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도
밀도
색도
밀집 상태
비중
효력
분자
d라이브러리
"
농도
"(으)로 총 1,709건 검색되었습니다.
동굴인의 후예들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석면, 연소가스, 담배연기, 미생물 등이 실내공기오염의 주범인데, 오염물질
농도
가 높아짐에 따라 일시적 혹은 만성적인 질병의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아직도 실내공기 오염에 대한 인식이 크게 부족해 이에 대한 대책이 전혀 마련되지 않고 있다. 실내공기 오염은 오히려 ... ...
미래의 과학자 키우는 전세계 화학인들의 축제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계산하여라. ${HSO}_{4}^{-}$의 생성은 무시하여라.e) 어떤 냇물 중의 Fe(II)로 존재하는 철의
농도
는 0.00835M이었다. 이 냇물이 아주 좁은 수로를 통하여 분당 20.0ℓ의 유속으로 큰 호수로 흘러 들어 간다. 이 냇물은 좁은 수로를 지나는 사이에 충분히 공기와 접촉을 하여 Fe(II)의 75%가 Fe(III)로 산화된다. ...
「대기오염 측정 전국 별자리관측」을 마치며 "잃어버린 밤하늘을 되찾자"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환경오염의 심각성을 일깨워주기 위함이지요.조상 문제는 이런 별관측을 통해 부유분진
농도
를 측정한다든가 하는 직접적인 오염수치가 나오지 않는다는 것이지요. 이를 두고 과학적인 행사가 아니라는 비판이 있을 수 있는데 그것은 잘못된 생각입니다. 우리가 처음 이 행사를 시작할때 ... ...
지의류 생태계의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분포와 대기중 아황산가스
농도
와의 관계를 조사한 적이 있다. 대기중의 아황산가스
농도
가 0.01ppm을 넘는 곳에서는 거의 모든 지의류가 사라졌거나 바위 위에 부착되어 있는 지의도 거의 죽어 있어서 소위 지의사막(地衣沙漠)을 이루고 있음을 알아냈다. 1975년에는 종각(서울의 중심)을 기점으로 10㎞ ... ...
5. 잠과 뇌파, 그 신비의 관계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깨게 된다. 이런 경우 수면제를 복용하면 잠을 청하기는 수월하나 한밤중이 되면 약물의
농도
가 떨어져 오히려 잠이 더 잘깨고 수면을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불면증때 수면검사를 하면 환자는 장시간 수면을 지속하지 못하고 자주 깨며 정상인과 달리 동시에 여러 수면단계의 특성이 혼합되어 ... ...
인간 뇌속에 나침반 있을까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막에 둘러 싸인 생물학적인 작은 막대자석의 고리를 말한다. 이 박테리아는 알맞은 산소
농도
를 찾기 위해 진흙속에서 위아래로 움직일 때 지구의 자장을 이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북반구에 있는 박테리아는 북쪽을 향하고 남반구의 박테리아는 남쪽을 향한다. 적도에는 두 종류가 모두 있다 ... ...
생약, 어떻게 만들어지나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농축과정으로 넘어간다. 이 과정에서 용액중의 용매를 일부 회수함으로써 생약의 성분
농도
가 짙어지게 된다. 예를 들어 은행잎중 약효성분인 징코플라본배당체를 추출하기 위해 사용한 용매(물과 에탄올)를 상당량 다시 거둬들이는 것이다. 이렇게 농축하는 동안 약효성분이 분해될 수도 있기 ... ...
고엽제 후유증의 원인 다이옥신 해부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독성을 갖는가A) 월남전에서 쓰였던 2 · 4 · 5-T안에는 TCDD라는 약칭으로 불리는 낮은
농도
의 2 · 3-7 · 8사염화 다이옥신(tetra chloro dibenzodioxin)이 포함돼 있다.이것이 흔히 다이옥신이라고 불리는 유독성의 물질로 고엽제를 만드는 과정에서 생겨난 불순물이라고 할 수 있다.Q3) 다이옥신은 왜 독성을 ... ...
오존측정용 과학로켓 카운트다운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되는데 이 측정기는 로켓이 최고점에 이르는 순간까지 약 2분동안 전구간에 걸쳐 오존
농도
를 측정해 지상에 있는 자료수신장치에 전송한다.지표에서 30km까지는 보통 기구(balloon)를 사용해 측정하는 것이 유리하고 1백km 이상은 관측위성에 의해 측정할 수밖에 없다. 문제는 30~1백km 까지의 구간인데 이 ... ...
바다는 이산화탄소의 거대한 저장탱크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유기물은 용해되거나 미생물에 의해 분해돼 다시 이산화탄소로 변해 심해의 이산화탄소
농도
를 높인다. 이 심층수는 1,2천년간의 오랜 기간을 거쳐서 바다를 순환한다. 즉 심해로 옮겨진 이산화탄소는 매우 오랜 기간을 머물 수 있는 것이다. 바다가 이산화탄소의 저장고라고 불리는 이유는 바로 ... ...
이전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