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길이"(으)로 총 4,93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적분은 미분의 반대가 아니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추상적으로 ‘크기’를 부여하는 함수다. 예를 들어, 유리수와 무리수들의 집합의 ‘길이’를 측도로 정의할 수 있다. 르베그는 측도로부터 적분을 새롭게 정의했다. 리만이 함수 그래프를 세로로 쪼갠 것과 달리 가로 방향으로 쪼갰다. 그리고 특정 함수 값에 해당하는 정의역 구간의 길이, 즉 ... ...
- [Knowledge] 에너지를 태워주는 너란 지방, 베이지색지방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미국의 과학 매체 사이언스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이번 연구로 비만을 예방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고 말했다.하지만 최철수 가천의대 분자의학과 교수는 “쥐에 투여한 340g의 레스베라트롤은 굉장히 많은 양”이라며 “사람에 적용하려면 1kg 이상의 레스베라트롤을 먹어야 하는데 이는 ...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여기에 있다. ‘사이 간(間)’을 사용하는 시간(時間)은 한 시간, 두 시간처럼 시간의 길이를 나타낼 때 사용한다. 한편, ‘새길 각(刻)’을 쓰는 시각(時刻)은 그때 그 순간을 표현할 때 쓴다.閏秒 윤초(윤달 윤, 분초 초)7월 1일, 전세계 사람들의 시간이 1초씩 늘어난다. 이렇게 덤으로 갖게 되는 1초를 ... ...
- [수학뉴스] 개미 떼를 이끄는 리더 개미수학동아 l2015년 09호
- 개미 떼에게 커다란 과자를 주고 어떻게 옮기는지 관찰했습니다. 개미 한 마리는 몸 길이가 2.5~3mm에 불과했고, 과자는 개미 한 마리보다 약 350배나 무거웠습니다.그 결과 한 마리가 맨 앞에서 무리를 이끌고 길을 안내하면 나머지 개미가 순순히 따라간다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만약 장애물이 ... ...
- 수학으로 밝혀낸 걸음걸이의 비밀수학동아 l2015년 09호
- 약 5km를 걸어갈 수 있다. 곤충을 모방한 이유는 다리가 여섯 개라 네발동물에 비해 비탈길이나 계단을 오르고 내릴 때 안정적이기 때문이다. 또 실제 곤충처럼 다리를 구부리거나 옆으로 걸을 수도 있다.치타 로봇실제 동물처럼 걷거나 빠르게 달리는 로봇미국 MIT(매사추세츠 공대) ... ...
- 우주 탐사, 제2의 지구를 찾아서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중력이 0이 되는 안정적인 지점이다. 뉴호라이즌스 호의 궤도그림에서 화살표의 길이는 속력의 크기이고, 화살표의 방향은 우주선의 진행 방향이다. 목성을 통과한 뒤 뉴호라이즌스 호의 속도는 목성의 중력 영향으로 가속도가 생겨(빨간색 화살표) 방향도 바뀌고 속력도 원래보다 빨라졌다. 같은 ... ...
- 지친 곤충들만 오세요~! 곤충호텔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익충들도 찾아올 수 있기 때문이지요. 봄을 준비하는 예비 숙박객들“자, 지금부터 연필 길이의 나뭇가지를 100개씩 주워 오세요.”기자단 친구들은 최숙영 숲 해설가님의 설명에 따라 나뭇가지를 모았어요. 이 나뭇가지들로 곤충호텔의 한 칸을 채울 거예요. 숲 속으로 난 길을 걷는 동안 곤충들이 ... ...
- PART 2 학문을 품은 브릭수학동아 l2015년 08호
- 길이가 다른 브릭을 이용해 (5, 12, 13), (6, 8, 10), (8, 15, 17) 등 직각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가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만족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팔방미인 수학자, 브릭!브릭은 처음 등장했을 때부터, 창의력과 상상력을 키우는 좋은 교구로 평가 받았다. 최근에는 교구를 넘어 수학이나 컴퓨터 ... ...
- [지식] 마지막 요리 모두의 맛, 미분과 적분 그리고 치킨수학동아 l2015년 08호
- 계산에 쓰이는 시간도 훨씬 짧아졌습니다. 고대의 수학자가 평생에 걸쳐 구하던 호의 길이나 타원의 넓이를 이젠 고등학생 정도면 쉽게 계산할 수 있게 됐습니다.조상님은 치킨을 먹지 못했다!신라의 수도 경주가 ‘계림(鷄林)’으로 불렸을 만큼 한반도에서는 오래전부터 닭을 키워왔습니다. ... ...
- [지식] 안테나, 우주의 소리를 듣다!수학동아 l2015년 08호
- 곳이었다. 전파 방해를 많이 받을수록 통화 품질이 떨어졌기 때문이다. 이 안테나는 30m 길이의 청동과 철로 만든 직육면체 구조물이 뼈대를 이루고, 사이사이에 바퀴가 달린 거대한 기기(위 사진)였다. 군데군데 달린 4개의 바퀴로 안테나의 방향을 바꾸면 여러 방향에서 오는 전파를 수신할 수 있다. ... ...
이전1471481491501511521531541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