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존재
인생
실존
서바이벌
잔존
존속
생계
d라이브러리
"
생존
"(으)로 총 2,057건 검색되었습니다.
중세) 영원히 멈추지 않는 꿈의 기관
과학동아
l
1998년 04호
채 지치지 않고 끊임없이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영구기관이 존재한다면 어떨까. 인류의
생존
을 위협하는 에너지 고갈 문제가 무난히 해결될 것이다. 물론 현대 물리 법칙에 따라 에너지는 창조되거나 소멸될 수 없고(열역학 제1법칙), 에너지가 다른 형태로 전환될 때마다 일부 에너지가 쓸모없는 ... ...
2. 달기지가 만들어진다면
과학동아
l
1998년 04호
옷에다 오줌을 누는 것은 당연1969년 7월 20일 달에 처음 착륙했던 아폴로 11호 때의 일이다. 닐 암스트롱에 이어 두번째로 달에 내려서던 에드윈 올드린은 ... 영하 1백30℃를 오르내리는 것을 어떻게 해결할지를 고민해야 할 것이다. 그것은 인간의
생존
과 관련된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이다 ... ...
Ⅰ 생명체 곰삭이는 자연의 분해자: 버섯은 곰팡이 일종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보면 자식의 유전자는 어머니와 동일할 수밖에 없다. 만일 환경이 갑자기 바뀌어
생존
이 어려워진다면 곰팡이 가족은 떼죽음을 당하게 된다. 자식들 중 유전자 구조가 다르면 환경이 변해도 '억척스럽게' 살아남는 개체가 있다.하지만 대대손손 똑같은 유전자가 전해질 뿐이라면 상황은 어려워진다. ... ...
북한에 다녀온 옥수수박사 김순권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것이다. 스트라이가에게도 존재의 의미를 인정해줘야 했다. 그는 스트라이가에게 5%의
생존
을 허락해주면서 스트라이가가 일으킬지도 모르는 돌연변이를 막고 다른 병해에도 저항성을 갖는 복합유전자를 갖는 옥수수품종을 개발하고자 했다.처음에 이 생각은 불가능한 것으로 치부됐다. 아프리카 ... ...
Ⅳ 별난 곰팡이 세가지: 고등생물과 공생하면서 환경운동도 펼쳐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발생할 뿐이다. 왜 그럴까.송이버섯은 살아있는 소나무와 공생관계를 이루어야 비로소
생존
이 가능하다. 곰팡이가 다른 생물과 공생을 한다? 그렇다. 자연계에서 이런 관계는 드물지 않다.많은 종류의 고등식물에서 뿌리 주위의 토양에 곰팡이의 균사(실모양의 곰팡이 본체)가 발달한 모습을 발견할 ... ...
Ⅱ 병주는 곰팡이: 건강 약해진 틈 노리는 병균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건물의 환풍장치나 불순물을 거의 제거한 증류수에서와 같은 미처 생각치 못한 곳에서도
생존
한다는 점이 밝혀져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평화의 상징'인 비둘기도 조심해야 한다. 비둘기 똥에 존재하는 많은 수의 곰팡이(Cryptococcus neoformans)가 몸이 약해진 사람에게 치명적인 질병을 일으키기 ... ...
Ⅲ 약주는 곰팡이: 페니실린의 후예들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위한
생존
수단으로 이런 물질을 만드는 것 같다. 먹이가 모자른 상황에서 다른 미생물과
생존
경쟁을 벌이다 보면 다른 미생물을 죽이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 ...
전염병 실체 밝힌 세균학의 아버지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또한 탄저균은 약하고 잘 죽지만, 그 포자는 저항력이 강해 공기 중이나 흙 안에서 오래
생존
하며 동물체 내에 들어가면 다시 세균이 돼 증식해 탄저병을 일으킨다는 사실도 발견했다.탄저병 연구로 자신을 얻은 코흐는 블레슬라우 대학의 저명한 학자들에게 자신의 결과를 설명했다. 학창시절의 ... ...
동물이 경칩날을 아는 비결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겨울잠을 본떠 '칩거'라는 말을 쓴다. 그러나 동물들의 겨울잠은 휴식이 아니라 치열한
생존
력을 발휘해야 하는 고통스런 과정이다.개구리, 뱀 등은 겨울동안 얼지 않을 곳을 찾아 몸을 웅크린 채 인내하며 봄을 기다린다. 만일 기온이 떨어져 0℃ 이하로 내려가면 여지없이 얼어죽고 마는 위험 속을 ... ...
유인원 보노보의 여성천하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카노이다.보노보는 현재 중앙 아프리카의 자이르에 있는 작은 밀림에 1만마리 가까이
생존
해 있다. 보노보는 과일나무를 옮겨다니면서 열매를 먹고 산다.침팬지는 돌연장으로 열매를 깨서 먹지만 보노보는 도구를 사용할 줄 모른다. 그러나 보노보는 침팬지보다 훨씬 민감하다. 제2차 세계대전 중에 ... ...
이전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