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천문"(으)로 총 3,078건 검색되었습니다.
- [천문우주]태양계 밖 행성서 이산화탄소 발견과학동아 l2009년 01호
- 지구에서 63광년 떨어진 목성 만 한 행성에서 이산화탄소가 발견됐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지난 12월 9일 여우자리의 별 주위를 도는 행성 HD 189733b의 대기에서 이산화탄소의 증거를 포착했다고 발표했다. 태양계 밖 행성에서 이산화탄소가 발견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HD 189733b의 표면을 덮고 있 ... ...
- 자동차 타고 떠나는 물리 여행과학동아 l2009년 01호
- 고온초전도 물질의 전자구조 이론으로 물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로 있으면서 전이금속 산화물의 물성이론과 슈퍼컴퓨터를 이용한 계산과학 연구를 하고 있다. 과학을 좋아하는 학생들에게 “새로운 현상에 호기심을 갖고 질문하고 탐구하는열린 마음이 ... ...
- 요즘 태양은 왜 민얼굴인가요?과학동아 l2009년 01호
- 요즘 태양이 심상치 않대요. 불과 4~5년 전만 해도 거뭇거뭇한 흑점이 태양의 얼굴을 덮고 있었는데, 최근 수개월 동안 태양은 어린 아기 ... 서울대, 경희대 연구진이 해 뜨는 모습을 망원경으로 보여준다. 정오에는 세계 천문의 해 기념 강연이 열리며, 참석자들에게 선물도 나눠줄 예정이다 ... ...
- 시간여행을 하고 온 초신성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24호
- 모습의 이 초신성은 16세기에 티코 브라헤라는 천문학자에 의해 관측되었던 것으로,‘ 티코의 초신성’이라는 이름을 갖고 있어요. 그런데 400년이나 지난 오늘날, 이 초신성에서 분출된 빛 중 일부가 다시 관측되었어요. 우주의 먼지에 반사되면서 뒤늦게 지구에 도달한 거지요. 먼 우주를 돌아 ... ...
- “우주를 더 가까이!” 우주전파관측망 설치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24호
- 세계적인 수준의 우주전파관측망이 세워졌다는 반가운 소식입니다. 한국천문연구원에서는 2001년부터 서울의 연세대학교와 제주의 탐라대학교, 울산의 울산대학교에 각각 지름 21m짜리 전파망원경을 설치하는 우주전파관측망 사업을 진행해 왔어요. 이것이 최근 완성되어 지난 12월 2일 준공식이 ... ...
- 진짜 VS 가짜 음모론의 과학적 해부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21호
- 화성에 생명체가 살고 있다는 이야기는 오래 전부터 있었다. 19세기에 이탈리아의 천문학자 지오바니 스키아파렐리가 화성 표면에서 관측한‘줄무늬’를 잘못 이해한 미국의 퍼시발 로웰은 화성에 ‘운하’가 있다고 주장했다. 로웰 외에도 화성에 생명체가 있다고 생각한 사람은 많았다. 20세기 ... ...
- 눈부시게 아름다운 우주!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20호
- 지구에서 7200만 광년 떨어진 NGC3324 성운을 찍은 모습이에요. 허블우주망원경의 이미지를 만드는 천문학자들의 모임인 ‘허블유산프로젝트’가 출범한 지 10년 되는 것을 기념해 지난 10월 2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에서 공개한 사진이랍니다. 허블우주망원경이 남긴 유산, 정말 아름답죠 ... ...
- 하나, 둘, 셋, 찰칵~! 내 손으로 만든 사진기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18호
- 풍경이 보이게 만든 거지. 이 어두운 방을 이동시킬 수 있는 형태로 축소시켜 일식 같은 천문현상이나 풍경을 관찰했대. 화가들은 사진기의 원리를 이용해 그림을 그리기도 했어.권수현: 카메라 옵스큐라가 풍경을 보는 데 쓰였다면, 대중적으로 진짜 사진을 촬영하는 데 처음 사용된 건 다게레오 ... ...
- 나사 50주년기념, 최고의 명장면 50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18호
- 불리며, 이 충돌로 많은 별들이 새로 태어나고 있다. 게 성운허블우주망원경에 달린 천문관측용 사진기로 찍은 게 성운. 게 성운은 황소자리에서 폭발한 초신성의 잔해로, 모양이 게딱지와 비슷해게성운이라고 불린다. 현재 초당 1200㎞가 넘는 속도로 팽창하고 있다. 나선 은하의 충돌1999년 ... ...
- ‘순간’을 필름에 담는 엔지니어과학동아 l2008년 12호
- 붙었다. 한국시각으로 10시 58분에 사진을 찍었고(10:58), 이 시각을 국제표기인 그리니치 천문대 평균 시각을 기준으로 하면 9시간 앞서며(GMT+9), 이때 위치는 북위 35도49분29.21초, 동경 128도36분8.72초라는 뜻이다. 이렇게 복잡한 설명을 단 데는 이유가 있다. 당시 송 교수는 전시 주제를 시간과 공간의 ... ...
이전1471481491501511521531541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