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숫자
자수
넘버
번호
수단
방법
꾀
d라이브러리
"
수
"(으)로 총 31,072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는 과학고로 대학간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2012학년도
수
시 모집에서 서울과학고(과학영재학교)는 93명이 서울대 특기자 전형에 무더기로 합격했다는 소식이 알려져 화제가 됐다. 사실 전국에서 영재라고 불리던 학생들이 모 ... 과학고에 진학했다가는
수
업을 듣는 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이는 대학입시 실패로 이어질
수
있다 ... ...
사영기하학, 파스칼의 육각형 탐구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원근법의 도입 서양미술사에서 중세와 근대를 가르는 중요한 발견으로 평가되는 것이 있다면 단연 ‘원근법’의 도입이다. 중세는 종교 ... 좀 더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표현하는 노력이 더해지면 포트폴리오의 가치가 더욱 높아질
수
있다. 심화된 내용에 대한 연구 의지를 밝히는 것도 좋다 ... ...
내 귀에 음향장치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MP3 플레이어에 이어폰을 꼽기만 하면 ‘버스커버스커’나 ‘용감한 녀석들’의 노래를 언제든지 들을
수
있다. 엄지손톱만한 크기의 이어폰에서 어떻게 이렇게 풍부한 음악이 나올까? 원리를 알면 만들
수
있을까? 한번 알아보자. ...
전하고 싶은 사실과 메시지를 분명히 하자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어떤 혜택이 있죠? 여러분의 활동을 증명할
수
있는 임명장을 드립니다. 6월 말에 있을
수
여식에서는 과학동아 편집장님의 멋진 강연도 있을 예정입니다.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지면에 실리면 정기자가 되나요? 지면에 한 번 실린다고 정기자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기사를 꾸준히 올리는 ‘성실성’, ... ...
진화심리학-레밍, 그들은 왜 자살할까?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그들의 종 족을 오랫동안 보존하기 위해서 그들은 일정한 개체
수
를 유지해야 한다. 개체
수
가 너무 적을 때에 그들이 번식을 많이 하지 않는 이상, 계속 존재하기는 어렵다. (…중략…) 그들은 ‘집단 대이동’을 통해 투신자살을 함으로써 생태계의 평형을 유지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유전자 ... ...
[5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기사(記事)란 무엇일까. 국어사전을 찾아보면 ‘사실을 적음, 또는 그런 글’이 기사다. ‘신문이나 잡지 따위에서 어떠한 사실을 알리는 글’이라는 의 ... 충고. 인터넷에 있는 정보나 자료를 그냥 쓰지는 말자. 참고해서 독자의 시각을 끌
수
있는 주제나 메시지를 조금만 더 끌어내 보자 ... ...
Part3. 바다 속으로 태평양을 건너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제주도에서 미국 로스엔젤레스(LA)를 잇는 해저 터널이 가능할까. 길이만 1만km를 훌쩍 넘는다. 평균
수
심 4000m에 달하는 엄청난 부피의 바닷물은 어찌할 것인가. 엄두 ... 임파서블Part1. 해저도시 건축학Part2. 말도 안되는 배들 4SPart3. 바다 속으로 태평양을 건너다Fun 2012 여
수
세계박람회 100배 ... ...
Part1. 당신의 장유형은 무엇입니까?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그 보답으로 ‘장
수
’를 누리고 있는 게 아닐까. [전통 발효식품을 즐겨 먹는 장
수
촌에 사는 사람들은 몸에 유익한 장내미생물이 많고 해로운 미생물이 적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제2의 나, 장내미생물Part1. 당신의 장유형은 무엇입니까?Part2. 말도 안되는 배들 4SPart3. 정신건강까지 ... ...
Part3. 정신건강까지 책임지는 장내미생물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유산균을 먹인 쥐와 마찬가지로 넓고 트인 길을 선호하는 등 불안 증세도 덜했다.매튜 교
수
는 “이 균은 산이나 밭 등 흙에 살면서 사람의 귀와 입으로 들어간다”며 “학생들의 야외활동이 정서를 안정시키고 학습효과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제2의 ... ...
Part1. 숨겨진 다중우주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우리 우주도 이런 우주 중 하나가 된다. 이런 이유로 테그마크 교
수
는 ‘궁극적 다중우주’라는 말을 썼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우주를 뛰어넘은 사랑 가능할까 - 다중우주Part1. 숨겨진 다중우주를 찾아서Part2. 끈이론 다중우주Part3. 비판과 ... ...
이전
1509
1510
1511
1512
1513
1514
1515
1516
15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