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관련성
상관
d라이브러리
"
비교적임
"(으)로 총 2,555건 검색되었습니다.
다섯행성을 어떻게 찾았을까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별 사이의 움직임 따라가기우리는 흔히 ‘지구는 둥글다’고 알고 있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지구가 둥근 모습을 보지 못한 채 평평한 지면으로만 보인다. 코페르니쿠스 덕분에 지구는 태양 주위를 1년에 한번씩 공전하면서 자신도 자전한다는 것을 알게 됐다. 그러나 실제 생활에서는 지구가 자전 ... ...
밀레니엄 베스트 사이트 10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인터넷의 지존은 어느 곳일까.1등 사이트만이 생존할 수 있는 이 세계에서 지존이야말로 명예와 돈을 한꺼번에 거머쥔다.새로운 밀레니엄을 이끌어갈 대표적인 국내외 사이트를 알아보자.해마다 연말이면, 올해의 가수상 같은 시상식이 사방에서 열린다. 1년을 마무리하는 의미에서 상을 주고받는 ... ...
Ⅱ. 체질인류학/신석기시대인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한국인 머리뼈는 앞뒤 폭이 좁고 위아래 길이가 긴 것이 특징이다.그렇다면 이런 머리뼈를 갖춘 옛사람이 한국인의 조상일 것이다.한반도에 살던 신석기시대의 사람이 바로 그 주인공이다.먼옛날 한반도 지역에 살았던 사람들은 어떻게 생겼을까. 키가 컸을까 작았을까. 얼굴은 둥그스름했을까 네 ... ...
사하라에서 새로운 공룡 발견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시카고대학의 고생물학자 폴 세레노가 사하라사막에서 두 종류의 새로운 공룡화석을 발견됐다. 요바리아 티구이덴시스(Jobaria tiguidensis )는 긴 목과 큰 이빨을 가지고 있었으며, 1억3천만년 전에 나타난 초식공룡인 용각류의 원시형태로 보인다. 다 자란 요바리아 티구이덴시스는 몸무게가 20t, 길이 ... ...
Ⅴ. 한국형 인간게놈프로젝트 10년간 1천억 투자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2000년 3월경 인간게놈프로젝트가 90% 이상 완수돼 '인체설계도'의 초안이 작성될 예정이다. 그리고 2003년 인간게놈프로젝트가 완성된다. 그런데 한국 과학기술부는 2000년 부터 게놈연구에 본격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외국에서 이미 완성돼가는 사업을 한국에서 조만간 시작한다는 말은 무슨 의미 ... ...
냄새나는 건강지표 똥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태어나면서부터 죽을 때까지 끊임없이 일어나는 배변. 흔히 냄새나고 더럽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건강예보자로 불릴 수 있을 만큼 중요한 존재다."장이 편해야 하루가 편안합니다"라는 광고 카피가 있다. 맞는 말이다. 잘 먹고, 잘 자고, 잘 배설하는 것을 건강체크의 3대 조건으로 삼는 것만 봐도 그 ... ...
방사성 쓰레기가 갈 곳은?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한때 수려한 산에 쓰레기가 넘쳐나던 시절이 있었다. 아무 생각없이 하나 둘 버린 것들이 흉물스러운 쓰레기동산으로 변했던 것이다. 그런데 지금은 전국 어딜 가나 깨끗한 산을 만날 수 있다. 사람들이 쓰레기란 함부로 버려서는 안된다는 인식을 갖기 시작하면서부터다. 다만 바위틈, 나무밑에 미 ... ...
2. 날씨 따라잡기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일기예보는 내일의 의상을 선택하는 것에서부터 우주선 발사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일기예보의 소비자다. 소비자의 입장에서 어떻게 일기예보가 공급되는지 살펴보자.내일 저녁부터는 쌀쌀해져서 주말엔 예년 기온보다 떨어지겠습니다. 내일 중부 지방은 비올 확률이 20%로 비 ... ...
1. 열대기질 한대기질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고수머리의 열대 사람들은 팔과 다리가 길며, 갈기머리의 한대 사람들이 팔과 다리가 짧은 것은 기후에 적응하려는 자연적인 모습이다. 뿐만 아니다. 기후는 사람들의 기질과 경제 생활에도 영향을 미친다.순화란 의미의 ‘acclimatization’이란 영어 단어가 있다. 이 단어는 기후(climate) + 응(應)하여(ac ... ...
생물의 최후 천태만상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생물이 생을 마치는 모습은 모두 제각각이다. 하루살이보다 짧게 사는 생물도 있고, 집단의 수를 줄이려고 스스로 죽음을 택하는 종류도 있다. 코끼리는 죽을 곳을 스스로 찾아간다는데 과연 사실일까.중국 전국시대의 철학자 장자(壯者)는 부인이 죽었을 때 울지 않았다고 한다. 울기는 커녕 항아 ... ...
이전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