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달"(으)로 총 4,27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중장비, 도시를 지탱하다과학동아 l2013년 10호
- 한쪽 입구를 10kg의 힘으로 누르면, 넓이가 10cm2 인 반대쪽 입구에는 100kg의 힘이 전달된다.이런 유압실린더가 굴착기 팔의 관절마다 달려 있다. 굴착기 팔은 붐, 암, 삽 등 세 부분으로 이뤄져 있다. 삽을 다른 것으로 바꿔 달기만 하면 용도가 다양해진다. 콘크리트를 부수는 ‘브레이커’는 질소 ... ...
- 우리는 외계에서 왔을까?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수 있을까. 연구팀은 마찰열로 인해 바위 표면은 녹겠지만, 깊숙한 곳까지는 뜨거운 열이 전달되지 않을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실험을 주도한 디나 파시니 연구원은 “훗날 외계 행성에서 발견한 생명체가 우리와 친척일 가능성도 있다”며 “과연 둘 중 누가 누구를 낳았느냐 같은 질문을 던질 수 ... ...
- 수학 실력과 재미, 독서로 잡는다!수학동아 l2013년 10호
- 진행하는 동안 나머지 학생들은 상대편의 주장에 반박할 내용을 찾아 발표자들에게 전달했다.찬성 측에서는 의로운 사람의 정의를 설명하며, 셈도사가 다른 사람을 도운 사례를 제시했다. 반대 측에서는 대가를 줄 수밖에 없는 상황을 셈도사가 만들었다고 반박하며, 설전을 벌였다.이현희 ... ...
- Part 1. 출항 : 우주보다 복잡한 지도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뇌의 기능을 모든 측면에서 점점 더 빨리 이해하게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대상은 신경전달물질부터 유전자, 단백질, 뉴런의 전기적 특성, 시냅스와 회로, 그리고 ‘기능’ 등 뇌를 구성하고 뇌가 작동하는 모든 단계를 포함한다.휴먼브레인프로젝트는 2005년 ‘블루브레인’이라는 인공뇌 연구로 ... ...
- 흡혈파리에 팔을 내밀다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정확하게는 기생충에 관한 다큐멘터리다. 기생충에 대해 이야기하려면 기생충을 전달하는 매개동물, 특히 파리와 모기가 중요했다. 모기는 지구에서 가장 위험한 생물이라고 할 정도로 다양한 기생생물의 매개곤충이고, 말라리아, 황열병, 뎅기열, 뇌염 등을 옮긴다. 체체파리는 수면병 ... ...
- 신화의 세계를 구하라! 퍼시 잭슨과 괴물의 바다수학동아 l2013년 09호
- 전달한다. 순종 둥근 콩 RR과 순종 주름진 콩 rr을 교배하면, 자손에게 각각 R과 r을 전달해 Rr이 태어난다.Rr은 둥근 유전자 R과 주름진 유전자 r을 모두 갖고 있지만, 둥근 완두콩으로 나타난다. 이렇게 밖으로 드러나는 형질을 ‘우성’, 드러나지 않는 형질을 ‘열성’이라고 한다.우열의 법칙에 ... ...
- 배터리 닳는 속도가 LTE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수 있지만 마그네슘이온(Mg2+)은 전자 2개를 운반할 수 있기 때문에 고에너지를 저장하고 전달하는데 유리한 부분이 있다. 하지만 이온결합의 개수가 많아 결합력이 강해 충전과 방전이 힘들다는 단점을 극복해야한다.리튬이온전지에 이은 차세대 2차 전지를 찾기 위한 경쟁은 이미 시작된 지오래다. ... ...
- 수학 모르면 괴물? 프랑켄슈타인의 비밀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3년 09호
- 그림의 일부만 보더라도 전체를 연상할 수 있다는 점이다. 바로 여러 뉴런에서 정보를 전달해 주기 때문이다. 이 점을 모방해 만든 것이 인공신경망이다. 사람의 뇌가 뉴런으로 이루어진 것처럼, 인공신경망은 인공뉴런으로 이루어져 있다. 인공뉴런은 입력값 $x₁, x₂, x₃$이 들어오면 정보의 ... ...
- [독자탐방] 똑똑한 길을 만드는 교통신호체계의 비밀수학동아 l2013년 09호
- 추석마다 고향으로 향하는 길, 꽉 막혀서 가도 가도 끝이 없다. 이 귀성길을 시원하게 뚫을 수는 없을까? 교통신호 체계를 개선하는 것만으로 어느 정도 가능하다는데 ... 되었어요. 권도연 기자는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가며 도로교통공단이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잘 전달했습니다 ... ...
- 현존하는 20세기 최고의 수학자, 장 피에르 세르수학동아 l2013년 09호
- 교수를 보기 힘들었고, 대부분의 교육은 은퇴 연령에 가까운 노교수들이 맡았다. 학문의 전달과정에 공백이 생기자, 젊은 연구자들은 지적인 갈증을 느꼈다. 그래서 1930년대 중반에 프랑스 젊은 수학자들이 결집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수학자들의 비밀결사를 만들고 이를 ‘부르바키’라고 ... ...
이전1461471481491501511521531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