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분
차별
분할
갈라내기
선별
분류
분리
d라이브러리
"
구별
"(으)로 총 1,704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 최고(最古)의 금속활자본을 파헤친다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주조기술과 조판기술의 미숙함을 통해 우리는 그것이 목판본이 아니고 활자본임을 쉽게
구별
해낼 수 있다. 게다가 인쇄과정에서 모자란 금속활자를 일부 크기가 다른 활자로 메워 넣고 있다. 그래도 모자라서 몇 글자는 목활자를 대신 쓴 흔적까지 나타나 있다.기술이행의 전형계미청동활자를 부어 ... ...
낙타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라마의 습성은 과나코와 비슷하다.비쿠나는 횐색 턱받이가 있기 때문에 과나코와 쉽게
구별
할 수 있다. 한때 멸종위기에 처한 적도 있지만 남아메리카 국가들이 법으로 보호, 이제 일단 위기는 넘긴 셈이다. 1970년의 1만5천마리에서 1980년대에는 6만마리 이상으로 그 수가 증가했다.라마는 쉽게 ... ...
기름을 분해하는 박테리아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시간별로는 초기에 독성이 강한 종류와 후기 시간대에 독성을 나타내는 종류로
구별
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유화제의 합성에는 용제와 활성제의 선택에 있어서 미생물의 활성을 저해하지 않고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는 물질을 이용해야 함이 중요하다. 질소 인을 ... ...
컴퓨터 과학자들의 새로운 관심 「한글공학」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32개의 자소를 기본자소로 선택했다. 그리고 초성과 종성을 따로 구분하지 않고 그
구별
은 처리과정으로 미루었다. 만일 초성과 종성을 따로 구분한다면 사람이 타자를 할 때 할 일이 많아진다고 볼 수 있다. 표준글자판은 모음과 자음만으로 자소를 구분하였다고 하여, 2벌식이라 한다. 초성 중성 ... ...
벌레소리 듣는 뇌는?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서구인은 우뇌로 처리한다든가, 앞서 서술했던 벌레소리를 듣는데 좌뇌 우뇌의
구별
이 있다는 것 등이다. 이 이론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한 뇌 전문가들은 쓰노다씨의 실험이 매우 불충분한 뇌파측정에 근거하고 있다고 주장했다.쓰노다씨는 일본 성인 25명과 외국인 성인 9명을 대상으로 모음과 ... ...
고감도 우주망원경에 심각한 영향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것이다. 특수 회로를 설계해 방사선으로 말미암아 생기는 거짓 정보를 참 데이터와
구별
해 내는 원리다.또 특별 센서와 전자회로장치를 이용, 먼 우주에서 날아온 광자가 아닌 다른 입자가 포착될 경우 반응을 보이게 하는 방법이있다. 그럴 경우 자동적으로 추출된 자료는 즉각 지구로 보내지는 ... ...
동물원 밖에서는 이미 찾기 힘들다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한마리가 밀렵된후 공식기록이 없다. ■사향노루/동물성 자연향료일곱 아종으로
구별
되며 우리나라의 사향노루는 전남 목포분근에서 만주를 거쳐 동부 시베리아의 아무르-우수리지방까지 분포한다. 험한 바위 사이를 잘다니며 천적을 만나면 바위 틈에 숨는다. 숲속에서는 넘어진 바위 위나 ... ...
사람이 열쇠노릇한다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자물쇠는 어떤 것이 있을까. 신체 매개부위별로 살펴보자.■음성임식/감기걸린 목소리도
구별
사람들은 자기가 알고 있는 타인의 목소리 구조를 경험적으로 기억한다. 이와 같은 원리를 컴퓨터에 도입, 특정인의 목소리 정보를 기억시킨 뒤 한두 단계의 인식장치를 거쳐 신원을 파악하는 시스템이다 ... ...
마음은 벌써 시베리아에…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산에서 나는 모든 산물을 가공하는 법을 배우고 있다. 우선 1학년 때는 문과·이과만
구별
해 공통적으로 교양을 배우고 2학년이 되어야 비로소 전공을 다루게 된다. 4학년 때까지 우리가 다루는 모든 분야에 관해 폭넓게 공부하지만 자기가 관심있는 분야만 집중적으로 공부하기는 힘들다.우리가 ... ...
기억의 메커니즘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연상가가 높은 단어(예, 하늘-푸르다)와 또는 연상가가 낮은 단어(마당-춥다)로
구별
돼 짝지워졌다. 암기한 후에 인출하도록 한 결과 맥락으로 작용하는 단어가 표적단어의 회상에 좋은 단서로 사용됨이 입증됐다.□일화적 기억의 도식을 사용하라.우리는 많은 사건들을 겪으면서 살고 있는데, ... ...
이전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