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학
항해천문학
항해
익살 점성학
천체지학
d라이브러리
"
천문학
"(으)로 총 1,63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태양계 탐사 인간의 행성방문을 위한 정밀조사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이 천체들은 지구에서 워낙 멀기 때문에 지상의 망원경으로는 상세한 관측이 불가능해
천문학
자들은 우주선에 의한 근접탐사를 고대해 왔다. 보이저 우주선은 지름 3.66m의 안테나와 작은 몸체속에 분사장치와 각종의 과학 측정장치를 갖춘 질량 8백50kg의 우주선이다. 보이저의 탐사장치는 10종으로 ... ...
10년후엔 「한국형 중급항공기」개발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하늘과 땅.그러나 독자모델을 자체적으로 생산한다는 것은 생각만큼 쉽지 않다.
천문학
적 숫자에 가까운 연구개발비가 필요할뿐더러 기타 관련 주변기술이 일정 수준에 도달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항공기에 있어서 연구개발비는 항공기가 생산됐을 때 단가의 30~50배 정도로 추정된다. 예를 들면 ... ...
화성을 다시 찾다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탄소-12와 탄소-13으로 존재한다. 둘의 상대비는 지구와 혜성물질에서 조금 다르다. 어떤
천문학
자들은 운석에서의 비율이 혜성에서 발견하는 것과 다르며 지구에서 기원한 것의 특징을 가졌다고 지적한다. 운석이 그것을 수집, 보존하고 마침내 분석한 과학자들이 다루는 동안 오염되었을까?그러나 ... ...
물리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플라즈마 연구는 핵융합뿐만 아니라 우주과학 가속기 레이저 동위원소분리 그리고
천문학
발전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소그룹 연구의 활성화이상의 두가지 예가 우리나라의 국력을 과시하고 선진국 대열에 참여하는데 필수적인 대형과제라면 이에 못지 않게 중요한 과제가 주로 ... ...
태양계 탐사 본격적으로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보내온 보이저계획은 대단원의 막을 내렷다. 보이저2호가 태양계를 벗어난 이후에도
천문학
자들은 보이저의 데이터를 계속 분석하고 있다. 그들이 연구하고 있는 테마의 하나는 외각행성(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에서 일어나는 폭풍우이다. 목성의 일진광풍은 시속 3백80마일이며 토성에서는 시속 ... ...
80년대 사건과 과학자의 양심 용기, 비열, 얼버무림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고대의 과학자에게도 윤리적인 문제가 없지는 않았다. 예를 들면 고대의 가장 위대한
천문학
자 프롤레마이오스는 관측 자료를 조작하여 자기 이론을 정립했다고 알려져 있다. 갈릴레오 또한 자기가 하지도 않은 실험을 한 것처럼 과장한 것으로 밝혀져 있기도 하다. 그러나 이들 고대 과학자의 ... ...
연구활동에 컴퓨터는 필수도구로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된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실제 관측된 사실과 비교하여 부단한 상호대화를 거친다.
천문학
에서의 시뮬레이션 역사는 더 오래전부터 시작됐다. 18세기 기어를 이용해서 태양계의 별과 위성들을 서로 움직이게 하는 기계몽형이 만들어졋다. B.C. 1게기 경 그리스해역에 침몰했던 배에서 나온 금속 ... ...
21세기
천문학
중력파 천체물리학이란?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충분히 가깝기만 하다면 얼마든지 새로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천문학
계의 르네상스
천문학
(astronomy)에서 중력파를 다루는 분야는 상대론적 천체물리학(relativistic astrophysics)이다. 상대론적 천체물리학은 최근들어 가장 눈부시게 발전하고 과학 분야 중의 하나여서 '상대론 르네상스'(renaissance of ...
대중적 관심 끌어내는 데는 성공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관심을 갖고 기획팀을 구성해 활동하고 있는 것도 좋은 징후. 대표적인 것이
천문학
생물학 물리학 전자공학문야의 전공자들이 모여 만든 과학기술출판연구회다. 컴퓨터분야에서는 1∼2년 전부터 이런 팀들이 형성되었으나 과학 일반분야에서도 첫시도. 이들은 기존 출판사의 과학 관련 도서의 ... ...
입자물리학과 우주의 이해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붙여진 이 초신성은
천문학
의 발달에 크게 기여하게 되었다. 가장 중요한 것은(최소한
천문학
자에게) 이 죽어가는 별로부터 나오는 중성미자였다.폭발에너지의 99%는 중성미자의 형태로 방출되었다. 지상에서 중성미자가 검출되는 것은 입자물리학과 천체물리학의 근접성에 대한 완벽한 예가 되는 ... ...
이전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