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으)로 총 10,184건 검색되었습니다.
- 뇌는 왜 자꾸 먹으라고 명령하나?과학동아 l2020년 06호
-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질환이다. ※필자소개김태. 경희대 의대에서 박사학위 및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를 취득하고, 미국 하버드대 의대 정신건강의학과에서 박사후연구원을 지냈다. 현재 광주과학기술원(GIST) 의생명공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최근에는 수면장애, 알츠하이머병, ... ...
- 신상 콤부차 대해부과학동아 l2020년 06호
- doi: 10.3889/oamjms.2014.023 박 교수는 “기업이나 연구실에서는 미생물의 생육 조건을 맞추기 위해 특정 종을 사용한다”며 “시중에 파는 미생물에는 어떤 종이 포함됐을지 모를 가능성이 높은 만큼 제조 후 소량씩 먹고 이상이 없는지 확인부터 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 ...
- 2020 S/S 컬렉션, 너도 ‘에코 슈머’ 였구나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중 폴리에스터가 55%로 가장 많았고, 면섬유(27%)와 셀룰로오스 유래 섬유(6%)가 각각 2위와 3위를 차지했다. 폴리에스터는 물과 바람 같은 주변 환경에 저항성이 높고, 옷을 만들면 주름이 잘 생기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문제는 생산 과정이 그다지 환경친화적이지 않다는 점이다. ... ...
- [SF에 묻는다] 공각기동대 vs. 생명창조자의 율법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만들어냅니다. 성과가 나쁜 알고리즘은 도태시키고요. 그리고 이 변종까지 포함해 다시 위의 과정을 반복합니다. 계속 반복되면 인간이 아무것도 입력하지 않아도 알고리즘이 진화하며 점점 좋아집니다. 아주 오랫동안 이런 일이 일어난다면 나중에 어떤 프로그램이 될지 누가 장담할 수 있겠습니까 ... ...
- 과학동아천문대장이 내는 이달의 퀴즈 & 천체사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명왕성이 행성의 지위를 잃은 이유는? 올해는 명왕성 발견 90주년이자, 명왕성이 행성 지위를 잃은 지 14년째 되는 해예요. 그래서 과학동아천문대에서는 이에 어울리는 6회 별빛미션을 준비했습니다.2006년 국제천문연맹총회는 명왕성의 크기나 궤도 등에 큰 변화가 없는데도 명왕성을 행성에서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안보인다고 무시하지마! 공기의 힘을 보여주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공기 딱총 실험에서 휴지 뭉치로 빨대 양쪽을 막는 건 빨대 안에 공기를 가두기 위해서예요. 나무젓가락으로 한쪽 휴지 뭉치를 빠르게 밀면 공기가 압축이 되고, 압축된 공기는 반대쪽 휴지 뭉치를 강하게 밀어내지요. 그 결과 휴지 뭉치가 발사되는 거랍니다 ... ...
- [기획] 무작위하지 않으면 공정하지 않다?수학동아 l2020년 06호
- 고수들이 심판에게 항의한 건 ‘공정성’ 때문이었습니다. 오늘 대결을 펼칠 종목은 ‘포커’와 ‘15퍼즐’, ‘루빅스 큐브’인데요, 게임을 시작하기 전에 심판이 각 ... 상황이 생기더라도 이 배열은 각 순서에 모든 카드가 똑같은 확률이기 때문에 우연의 일치일 뿐 무작위 배열입니다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6화. 다채로운 군의 세계수학동아 l2020년 06호
- 단면을 합하면 이 결정구조에 해당하는 대칭을 공간군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마치 ‘위에서 본 모습, 앞에서 본 모습, 옆에서 본 모습’을 통해 도형의 모양을 유추하는 것처럼요. 공간군을 활용한 3차원 대칭 분석은 화학뿐만 아니라 단백질 구조 분석을 하는 생물학에서도 쓰이며, DNA 이중나선 ... ...
- [주니어 폴리매스] 비주얼드, 애니팡에 맞서는 ‘매치3 게임’을 디자인하라!수학동아 l2020년 06호
- 여러분은 어떤 ‘매치3’ 게임을 만들고 싶나요? 만들고 싶은 매치3 게임을 위의 표처럼 필수 요소와 선택 요소로 나눠 글과 그림으로 정리해 폴리매스 홈페이지→[주니어 폴리매스]→[게임 디자인 씽킹] 게시판에 올려 주세요. 이미 출시된 매치3 게임을 플레이한 다음 필수 요소와 선택 요소가 ... ...
- [특집] 무너지는 복도 - 현대 암호는 수학 난제?수학동아 l2020년 06호
- 새로 개발한 암호는 변수가 많은 이차식의 연립방정식을 풀지 못하면 전자서명을 위조할 수 없게 한 것으로, 양자컴퓨터가 구현되면 RSA를 깰 수 있는 쇼어 알고리듬에도 안전하다. 또 이번에 개발한 양자 내성 암호 알고리듬은 국제표준 전자서명 알고리듬보다 30배 이상 빠르며, 다른 양자 내성 ... ...
이전1471481491501511521531541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