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인
수락
접수
수납
수령
승인
시인
뉴스
"
수용
"(으)로 총 1,923건 검색되었습니다.
잔류농약, 바이러스로 확인
과학동아
l
2018.04.16
국내에서 개발됐다. 정호상 재료연구소 선임연구원이 이끄는 연구팀은 박테리오파지
수용
체와 은 나노선을 활용해 농식품 내 잔류농약을 선택적으로 검출하는 방법을 개발해 재료화학분야 국제학술지 ‘ACS 응용물질 및 계면(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 3월 13일자에 발표했다. GIB 제공 ... ...
[표지로 읽는 과학] 나무는 어떻게 겨울잠을 잘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4.14
겨울이 되고 식물이 빛에 노출되는 낮의 길이가 줄어들면 아브시스산과 해당 호르몬
수용
체가 늘어나면서 반응이 증폭되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런 변화는 세포 사이 구멍을 막아 원형질 연락사가 통신을 중단시키는 원인이 되는 것이다. 세포 사이 구멍이 막히면 식물체 내에서 성장 촉진 신호를 ... ...
‘바이오 굴기’ 中, 느슨한 규제 속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임상시험 독식?
동아사이언스
l
2018.04.06
물질을 체내에 주입하면 면역T세포의 DNA가 암세포를 인식해 제거할 수 있는 ‘키메라항원
수용
체(CAR)’를 발현하도록 교정된다. 암에 대한 면역 기능을 강화하는 CAR-T 치료제에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를 활용한 경우다. 항저우암병원은 지난해 3월부터 중국의 제약사 안후이 케드진 ... ...
놀라운 바퀴의 생존 비결, 유전자에 있었네
동아사이언스
l
2018.03.21
사회와 비슷하게 역할 분담을 하는 특성)이 없었다. 리 박사는 e메일 인터뷰에서 “화학
수용
체 시스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진사회성을 지녔다는 증거는 아직 없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기후변화와 함께 바퀴의 피해가 점점 심해지고 있다”며 “게놈 연구 결과로 이들(의 번식)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곰팡이 호흡기 감염 막는 면역 작용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3.18
이름을 붙였다. 곰팡이와 처음으로 맞닿는 상피 세포에서 많이 발견됐다. 이 세포
수용
체가 곰팡이의 DHN-멜라닌을 인식하면 이 때부터 감염을 막는 면역 반응이 시작된다는 것을 찾아냈다. 연구팀은 “마우스 모델에서 이 곰팡이의 감염을 막기 위해서는 반드시 MelLec가 필요했다”며 “쥐 뿐만 ... ...
“인공지능이 인류 멸망시킬 수도”…경종 울렸던 스티븐 호킹 박사
동아사이언스
l
2018.03.15
활약했다. 그는 늘 “과학기술을 진보시키기 이전에 대중과 사회가 그에 따른 변화를
수용
할 수 있는 준비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과학기술이 인류에게 위협이 돼선 안 된다는 뜻이다. 특히 인공지능(AI) 위험성에 대해 강력하게 경고했다. 지난해 11월 포르투갈 리스본에서 열린 ‘웹 서밋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푸른' 종소리 '보는' 공감각의 비밀 풀렸다
2018.03.13
이 단백질은 인테그린
수용
체의 일부를 이루는데, 축삭성장원뿔에 있는 인테그린
수용
체는 뉴런이 세포 밖의 화학적 유도신호를 감지해 반응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결국 이런 유전자들의 변이로 변이 단백질이 만들어지거나 단백질은 동일하더라도 양이 달라져 뉴런의 축삭이 뻗어 나가는 ... ...
항암제를 원하는 곳에 원하는 만큼...빛으로 조절하는 스마트 나노 전달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3.05
“항암제를 조절해 사용할 수 있어 항암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수용
액 상의 나노 소포체의 투과 전자 현미경 사진 -사진제공 기초과학연구원 ... ...
깃털 닿는 느낌도 생생히! 피부 닮은 정교한 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2.27
사실에 주목했다. 피부는 크게 두 가지 자극을 동시에 느길 수 있다. 서로 다른 종류의
수용
체를 지니고 있다는 뜻이다. 하나는 자극이 주어진 순간과 사라지는 순간에만 느낄 수 있는 자극으로, 파시니 소체와 마이스너 소체가 담당한다. 피부에 가벼운 깃털이나 머리카락이 닿은 경우가 대표적이다. ... ...
면역세포가 오히려 조직 파괴… KAIST, 방관자 면역세포의 인체 손상 원리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02.21
방관자 면역세포들을 활성화시킨다. 이후 활성화된 방관자 면역세포들은 NKG2D 및 NKp30
수용
체가 발현돼 독성 단백질이 분비되고 결국 간세포가 손상을 입게 된다. 본 연구 결과는 급성 바이러스 감염에서 일어나는 과도한 인체조직 손상의 원인을 밝혀낸 최초의 연구 사례다. 이후 바이러스 감염 및 ... ...
이전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