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볼"(으)로 총 10,576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충돌 D-6년] 소행성의 궤도를 바꿔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당시에는 2135년에 지구와 충돌할 확률이 1/2700에 달했어요. ▲PDF에서 고화질 이미지를 볼 수 있습니다 연구 결과, 지구와 충돌하기까지 10년이 남았다면 베누의 궤도를 바꾸기 위해 무게 100톤짜리 우주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어요. 이보다 시간이 많이 남았다면 필요한 무게는 점점 줄어들어요. ... ...
- [가상인터뷰] 사람만큼 오래 사는 물고기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얕은 호수, 습지에서 지내. 4월에서 6월쯤엔 알을 낳기 위해 이동하기 때문에 상류에서도 볼 수 있어. 나이는 어떻게 되세요?지난 5월 23일, 미국 노스다코타 주립대학교 알렉래크만 연구팀은 2016년부터 2018년까지 미국 미네소타와 허드슨만에 사는 빅마우스 버팔로 386마리를 채집해 나이를 ... ...
- [식물 속 동물 찾기] 줄기가 뱀처럼 자라는 '뱀딸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논밭과 숲, 들판의 양지바른 곳에 가면 도톰하고 둥근 빨간색 열매를 볼 수 있어요. 바로 ‘뱀딸기’지요. 뱀딸기는 산에 가면 흔히 보이는 산딸기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산딸기가 나무인 것과 달리 뱀딸기는 풀이에요. 또 산딸기가 꽃줄기마다 2~6개의 흰색 꽃을 피우는 반면, 뱀딸기는 꽃줄기마다 ... ...
- [과학뉴스] ‘웃음 가스’로 만든 테라헤르츠 레이저과학동아 l2019년 12호
- 1조 Hz)에서 3THz에 이르는 전자기파다. X선 에너지의 100만분의 1 수준으로 세포의 구조를 볼 수 있어 미래 전파 자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개발된 테라헤르츠파 광원은 아주 적은 폭의 특정 테라헤르츠만 생성할 수 있어 활용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그런데 최근 미국 하버드대와 ... ...
- 히어로의 ‘아이스 웨폰’ 얼음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여성의 현재 평균 신체 조건으로 가정해 계산해보자. 유럽 여성의 평균 발 크기는 길이와 볼 너비가 각각 26.6cm, 13.3cm다. 엘사가 한 발자국 내디딜 때마다 최소 약 354cm2의 면적(발 길이×폭)을 가지는 얼음판이 만들어져야 얼음 발판을 디디고 바다를 걸을 수 있다는 뜻이 된다. 엘사가 걸을 때 ... ...
- 알고 리의 나 혼자 산다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추천하는 오늘의 요리 생물의 진화를 모방한 유전 알고리듬으로 맛있는 한 끼를 해결해볼까요? 유전 알고리듬은 ‘선택’, ‘교차’, ‘돌연변이’라는 주요 연산으로 다양한 식단을 만듭니다. 먼저 사용자에 맞게 여러 요리를 ‘선택’하는데, 그 기준은 칼로리, 영양소, 선호도예요. 예를 들어 ... ...
- [융복합파트너@DGIST]이차전지 성능 결정할 ‘꿈의 전해질’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지렁이가 태양을 피하는 이유“박사님, 지렁이가 보이지 않아요.”도시에서 쉽게 볼 수 없는 지렁이를 보기 위해 경기 고양시 덕양구의 한 농장을 찾았다. 그러나 지렁이는 보이지 않았다. 35년째 지렁이를 연구하는 최훈근 박사(전 국립환경연구원 폐기물자원과장)는 당연하다는 듯한 표정을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식물도 움직일 수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여러분은 물을 마시고 싶을 때, 어떻게 하나요? 아마 자리에서 일어나 물이 있는 곳까지 걸어갈 거예요. 하지만 식물은 사람과 같은 동물처럼 자유롭게 움직이지 못해요. 뿌 ... 새싹을 틔워 보세요. 그러면 내가 만든 미로를 요리조리 피해가는 구불구불한 식물을 키워볼 수 있답니다 ... ...
- 교과서에는 없는 얼음의 특별한 비밀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계속 언급했다. 하지만 사실 모든 얼음 결정이 육각형인 것은 아니다.우리가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얼음 결정이 육각형인 것은 맞다. 하지만 흔히 겪을 수 없는 극저온 또는 초고압 상태에서는 다른 모양의 얼음 결정들이 만들어진다. 지금까지 이런 특수한 환경에서 총 17종의 얼음 결정이 실제로 ... ...
- 귀한 똥탑 쌓는 지렁이의 재발견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지렁이가 태양을 피하는 이유“박사님, 지렁이가 보이지 않아요.”도시에서 쉽게 볼 수 없는 지렁이를 보기 위해 경기 고양시 덕양구의 한 농장을 찾았다. 그러나 지렁이는 보이지 않았다. 35년째 지렁이를 연구하는 최훈근 박사(전 국립환경연구원 폐기물자원과장)는 당연하다는 듯한 표정을 ... ...
이전1471481491501511521531541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