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양
대양
해사
대해
해상
해운
함수호
d라이브러리
"
바다
"(으)로 총 3,719건 검색되었습니다.
일본 오키나와 남부까지 우리 대륙붕 될까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명시된 규정에 따라 법적 대륙붕의 바깥쪽 한계선을 정할 수 있다. 그렇다면 삼면이
바다
로 둘러싸인 우리나라에서 대륙변계의 끝은 어디일까.동해에는 아쉽게도 대륙변계가 없다. 한현철 본부장은 “일본 너머 동쪽에 위치한 일본해구를 대륙변계의 끝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서해 또한 ... ...
성스러운 생태계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대학을 세우고 학자들을 양성해도 은하계의 다양한 세계들을 탐사하고 연구하자면
바다
를 향해 한 줌의 모래알을 던져 넣는 것이나 다름없었다.한 달이 지났다. 그의 작업은 예상 목표량의 2% 정도를 채웠다. 열세 개의 믿으믿들을 알게 되었고, 어렴풋이 앞으로의 작업 방향이 보이기 시작했다. ... ...
다리없는 뱀이 강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헤엄치는 물뱀도 있을 정도로 가늘고 긴 몸으로 움직이는 데 한계가 없다(물뱀은
바다
뱀의 일종으로 강이나 개울에서 헤엄치는 뱀은 물뱀이 아니다).뛰어난 환경 적응력 덕분에 뱀은 언제 어디서나 볼 수 있는 동물이다. 물론 도심에서 보기 어려워졌지만 뱀은 분명 유연함 속에 강함을 감추고 있다. ... ...
[화보] 북극이 위험하다!
수학동아
l
2013년 01호
북극의 얼음이 많이 녹으면서,
바다
의 성분이 얼음에서 물로 많이 변했다. 따라서
바다
에서 많은 양의 수증기와 열이 올라와, 북극 지역 대기가 팽창해 고기압이 형성됐다. 그 결과 고기압이 제트기류를 느슨하게 만들어 극진동지수가 음의 값을 갖게 된 것이다.이렇게 제트 기류가 약해지면 주로 찬 ... ...
우주지도분쟁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중력 등포텐셜면을 기준으로 재면 높이가 21km다. 무려 5km나 차이가 난다. 만약 지구에도
바다
가 없다면 사람이 지금의 해저에 발을 딛고 다녔을 테니, 우리가 보는 산의 높이는 훨씬 더 높아졌을 것이다.마지막으로 투영법을 생각해보자. 투영법이란 3차원 공간에 있는 지형을 평면 위에 나타내는 ... ...
동서남북 모인 데서 신약 개발 꿈꾼다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카리브 해(대서양)와 맞닿아있다. 수많은 육지생물이 남북으로 오르고 내리는 길목이자
바다
생물이 산란하러 모여드는 곳이다. 위도 10°로 열대기후인 이곳은 어딜 보아도 하늘을 찌를 듯이 길쭉길쭉한 나무들이 빽빽하게 들어차 있다. 우거진 열대 우림은 다양한 생물이 살아가는 터전이다 ... ...
[현장취재] 톡톡! 개그수학콘서트 개그 더하기 수학은?
수학동아
l
2013년 01호
내가 먹은 것만 찍어서 올린 건데?”두 사람의 공연이 끝나자 순식간에 강연장이 웃음
바다
가 됐다.1막 휴대전화 속에도 수학이 있다고?아빠와 아들 팀의 개그에 이어서 포스텍 수학과 박형주 교수가 등장하자, 홍인규 씨가 재빠르게 장난을 걸었다.“우리 교수님은 수학을 얼마나 잘하시는지 문제를 ... ...
2800년 동안 갇혀 산 미생물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4호
남극 얼음 속에 갇혀 있는 비다 호는 수온이 영하 13℃로 매우 춥고 염분도 일반
바다
보다 여섯 배나 높답니다. 산화질소와 탄소화합물의 농도가 높고, 철 화합물이 많이 들어 있어 물 색깔도 빨갛지요. 또 약 2800년 동안 18m짜리 얼음에 덮여 있어서 산소가 잘 통하지 않고 매우 어두컴컴해요.미국 ... ...
카알과 주울의 엉뚱기발한 에너지 어드벤쳐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4호
녹조류 같은 미세조류와 폐기름에서 에너지를 얻고 있다. 우리나라 과학자들은
바다
에 설치한 풍력발전기 아랫부분에 녹조류 양식장을 만들어 이중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흠, 우리 우주선이 자꾸 불시착하는 이유도 맛있는 팝콘을 연료로 하기 때문인 것 같다.그럼 어떻게 ... ...
제인 구달 박사가 전하는 지구사랑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3호
생물이 인간을 위해 태어난 것은 아니잖아요. 어린이들과 함께 제돌이가 다시 고향인
바다
로 돌아가는 것을 축복할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되어 정말 기뻤답니다.지구사랑 2단계 문제점 찾기문제점이 보이나요?관심을 가져보니 어떤가요? 제돌이를 비롯해 동물, 환경과 같은 지구의 이야기를 많이 알 수 ... ...
이전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