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사
뉴스
"
미국 항공 우주국
"(으)로 총 2,226건 검색되었습니다.
3D 프린터로 찍어낸 미래 우주기지 엿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03
우주 공간은 어떤 모습일지 관심이 커지고 있다.
미국항공우주국
(NASA)은 우주에서만 조달한 재료로 우주에 직접 건설하는 우주기지의 청사진을 지난달 28일(현지시각) 공개했다. NASA가 주최하고
미국
브래들리대가 주관하는 이 대회는 우주에서 인간이 살 수 있는 건축물을 짓기 위해 우주에서 ... ...
美·EU, 화성에 생명의 지표 ‘메탄’ 확실하게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02
방출량이 계절마다 달라지고 있다.NASA 제공.
미국항공우주국
(NASA)의 화성탐사선 큐리오시티와 유럽
우주국
(ESA)의 마스 익스프레스가 각각 하루 차이로 같은 위치에서 메탄을 탐지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그간 화성에서 메탄을 발견했다는 발표는 여러 차례 나왔지만 이번처럼 하루 간격으로 같은 ... ...
“토성 고리 내부 소형위성, 고리와 다른 위성 먹고 자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29
얼음 화산에서 온 것으로 드러났다. 보니 버애티
미국항공우주국
(NASA) 제트추진연구소 행성과학부문 연구책임자팀은 2017년 임무를 종료한 NASA의 토성 관측 탐사선 ‘카시니’ 호가 2016년 12월부터 2017년 4월 사이에 토성에 가까이 접근하면서 측정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토성 고리 궤도의 소형 위성을 ... ...
펜스 부통령 "美, 5년 내로 달에 우주인 보낼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03.27
등 이유로 발사 계획이 2020년으로 미뤄졌다.
미국항공우주국
제공 트럼프 행정부가 달 탐사 계획을 빠르게 앞당기는 이유는 중국을 염두에 든 움직임이라는 분석이다. 중국이 올해 초 인류 최초로 달 탐사선을 달의 뒷면에 내려앉히는 데 성공하는 등 성과를 보여주자
미국
이 반격에 나섰다는 ... ...
하늘에선 제트기, 우주에선 로켓처럼 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26
있으리란 기대다. 유럽
우주국
(ESA)는 14일 영국
우주국
(UKSA)과 공동으로 영국 엔진개발업체 ‘리액션 ... 있다. 초음속 제트기의 기술로 활용될 수 있어
항공
사들도 관심을 갖고 세이버 개발에 투자하고 ... 2650만 파운드(약 396억 원) 규모의 투자를 했다.
미국
국방부 산하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도 ... ...
우주복이 뭐길래…세계 첫 여성우주인만으로 꾸려진 우주 유영 취소
동아사이언스
l
2019.03.26
맞는 우주복이 없다는 이유로 돌연 취소됐다.
미국항공우주국
(NASA)은 이달 26일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의 우주 유영 임무 일정을 공개하면서, 29일로 예정됐던 우주 유영 임무에 참여할 우주인을 여성 우주인 앤 매클레인에서 남성 우주인 닉 헤이그로 교체한다고 밝혔다. 당초 29일 우주 유영 ... ...
인류가 확인한 외계행성 4000개 돌파…후보 2866개도 등재 진행中
동아사이언스
l
2019.03.25
3월 들어 4000개를 돌파했다. 이중 절반 이상은
미국항공우주국
(NASA)의 케플러 우주망원경으로 발견했다. 행성 사냥꾼이라고도 불리는 케플러 우주망원경은 2009년에
미국
플로리다 케네디우주센터에서 발사돼 지구에서 6500km 떨어진 테양궤도를 돌며 외부행성을 찾아냈다. 발사 후 3.5년동안 ... ...
소행성 가보니 다른 곳은 '축축', 한 곳은 '바짝'
동아사이언스
l
2019.03.22
튀어나온 부분을 붉게 칠했다. NASA 같은 날
미국항공우주국
(NASA)은 2016년 발사돼 지난해 12월 소행성 ‘베누’에 도착한 소행성 탐사선 ‘오시리스 렉스’의 첫 탐사 결과를 ‘네이처’를 통해 공개했다. 베누는 지름이 492m인 팽이 모양 소행성으로 이번 세기 말에 지구와 충돌할 가능성이 2700분의 1 ... ...
"물, 소행성 기원설 수정될 듯" 美·日 주도 소행성 탐사 첫 분석결과 나란히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9.03.20
1억~10억 년 사이에 생성됐을 것으로 추정됐다.
미국항공우주국
(NASA)의 소행성 탐사선 ‘오시리스 렉스’가 조사한 소행성 ‘베누’의 표면 특성은 다양하다. 비균질한 특성과 표석의 존재, 작은 충돌구가 부족한 점 등을 통해 연구팀인 베투가 비교적 최근 탄생했을 것이라 추정했다. 류구와 달리 ... ...
러·美 사이 베링해 상공서 대형 유성 폭발…100년마다 두세번꼴 희귀사건
동아사이언스
l
2019.03.19
대형 불덩어리 유성이 폭발했다. 19일 BBC는
미국항공우주국
(NASA)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18일 오전 12시경 지름 5m 미만의 유성체(대기권에서 불타기 직전의 작은 소행성 조각)가 7도 각도로 대기권에 초속 32km로 접근하다 베링해 상공 25.6km 지점에서 17만3000톤(t)의 충격에너지를 주며 폭발했다고 전했다 ... ...
이전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