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행
항해
국제금융공사
공사
국제
금융
국제민간항공기구
d라이브러리
"
항공
"(으)로 총 3,402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 불꽃놀이 ‘거대 플레어’의 비밀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이 때 처음으로 존재가 확인됐다.마에하라 히로유키 일본 교토대 천문학과 교수팀은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의 케플러 우주망원경이 2009년부터 반복해서 관측해온 약 8만 3000개의 태양형 항성의 관측 자료를 분석했다. 이 중 갑자기 밝기 변화가 크게 일어난 별을 골라 원인을 분석한 결과, 0.2%에 ... ...
괴물 탄도탄은 지그재그로 난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당시 대통령이 직접 나와 “요격은 불가능하다”고 호언장담했다. 당시 미래형 차세대
항공
엔진인 스크램제트가 쓰였다는 등의 낭설까지 있었다.정규수 박사는 “로켓에 꼬리날개 등을 추가로 설치해 정밀하게 제어만 해도 같은 성능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러시아는 토폴-M ... ...
지구에서 가장 ‘핫(hot)’한 곳은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어디일까. 중국의 고비사막이나 아프리카의 사하라 사막 어디일 것 같지만 아니다. 미국
항공
우주국(NASA) 지구관측소는 지난 4월 5일, 이란 동부에 위치한 ‘루트 사막’이 지구에서 가장 ‘핫’한 지역이라고 발표했다.미국의 광학위성 랜드샛 7호는 2003년부터 2009년까지 7년 동안 지구 표면을 ... ...
시간이 정말 빨리 가는 때가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있어요. 2년 전 지구 자전 속도가 빨라져 실제로도 시간이 빨리 흘렀거든요.최근 미국
항공
우주국(NASA)과 프랑스 파리지구물리학연구소로 이뤄진 국제 연구팀은 2009년 지구의 자전속도가 빨라져 하루가 짧아졌다고 발표했어요. 연구진은 하루의 시간을 측정 해놓은 자료를 분석했어요. 연구진이 ... ...
Part2. 말도 안되는 배들 4S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한다. 그러나 위그선은 배인지
항공
기인지 헷갈린다(국제해사기구와 국제민간
항공
기구가 ‘공식적으로’ 배로 분류하지만 물 위를 떠서 간다는 점에서 이번 기사에서는 제외하자). [특수 목적의 초고속정 ‘어스레이스(Earthrace)’. 초고속 선박들은 이미 100노트가 넘는 속도로 달릴 수 있다.] [15 ... ...
그가 붓을 들면 우주가 잠을 깬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나오는 복제인간 로이 배티가 자신의 눈을 만든 인간(한니발 츄)에게 던지는 대사다. 미국
항공
우주국(NASA) 제트추진연구소(JPL) 스피처과학센터 홍보팀의 ‘시각화 과학자(visualization scientist)’ 로버트 허트 박사는 자신의 작업을 이 대사에 빗대어 표현한다. 우리 눈을 능가하는 시력을 가진 ‘인공 ... ...
날개 두 겹으로 초음속 뚫는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초음속여객기가 다시 하늘로 돌아올 가능성이 열렸다. 키키 왕 미국 메사추세츠공대
항공
우주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날개를 두 겹으로 만들면 기존 초음속여객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대표적인 초음속여객기인 콩코드는 1976년 운항을 시작했다. 그러나 요금이 비싸고, ... ...
[과학뉴스] 우리나라도 달 탐사 나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가요. 우리나라가 미국과 함께 달을 탐사할 계획이거든요. 한국
항공
우주연구원과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은 지난해부터 ‘루너 임팩터’라는 연구과제를 해오고 있답니다. 아래 사진은 루너 임팩터 상상도예요.루너 임팩터는 달 궤도에 우주선을 보낸 뒤 달 표면에 무게 1kg 정도인 초소형 위성을 2, 3기 ... ...
우주망원경 총정리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이후 우주개발이 한창이던 1960~1970년대를 거치면서 이 꿈을 실현시키려고 오랫동안 미국
항공
우주국(NASA)과 정부를 설득했다.꿈이 이뤄진 건 무려 40여 년 뒤였다. 1990년 4월 24일에 발사된 우주왕복선 디스커버리 호에는 최초의 우주망원경인 허블우주망원경이 실려 있었다. 우주 팽창을 뒷받침하는 ... ...
나노 블록으로 미래 에너지 업그레이드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효율을 높이려는 시도가 기계
항공
공학 분야에서 이뤄지고 있다.최만수 서울대 기계
항공
공학부 교수의 전공은 바로 나노 입자들을 자유롭게 배열하고 쌓는 것이다. 최 교수가 이끄는 ‘멀티스케일 에너지 시스템 글로벌 프론티어 연구단’은 나노 기술을 이용해 기존 태양전지와 연료전지 ... ...
이전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