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로
뉴스
"
꼭
"(으)로 총 2,133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진 발생하면 ‘지진가방’에 이것만은
꼭
챙기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16.09.20
있다. 지진 발생 시 대처 방법이 일본과는 다소 상이할 수 있더라도 어떠한 것이
꼭
필요한지 또는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 참고하는 것이 언제 닥칠지 모르는 재난에 대비한 좋은 방법이 될 수 있겠다. 도쿄도청 홈페이지(www.metro.tokyo.jp) 제공 ● 비상식량 및 비상물품은 자택에서 ... ...
형광 빛으로 ‘착한 미생물’만 손쉽게 찾아낸다
2016.09.19
이용할 수 있어 이를 이용하려는 연구도 꾸준히 계속됐다. 그러나 수많은 미생물 중
꼭
필요한 종류만을 찾아내는 데 오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 데다 고가의 장비 역시 필요해 연구에 한계가 있었다. 연구진은 미생물이 특정 효소에 의해 분해될 때 형광을 내는 새로운 탐침물질을 개발했다. ... ...
붉은 빛 이용해 암 조직 파괴하는 물질 개발
2016.09.19
‘광역동 치료’ 효율을 높이는 방법을 국내 연구진이 찾아냈다. 광역동 치료에
꼭
필요한 고효율 ‘광감각제’ 개발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권태혁 울산과학기술원(UNIST) 자연과학부 교수팀은 같은 학과 임미희, 이현우 교수팀과 공동으로 차세대 광감각제로 쓸 수 있는 물질을 개발했다고 1 ... ...
코끼리와 기린, 이러다 멸종될 수도?
2016.09.19
어찌 괴로워한단 말인가?” ● 상아 거래 양성화 논란 그런데 위의 에피소드가
꼭
인생사에 비유하기 위한 ‘쓸모’만 있는 건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코끼리와 기린을 생각해보자. 동아시아에 사는 필자로서는 정말 이국적인 동물들로 몇 년에 한 번 동물원에 가서 볼 때마다 늘 감탄이 ... ...
[르포] 재활로봇 올림픽 ‘사이배슬론’ 공개훈련 가보니
2016.09.19
‘리워크(ReWalk)’ 등이다. 국내 연구진은 출전 선수의 관절을 X선으로 촬영해 몸에
꼭
맞는 전용 로봇 ‘워크온’을 개발했다. 로봇의 무게는 약 20㎏으로 하반신 마비 환자의 다리 근력을 대신해 앉았다 일어서거나 한 발씩 걷는 등 10여 개 동작을 할 수 있다. 목발에 두 개의 버튼이 있으며 이를 ... ...
퀴즈로 배우는 달에 대한 상식!
2016.09.15
만에 또다시 럭키문이 나타났습니다. 이제 2034년 크리스마스 때 럭키문을 볼 수 있다니
꼭
기억해둡시다. pixabay 제공 정답 : 크리스마스 ● 중국인들은 달에서 ○○○를 본다! 달님 속에 계수나무 토끼가 절구 찧고 산다는 건 아이부터 어른까지 우리나라 국민들의 상식(?)으로 통합니다. 달에서 ... ...
똑똑하게 스마트폰 고르는 법
2016.09.14
쓰는 걸 보고 여유를 갖고 찾아보면 좋습니다. 그리고 너무 넘치지 않는 한도 안에서
꼭
원하는 제품을 찾아보세요. 너무 미래를 바라볼 필요는 없습니다. 갤럭시A7이 불편해서 못 쓰게 될 정도의 세상이라면 갤럭시노트7도 불편합니다. 2년 뒤에 세상이 어떻게 달라질 지 모르는데 그 미래를 지금 ... ...
‘쟁반같이 둥근 달’은 추석 이틀 뒤 뜬다
2016.09.12
뒤쪽으로 오는 날에는 완전히 둥근 달인 ‘망(望)’이 된다. 하지만 망이 되는 날이
꼭
음력 15일은 아니다. 달의 궤도는 타원형이라 매월 합삭에서 망까지의 돌아오는 시간도 조금씩 변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매월 보름날 보이는 달의 모습도 조금씩 달라진다. 천문연은 해마다 한가위 보름달의 ... ...
[전문의가 솔직히 말해주는 남자의 성] 우리 아이가 왜소음경?
2016.09.08
음경이 아랫 배의 과도한 지방 더미에 묻혀 작게 보이는 경우이지요. 그렇다고
꼭
유아나 소아에게만 일어나는 현상은 아니며, 비만한 성인 남성도 치골 부위에 지방이 많아 음경이 묻혀버려 잘 보이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GIB 제공 이런 경우 성기의 성장 자체는 정상이므로, 주기적으로 ... ...
한국 노인에
꼭
맞는 표준 뇌 모형 개발
과학동아
l
2016.09.07
김 교수팀이 개발한 한국 노인 표준 뇌(왼쪽)와 기존의 서양인 표준 뇌(오른쪽). - 분당서울대병원 제공 지금까지 모든 뇌 질환 연구는 1988년 처음 뇌지도로 만들어진 60세 프랑스 여성의 뇌를 기준으로 해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환경이나 유전적인 차이에도 불구하고 연구에 쓰이는 뇌 모형이 ... ...
이전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