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존"(으)로 총 4,799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암세포 ‘원샷 원킬’ 작은 RNA가 뜬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안 연구원은 “서로 다른 항암 효과를 주는 두 종류 이상의 siRNA를 함께 전달할 수 있고, 기존 항암 화학치료제에 대한 거부반응(항암 내성)을 완화시켜 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연구팀이 항암 내성을 일으키는 단백질을 억제하는 siRNA와 항암제를 함께 투약해 실험한 결과 항암제만 먹을 ... ...
- [Tech & Fun] 로봇 의수의 혁신 ‘아이림’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이라는 이름의 세계 최초의 판매용 전자 의수를 내놨다. 2007년의 일이다.iLIMB아이림은 기존의 의수와는 차원이 다른 혁신적인 발명품이었다. 일단 이 전자의수는 다양한 형태의 그립(움켜쥐기)이 가능했다. 예를 들어 정밀그립은 검지, 엄지, 중지를 만나게 하는 방식으로, 동전이나 열쇠 같은 작은 ... ...
- [Tech & Fun] 센서스 코무니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되어 있습니다. 의류 브랜드 ‘갭’이 로고를 바꾸려다가 뉴로마케팅을 통해 사람들이 기존 로고를 더 좋아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고는 계획을 백지화한 에피소드가 유명하지요. 저는 ‘뉴로폴리틱스’라는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기로 마음먹었습니다. 뇌공학과 현실정치를 연결하는 겁니다. 어느 ... ...
- Part 3. 자꾸자꾸 굽어가는 세상수학동아 l2016년 11호
- 다니려면 몸의 형태에 맞게 굽혀야 하고, 에너지원인 배터리도 굽힐 수 있어야 한다. 기존에 쓰이고 있는 ‘리튬이온배터리’는 태생적으로 굽히기 힘들다. 굽힐 수 있는 배터리를 만들기 위해 새로운 기술을 만들어야 했다. 평면만 생각했던 유클리드 기하학에서 굽은 곡면을 생각한 수학자들이 ... ...
- [포커스 뉴스] 4세대 방사광가속기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치료제인 타미플루를 개발하는 데 공헌하기도 했다.1996년부터 가동했던 포스텍의 기존 방사광가속기(3세대)와 비교해 4세대 방사광가속기는 모양부터 확연히 다르다. 1세대와 2세대, 그리고 3세대는 원형이다. 동그란 가속기를 이용해 전자빔을 구부리며 가속하는데, 이 과정에서 접선 방향으로 빛이 ... ...
- Part 2. 더 빠른 열차, 어떻게 만드는 걸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그 결과 KTX 산천보다 공기저항을 10%나 덜 받는다.]▼[더 가벼워진 몸체 철로 만들어진 기존의 열차와는 달리 몸체를 가벼운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서 무게가 KTX 산천보다 5% 줄어들었다. 무게가 가벼우면 더 적은 에너지로 더 빨리 달릴 수 있다.동력분산식 엔진 410kW짜리 엔진 20대가 각 차량에서 ... ...
- [포커스 뉴스] 갤럭시노트7 폭발 사고, 정말 배터리 때문?과학동아 l2016년 10호
- C는 USB3.1의 성능을 제공하는 케이블로 최대 100W(20V, 5A)의 전력을 주고 받을 수 있다. 기존에 쓰던 USB3.0에 비하면 10배나 큰 전력이다. 그만큼 많은 열이 발생할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전자업계 연구원은 “보호회로가 이 정도 전력을 감당할 수 없었던 게 아닐까 하는 의문이 든다”고 ... ...
- [News & Issue] 뇌 주름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물체를 작게 압축하거나, 반대로 납작한 것을 크게 부풀릴 수 있다. 또는 표면적을 넓혀 기존보다 효율적으로 물질이나 전기신호를 주고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약물을 전달하는 시스템이나 반도체 소자, 태양전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개발하는 데 활용될 전망이다. 겉으로 드러난 것보다 ... ...
- PART 1. 연구비보다 '연구 자유'가 중요했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수상자 123명의 수상 핵심 업적에 해당하는 논문 161편을 모았다(2000~2008년 성과는 기존 논문 doi:10.1096/fj.09-148239의 결과를 참고). 논문 저자가 자신이 받은 도움에 대해 기록하는 이른바 ‘논문 사사(acknowledgement)’를 확인하기 위해서다.논문을 게재하는 저널마다 정책이 조금씩 다르지만, 저자는 ...
- [News & Issue] 전 우주에 고한다 외계문명 응답하라!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과정에서 초신성 폭발이 생명체에 미치는 악영향이 생각보다 미미할 거라고 추정했다. 기존 연구에서 과학자들은 8파섹(약 26광년) 이내의 거리에서 초신성이 폭발하면 그로부터 나온 방사선이 행성에 있는 모든 생명을 멸종시킬 거라고 가정했다. 그러나 전체 우주의 초신성 폭발 빈도로 ... ...
이전1481491501511521531541551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