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방
석방
방면
독립
자유자재
여지
기회
뉴스
"
자유
"(으)로 총 1,620건 검색되었습니다.
Happy Birthday, 보이저 1호!
2014.09.05
흘러나오는 모습을 찍어 위성의 화산활동을 처음 확인했다. 보이저 1호가 행성 사이를
자유
자재로 누비며 탐사할 수 있었던 건 ‘중력 보조’라는 항법 기술 덕분이다. 중력 보조는 탐사선의 추진력을 사용하지 않고 행성이 탐사선을 끌어당기는 중력을 이용해 행성에 가까이 다가갔다가 탈출할 ... ...
바이러스 감염 공포, 벗어날 방법은 이것 뿐!
2014.08.22
1m) 크기의 바이러스만 걸러내는 초미세 구멍을 가진 필터를 만들려면 나노 단위를
자유
자재로 제어하는 나노 기술이 필수다. 바이러스의 존재 여부를 확인했다면 종류도 알아내야 한다. 가령 신종 인플루엔자 감염 여부를 확인하고 싶다면 지금은 병원에서 데스크톱PC 크기의 장비로 역전사 ... ...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수학 개념보다 수학의 역사와 활용 먼저 배워야”
2014.08.20
맞아 관련 강연이 잇달아 열렸다. 초청 강연자로 나선 군터 지글러 독일 베를린
자유
대 교수는 수학이 무엇인지 ‘제대로’ 가르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글러 교수는 “학생들이 수학을 좁은 관점에서 이해해 셈법이나 기하 정도만 배우면 충분하다고 생각한다”며 “수학이 어떻게 ... ...
유독가스·전염병바이러스 한 번에 검출한다
2014.08.10
방식이다. 금이나 은 나노입자 표면에 물질이 흡착되면 금속 나노입자 표면에 있는
자유
전자들의 공명한다. 여기에 빛을 쪼여주면 입사된 빛이 수백 배 이상 증폭되는 물리적 현상을 이용한 것. 산란광의 세기를 극대화할 수 있는 금 나노입자간 거리 정량화 할 수 있다면 생화학 센서 등의 ... ...
입는 컴퓨터 상용화 성큼… 트랜지스터 성능 700배 높였다
2014.08.10
전자기기가 각광 받고 있다. 옷을 입듯 착용한 전자기기가 자연스러우려면 옷처럼
자유
자재로 휘어지는 ‘플렉서블’한 특성이 필수인데, 이를 가능하게 하는 ‘휘어지는 반도체’ 유기반도체의 작동 메커니즘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아 기술 개발에 한계로 작용했다. 김봉수 KIST 하이브리드 ... ...
2014년 여름, 우리가 바다로 나가는 까닭은?
2014.08.10
유압 장치를 활용한 짐벌 위였기에 가능했다. 이 짐벌은 상하좌우 360도 회전까지
자유
자재로 움직일 수 있다. 영화 ‘해적’도 마찬가지다. 32m짜리 배를 만들고 9m 높이의 짐벌 위에 올린 채 전투신을 촬영했다. ‘설국열차’에서 열차의 흔들림이나 ‘더 테러 라이브’에서 건물의 기울어짐을 ... ...
설탕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동아사이언스
l
2014.08.06
성질을 지닌 물질, 고부가가치 제품을 제조하는 물질을 만들기 위해서는 결정의 원리를
자유
자재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결정 물질을 만드는 기술을 ‘결정화 기술’이라고 한다. 현재, 결정화 기술을 제약‧정밀화학‧반도체‧식품‧환경‧전지 등 다양한 산업의 원천기술로 ... ...
벼락을 붙잡을 순 없을까
과학동아
l
2014.07.13
고온의 충격파를 맞은 경우에 해당한다. 작은 줄기조차 무시할 수 없는 벼락. 이를
자유
자재로 다루는 장면은 한동안도 영화에서나 감상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
드론은 폭격만 하지 않는다…新저널리즘 신무기로 등장
동아일보
l
2014.07.09
동아일보] 드론(drone)이
자유
자재로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며 내는 프로펠러 소리가 상쾌하다. 비행체가 지면에 가까워지자 낙엽이 흩날린다. 드론은 땅에 거의 붙을 정도인 20cm 높이로 날다가 20m 이상 상공으로 훌쩍 날아오르기도 했다. 7월 초 부산 경성대 교정에서 오승환 사진학과 교수와 차태호 ... ...
‘그린벨트’로 묶여 있던 과학벨트 부지, 이제
자유
~
과학동아
l
2014.07.08
과학벨트 조감도 -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 부지가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에서 해제되면서 조성사업이 힘을 받게 됐다. 미래창조과학부와 대전시는 9일 과학벨트가 세워질 신동·둔곡 거점지구에 대한 개발제한구역이 해제됐다고 밝혔다. 2011년 과 ... ...
이전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