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각"(으)로 총 6,296건 검색되었습니다.
- 눈부시게 찬란한 數 원주율 π수학동아 l2017년 03호
- 저도 저렇게 예술작품을 만들어보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많은 분들이 저처럼 생각할거라고 믿고 예술가 분들에게 도전과제를 내달라고 부탁했어요. 예술가들은 미술을 하나도 몰라도 쉽게 π예술에 도전해 볼 수 있는 도전과제를 내주셨어요. π-데이에 이 도전과제를 해보는 건 어떨까요? ... ...
- [매스미디어] 포켓몬 트레이너 L씨의 피카츄 사냥수학동아 l2017년 03호
- ‘오픈스트리트맵’이다. 이 지도는 위키백과처럼 사람들이 참여해 만든다. 제각기 돌아다니며 주변 하천과 산, 주택가, 도로 등 지리 정보를 등록하는 것이다. 포켓스탑과 체육관을 세울 때도 사람들이 직접 모은 정보를 통계 자료로 사용했다. 나이앤틱은 2012년 출시한 증강현실 게임 ... ...
- Part 2. 미시세계 꿰뚫는 열쇠, 수학수학동아 l2017년 03호
- 예로 들어 엑스선 회절법을 살펴보자. 결정에 엑스선을 여러 각도로 쪼이다 보면 어느 각도에서 검출기에 회절 무늬가 나타나는 걸 발견할 수 있다. 영국의 물리학자 헨리 브래그와 로렌스 브래그 부자는 이를 수학적으로 정리해 ‘브래그 조건(오른쪽 그림 참고)’을 만족할 때 이런 무늬가 ... ...
- [Origin] 삼엽충 시대 태양계에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어떻게 지금의 모습을 이루게 됐는지 파악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소행성 띠는 태양계 각 행성들이 형성되고 자리 잡아 가는 과정에서 동시에 형성된 것이기 때문이다. 소행성 띠에서 일어난 일은 지구를 비롯해 태양계 다른 행성에도 영향을 미친다. 예컨대 목성과 토성은 주변을 지나는 소행성들과 ... ...
- [Culture] 플레이 전략 3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모든 종류의 포켓몬이 곳곳에서 비슷한 확률로 나타나면 재미가 떨어지기 때문에, 각 지역의 지리와 기후, 식생, 그리고 밤낮에 따라 성질이 비슷한 포켓몬이 나오도록 설정했다. 예를 들면 호숫가에서는 발챙이나 잉어킹 같이 물 성질의 포켓몬이 잘 나온다. 또 피카츄나 잠만보처럼 인기가 많은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스타인버그의 추측수학동아 l2017년 03호
- 실렸습니다.이제 중요한 미해결 문제가 하나 남아 있습니다. 과연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이 없는 평면 그래프는 항상 3색으로 칠할 수 있을까요? 답은 예, 아니오 둘 중 하나지만 아직 누구도 풀지 못했습니다. 어쩌면 누구도 보지 못한 반례 그래프가 있을 수 있지 않을까요 ... ...
- [2017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즐거운 수학 체험수학동아 l2017년 03호
- 체험을 즐길 수 있습니다.국가수리과학연구소는 무한상상 수학체험전, 수학문화축전 등 각종 교육행사에 참여해 IMAGINARY 체험 부스를 운영합니다. 국가수리과학연구소는수학을 사랑하는 여러분에게 더욱 가까이 다가갑니다!교육기부 행사 일정-5월: 무한상상 수학체험전 대전광역시 유성구 ... ...
- Part 4. 인류 매머드는 소중한 자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빙하기 동물들이 특정 지역에서 사라진 시기를 함께 분석했어요. 그 결과 인류가 유럽의 각 지역에 정착한 시기와 그 지역의 동물 멸종 시기가 사실상 같다는 점을 발견했답니다.인류가 아무리 털매머드를 사냥했더라도 한 종을 통째로 없애 버리기는 힘들었을 거예요. 하지만 빙하기가 끝날 무렵, ... ...
- [Future] ‘마음의 창’을 열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원리다. 이 전류는 광수용체 바로 아래에 위치한 시신경세포를 자극해서 대뇌 시각피질로 정보를 전달한다.이 기술의 성패는 영상을 얼마나 정밀하게 만들 수 있는가에 달려 있다. 스마트폰의 카메라가 1000만 화소를 넘은 시대건만, 2013년에 최초로 미국식품의약품안전처(FDA)의 승인을 받은 인공망막 ... ...
- [포커스 뉴스] 천경자 ‘미인도’ 진위 논란… 과학은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그렸다면 눈을 그릴 때 곡선을 긋는 스타일이 같을 것이다.분석 결과 대부분의 그림은 각 점에서 곡선을 연장했을 때 생기는 원의 지름이 200픽셀 안팎이었다. 하지만 유일하게 미인도만 눈에 띄게 다른 결과(434.65픽셀)가 나왔다. 장페니코 LTMI 사장은 과학동아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미인도를 ... ...
이전1471481491501511521531541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