어뜨리는 방식이에요. 일본에서 많이 쓰는 다다미 바닥의 특성을 고려해 큰 충격력(약 4500N*)을 내도록 설계됐지요. 하지만 우리나라는 바닥 구조가 콘크리트로 이루어져 있어 충격력이 너무 크고 실제 어린이들 뛰는 발소리와도 차이가 크지요. 대안으로 나온 방법이 임팩트볼이에요. 2.5kg 고무 ... ...
- [이달의 과학사] 인류, 가장 깊은 바다에 도착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만들어진 구조예요. 마리아나 해구에서도 가장 깊은 ‘챌린저 해연’은 깊이가 약 1만 920m예요. 에베레스트산(해발 8849m)을 통째로 넣고도 2000m 정도 남을 정도로 깊지요.심해 잠수정 ‘트리에스테’는 자크 피카르가 아버지 오귀스트 피카르와 만들었어요. 잠수정을 제작한 이탈리아의 도시 이름을 ... ...
- [하야부사 2호] 왜 류구를 찾아갔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관한 중요한 단서를 갖고 있을 것으로 추정돼요. 류구는 C형 소행성 중에서도 지름이 약 896m로 비교적 크고, 지구와 거리도 가까워 탐사선이 적은 연료를 가지고 접근할 수 있기에 하야부사 2호의 탐사 대상으로 선정되었어요. 하야부사 2호의 탐사 활동으로 과학자들은 초기 태양계와 지구의 형성, ... ...
- [쇼킹 사이언스] 2000년간 보존된 인간의 뇌, 그 비결은 유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척수도 유리화되어 구조가 그대로 보존되어 있었어요. 뇌는 단백질로 구성돼 있어 열에 약해요. 뜨거운 열기에 닿으면 구조가 변하거나 파괴되기도 하죠. 그런데 유해의 뇌 신경 세포는 어떻게 파괴되지 않고 온전한 구조를 유지할 수 있었을까요? 연구팀은 “유해 주변에서 숯이 발견됐다는 점을 ... ...
- [수학뉴스] 빅데이터로 본 표정, 국적은 달라도 70%는 비슷하다!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있는 43개 근육이 움직여 수천 가지의 표정을 만들 수 있으며, 문화적인 차이에 관계없이 약 70%의 표정을 공유한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연구에 참여한 대처 켈트너 UC버클리 심리학과 교수는 “인간이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은 보편적이라는 찰스 다윈의 연구를 뒷받침하는 결과”라고 말했습니다 ... ...
- [수학뉴스] 화산폭발 규모, 우산 모양 화산재 구름으로 추정한다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추정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다시 화산폭발의 규모를 재구성하는 방식입니다.연구팀은 약 2500년 전 폭발했던 에콰도르의 풀룰라우아 화산의 사례를 이번 수치 모형에 적용했습니다. 그 결과, 풀룰라우아 화산에서 분출된 쇄설물은 질량이 2.5×1011kg이나 됐고, 우산 구름의 반지름은 10km, 구름 기둥의 ... ...
- [하비맨] 드론 한 마리 몰고가세요~!수학동아 l2021년 02호
- 2개씩 같은 방향으로 돌아가도록 설계됐죠. 그래서 회전하지 않고 움직일 수 있습니다. 만약 프로펠러의 개수가 홀수면 어느 한 방향에 대한 힘이 세져 한쪽으로 회전하기 쉽습니다. 그럼 프로펠러를 2개만 달면 되지 않냐고요? 프로펠러가 4개인 드론은 상하, 좌우, 전후 방향 모두자유자재로 ... ...
- [이달의 우주 날씨] 보름달아, 내 소원을 들어줘!수학동아 l2021년 02호
- 공전하고 있어요. 지구와 달의 거리는 가장 가까울 때는 약 35만 6400km, 가장 멀 때는 약 40만 6700km 떨어져 있어요. 달이 가장 크게 보일 때는 가장 작게 보일 때보다 지름은 14% 더 길고 30% 더 밝답니다.하지만 달이 크게 보이는 시기가 항상 보름달이 뜨는 시기와 일치하지는 않아요. 달의 공전 궤도가 ... ...
- ‘집콕’으로 다시 주목받는 '시민과학 프로젝트'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연구하거나 기후, 환경, 지리 조사 등에서도 널리 활용되며 과학연구 전방위에서 활약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 국내에서는 해외만큼 시민과학 문화가 자리 잡지 못한 상황이다. 다양한 분야의 시민과학 프로젝트가 진행됐지만 아직 연구의 질과 양은 해외 선진국과 비교하면 부족한 실정이다. ... ...
이전1461471481491501511521531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