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규정
법칙
규범
원칙
법규
원리
규율
d라이브러리
"
규칙
"(으)로 총 2,543건 검색되었습니다.
'명왕성'을 찾아 떠난 여행, 그 뒤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풍부한 난류경계층으로 변환되어 버핏(buffet ; 경계층의 박리에 의해 생기는 기체의 불
규칙
한 진동)을 막고 충격파의 발생에 의한 박리를 방지한다 소용돌이 모양의 팔(渦狀腕)이 중심부에서 뻗어나온 은하 중심부는 구상(球狀)과 막대 모양이 있으며 후자는「막대 소용돌이 은하」로서 구별되는 ... ...
PART2 과학으로 무장한 태극전사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연속 금메달을 따낼지, 정지현 선수가 2회 연속 금메달을 거머쥘지 주목해보자. 바뀐 경기
규칙
도 주의할 부분.특히 그레코로만형 그라운드 경기에서 엎드린 선수를 뒤집으려는 선수와 이를 버티려는 선수 사이의 힘겨루기가 백미.리스트 롤링*두 팔을 앞으로 뻗은 채 추가 철끈에 매달린 봉을 두 ... ...
트랜스지방이 함유된 음식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중요한 성분을 이루는 세포 섬유세포라고도 한다외형은 걸고 편평한 것이 대부분이며 불
규칙
한 돌기가 있는 것도 있다교원섬유의 형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그 세포질은 미토콘드리아 · 골지체 · 중심체 · 소지방구(小脂肪球) 등을 포함하지만 특수한 분화는 보이지 않는다화학성분이 ZnS인 육방정계 ... ...
올림픽 참가선수에게 위험한 베이징의 대기환경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사다리꼴의 법칙이라고도 한다가지 달린 고분자의 한 형으로서, 두 사슬분자 사이에
규칙
적으로 다리를 걸쳐 사다리모양 구조를 가진 중합체 천연물에는 이런 중합체가 거의 없으나 사문석 속의 섬유모양 결정의 일부가 이와 같다내열성을 목적으로 사다리중합체의 합성을 많이 시도하고 있으나 ... ...
베이징올림픽 주경기장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상의 상하좌우를 완전히 반전시키는 프리즘주기율표에서 볼 수 있는 원자가(原子價)의
규칙
1904년 독일의 R 아베크가 제기했다 즉, 양성원소가 양전하, 음성원소가 음전하로 결합하는 경우를 정상원자가로 하고 반대의 경우를 역(逆)원자가로 했을 때 정상원자가 및 역원자가의 최고값의 절대값의 ... ...
북극빙하가 녹고 있다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풍부한 난류경계층으로 변환되어 버핏(buffet ; 경계층의 박리에 의해 생기는 기체의 불
규칙
한 진동)을 막고 충격파의 발생에 의한 박리를 방지한다 소용돌이 모양의 팔(渦狀腕)이 중심부에서 뻗어나온 은하 중심부는 구상(球狀)과 막대 모양이 있으며 후자는「막대 소용돌이 은하」로서 구별되는 ... ...
스톤헨지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RNA이다보통 바이러스 입자는 지름 3~6μm의 다각체라는 단백질의 봉입체(封入體) 속에 불
규칙
하게 들어 있다다각체에는 정이십면체 · 정육면체 · 부정형 등 여러 가지이며 이런 모양은 바이러스의 종류 또는 계통에 따라 일정하다핵(核) 속이 아니라 세포질에 있는 유전자에 지배되는 유전 현상 ... ...
물 먹은 바오밥나무에서 해수욕 즐기는 펭귄까지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칼날처럼 보인다. 매끈해 보이는 모래 표면을 자세히 들여다보니 도마뱀과 작은 곤충의
규칙
적인 발자국이 보인다. 한쪽에서 엄지손가락 한 마디만 한 딱정벌레가 열심히 모래 굴을 파고 있는데, 이 딱정벌레의 사는 법이 기막히다. 이 딱정벌레는 사막의 극심한 일교차와 안개를 이용한다 ... ...
2. '신의 입자'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입자들 역시 질량이 매우 작다. 전자는 대략 10-32kg 이다. 아직 이들 입자의 질량에서 어떤
규칙
성도 발견되지 않았다. 그런데 여기서 누군가 이런 질문을 한다고 하자. “중성미자의 질량은 왜 10-36kg이고, 전자의 질량은 왜 10-32kg이죠?” 힉스 입자 질량은 얼마?물리학자들은 이 질문에 대한 답을 ... ...
여름방학과 여름휴가를 수학책과 함께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가설은 독일의 수학자 베른하르트 리만이 주어진 숫자보다 작은 소수의 갯수를 구하는
규칙
을 연구하다가 생각해낸 추측이다. 즉 ‘제타 함수의 자명하지 않은 모든 근들은 실수부가 1/2이다’로 표현된다.'수학자인 저자는 일반인은 도저히 무슨 소리인지 알 수 없는 리만 가설을 역사적인 배경을 ... ...
이전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