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패스
합격
허가
투과
가결
통행
성취
d라이브러리
"
통과
"(으)로 총 2,93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유니버설 백신 디자인을 향해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백신은 몸속에서 M2에 대항하는 항체를 만든다. M2항체는 M2단백질에 붙어 수소이온이
통과
하지 못하도록 막는다. 따라서 바이러스는 더이상 숙주세포인 인간의 몸에서 살아남을 수 없다. 과학자들은 M2단백질 항원의 표피인 M2e단백질 항원을 백신의 재료로 이용한다.살렘 교수팀이 쥐에 유니버설 M ... ...
대한민국 안전을 책임진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감지할 수 있다”며 “붕괴 가능성을 정확히 예측하기 위해서는 시설안전계측표준을
통과
한 측정장비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금속조각과 광섬유로 안전진단터널이나 다리는 차가 지날 때마다 진동한다. 지속적으로 진동을 받는 시설물은 기울어지거나 휘고, 심지어 잔금이 가기도 한다. 문제는 ... ...
젊은 운동선수 노리는 '암살자'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 진동 검출 등에 쓰이지만 공진자로서 사용할 때는 특정 주파수의 전파만 선택적으로
통과
시킨다1874~1934 소련의 화학자 28~30년에 페테르부르크 대학 합성고무 연구실을 주재했으며, 34년 소련 과학 아카데미(1932년 아카데미 정회원)의 고분자 연구실 설립을 주도했다불포화 탄화수소의 중합, ... ...
산할아버지 구름모자의 비밀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기온이 매우 낮아 권운과 권적운은 대개 작은 얼음 알갱이로 이뤄진다. 햇빛이 이 구름을
통과
할 때 얼음 알갱이에 굴절되며 무지개가 나타난다. 작은 얼음 알갱이가 프리즘 역할을 하는 셈이다. 즉 채운은 구름이라기보다 햇빛이 만든 무지개일 뿐이다.권운이나 권적운이 있다고 무조건 채운이 ... ...
부작용은 신의 선물?!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거추장스러운 부작용이 새롭게 탈바꿈한 셈이다. 지금까지 미녹시딜은 FDA의 검정을
통과
한 유일한 국소용 발모제다. ‘기형아’ 파동 딛고 다시 우뚝 선 탈리도마이드우연히 관찰된 부작용을 활용해 신약을 개발한 사례와는 달리, 기형아를 유발하는 위험한 약임에도 불구하고 그 부작용을 적극 ... ...
술 마신 사람은 시동 못 거는 자동차 탄생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알코올 감지 센서를 무사히(?)
통과
한 운전자는 계기판 중앙에 달린 카메라 테스트를
통과
해야 한다. 카메라가 실시간으로 운전자의 얼굴을 찍어 눈이 깜박이는 횟수를 측정하기 때문. 운전자가 졸고 있다고 판단되면 곧바로 요란한 경고음이 울리고 안전벨트를 순간적으로 조여 운전자를 단단히 ... ...
PART1 수학을 알면 돈이 보인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다양한 금융상품이 우후죽순처럼 쏟아지는 지금. 현재의 돈이 시간이라는 ‘마법’을
통과
하며 어떻게 늘어날지 정확히 내다보기 위해서는 수학에 바탕을 둔 과학투자가 절실하다.은행 금리가 최고 5% 수준에 머물러있자 투자자들은 좀 더 수익률이 높은 금융상품을 찾아 나섰다. 흔히 투자는 ... ...
거짓말을 멈출 수 없는 이유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쿵쾅쿵쾅 뛰거나 식은땀이 흐르는 생리적 변화가 없기 때문에 거짓말탐지기도 무사
통과
한다. 그래도 자기공명영상장치(MRI)를 피해갈 수 없다. 뇌의 전두엽이 이들이 거짓말을 하고 있음을 말해주기 때문이다.2005년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 심리학과 야링 양 박사팀은 병적으로 거짓말을 많이 하는 ... ...
강 돌고래가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호(61712), 4호(611021)는 각기 궤도에 올랐다 6호 이후는 비밀위성이다 원자 또는 미소립자의
통과
를 감시하는 장치 입자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입자와 검출기의 재료 사이에 상호작용이 있어야 한다이 검출기들은 여러 가지 입자의 수, 입자의 성질 및 운동에 관한 정보와 입자와 복사 사이의 상호작용에 ... ...
뮤지컬 CATS로 본 고양이 생활백서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하지만 명암을 구분하는 간상세포는 개보다 더 많다.특히 망막 뒤편의 반사판은 망막을
통과
한 빛을 거울처럼 다시 망막으로 반사해 어둠 속에서도 잘 보이게 해준다. 밤에 고양이의 눈이 빛나는 것도 이 때문이다.예민한 수염도 시각을 보완해준다. 고양이는 눈을 가린 채 장애물을 피할 수 있고 ... ...
이전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