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등
동일
매한가지
피차일반
매일반
피장파장
d라이브러리
"
마찬가지
"(으)로 총 4,619건 검색되었습니다.
조각 낼 때마다 분신 탄생!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자르든지 어느 조각이나 완전한 한 마리로 자라날 수 있어요. 아부바커 박사님은 우리와
마찬가지
로 편형동물인 지렁이를 관찰했대요. 지렁이는 이 특별한 유전자가 없거든요. 그래서 지렁이는 몸을 자르면 바로 죽는답니다.나에게도 불멸의 방법을 알려 주겠니?과학자들은 우리들이 영원히 죽지 ... ...
남자를 지켜줘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어머니에게서 혈우병 유전자가 있는 X염색체를 물려받으면 빼도 박도 못한다. 색맹도
마찬가지
다. 색맹을 일으키는 유전자도 X염색체에 있어서 색맹은 남자에게 훨씬 더 많이 일어난다.쌍으로 다니는 다른 염색체와 달리 남자답게(?) 평생을 홀로 다니는 Y염색체가 숙명적으로 겪을 수밖에 없는 ... ...
“다이내믹한 활동으로 열정을 드러내”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좋아요.”질문을 유도할 만한 거리를 갖고 들어가는 것이 좋다. 자기소개서를 쓸 때도
마찬가지
다. 질문이 나올 수 있게 쓰면 예상문제를 만들기도 쉽다.김은지 양은 현재 1학년 기초과정을 듣고 있다. UNIST는 입학할 때 학과를 미리 정하는 것이 아니라 무학과로 입학 후 1학년 기초 과정을 들어보고 ... ...
우리 집을 공개합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있지만 많은 곳들은 지금도 거의 달라지지 않았다. 전통을 중시하는 유럽 일부 지방도
마찬가지
다. 반면 1994년 한국의 모습과 지금을 비교해보면 우리나라가 얼마나 현기증 나는 속도로 변해왔는지 실감이 날 것이다.카메라는 선진국보다는 개발도상국에 더 눈길이 간다. 아시아나 아프리카의 많은 ... ...
‘SNS 내 얘기’는 돈만큼 짜릿하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자신의 얘기를 하기 위해 얼마 되지 않는 돈을 포기할 수 있다고 생각한 것과
마찬가지
”라고 말했다.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미국 텍사스대 심리학자 제임스 페너베이커는 이번 연구 결과에 대해 “맞는 것 같다”며 “우리는 다른 사람들이 자신의 얘기를 들어주는 것을 매우 좋아한다. 그렇지 ... ...
스마트폰의 역습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기기 자체의 결함이었는지, 소프트웨어 충돌 때문이었는지 알 수 없다. AS센터에 맡겨도
마찬가지
다.상황이 이렇다 보니 모바일 보안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안들이 거론되고 있다. 보안 전문가들이 내놓고 있는 방안은 앱과 네트워크 검증이다. 앱과 네트워크를 분석해 악성코드 유무를 ... ...
모든 비과학에 맞선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했다. 어쨌든 7만 명이나 되는 사람이 목격했다. 이걸 믿어야 할까.도킨스는 카드 놀이와
마찬가지
로, 1)정말로 그런 일이 일어났거나 2)7만 명이 동시에 환각을 경험했거나 3)사건이 과장됐거나 조작된 세 경우로 원인을 구분해 하나하나 따져본다. 세 번째가 그나마 가장 일어나기 쉽다. 누군가 ... ...
통신 오류 잡는 수학 ‘마술사’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받는 과정 중간에 정보가 왜곡되거나 오류가 생기가 쉽다. USB 메모리의 파일을 읽을 때도
마찬가지
다. 저장한 파일을 다시 읽을 때 데이터가 깨질 수 있다. 노종선 교수가 연구하는 것은 바로 이런 데이터 오류를 정정하는 기술이다.“무선통신, 위성통신, 군통신, 방송 등에서 데이터를 무선으로 ... ...
마법 요리의 세계로 오세요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열심히 공부해 화학 연구원이 되는 게 꿈이다. 나서는 걸 싫어했던 김한슬 학생도
마찬가지
다. 과학봉사를 갔던 시설 학생들에게 더 도움을 주고 싶어 수학, 영어를 가르치는 ‘학습봉사’도 시작했다.PSL은 학습과 인성 면에서 학생들에게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학생들 인생의 터닝 포인트가 된 ... ...
[6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읽는 독자 입장에서는 지치고 힘들다. 후반부에 나오는 독극물의 종류에 대한 내용도
마찬가지
다. 독극물의 이름은 생소할 수 있겠지만 생활 속의 독극물이나 독극물의 활용이라는 내용으로 좀 더 흥미를 이끌어냈으면 더 좋았을 것이다. 독자의 시각에서 쉽게 내용을 전달하는 것도 기사를 쓰는 ... ...
이전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