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셈"(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 08 양자의 얽힘(EPR 역설) - 빨간 약을 먹으면 양자세계가 사라질까?과학동아 l2014년 08호
- 나왔는데 4년 뒤에 알파 센타우리의 결과가 파란 색이라면 우주가 모순을 일으키는 셈 아닌가? 양자역학적 상호관계는 빛의 속도보다 빨리 전달되는 것처럼 보인다.이를 다른 말로 ‘관계가 비(非)국소적’이라고 한다. 아인슈타인은 이 때문에 양자역학이 잘못됐다고 주장한다. 슈뢰딩거는 이런 ... ...
- Part ➊ 수학자들의 올림픽, 세계수학자대회수학동아 l2014년 08호
- 제외했지만, 올림픽은 취소된 1916년, 1940년, 1944년 올림픽을 각각 제6회, 12회, 13회로 셈해, 2012 런던올림픽이 30회가 된 것이다. 하지만 실제 올림픽이 열린 횟수는 27회로 세계수학자대회와 같다.한눈에 보는 세계수학자대회의 역사세계수학자대회와 올림픽은 비슷한 시기에 중요한 변화를 맞는다는 ... ...
- PART2 - 군집로봇 뇌 속엔 무엇이 들었을까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제어기법’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자연계의 군집행동을 로봇에 특화한 알고리듬인 셈이다.리더가 고장나면 나머지 로봇은 어떡하지?.최초의 포메이션 제어기법은 1998년 미국 조지아공 대 로널드 아킨 교수가 개발했다. 몇 가지 ‘모드’를 정해놓고 필요할 때 켜고 끄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각 로 ... ...
- ❸ 양자역학 - 행렬 곱셈으로 양자 운동을 계산하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하다❷ 일반상대성이론 - 절친 수학자가 열어준 아인슈타인의 기적❸ 양자역학 - 행렬 곱셈으로 양자 운동을 계산하다❹ 힉스입자 - 수학적 대칭이 깨지면 질량이 생겨난다❺ 수리생물학 - 수학과 생물학 아무도 예상 못한 커플❻ 의학&공학 - 내 몸을 꿰뚫어보는 수학, 몸 구석구석 흐르는 수학❼ ... ...
- 눈으로 세상을 제패한 빛의 지배자 - 삼엽충과학동아 l2014년 08호
- 그런데 삼엽충의 뼈대는 방해석(탄산칼슘, CaCO3)이라는 광물질로 돼있다. 뼈대가 돌인 셈이다. 방해석은 시멘트를 만드는 석회암의 주성분으로, 바다에 사는 산호나 조개의 딱딱한 골격이 대부분 탄산칼슘으로 이뤄져 있다. 칼슘과 이산화탄소는 바다에서 구하기 쉬운 원료이기 때문에 탄산칼슘 ... ...
- [Life & Tech] 한밤중 모기의 습격, 불임수컷으로 완전정복과학동아 l2014년 08호
- 나온다. 끝이 보이지 않는 화수분처럼 지하실에서 계속 새로운 모기가 튀어나오는 셈이다. 매년 200만 명 모기 때문에 죽어한밤중에 한 손에는 살충제를 들고 매의 눈으로 방을 훑으며 모기와 싸우고 있노라면 ‘물려도 가렵지 않고, 귀에서 시끄럽게 굴지 않으면 얼마든지 피를 내 줄 수 있다’는 ... ...
- Part 2. 직접교차분화, 암 뛰어넘는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원하는 세포로 분화를 유도하는 정교한 기술이 필요해진 것이다. 장점이 곧 단점인 셈이다. 혹시 손상된 조직에 만능줄기세포를 찔러 넣으면 알아서 원하는 세포로 분화하지 않을까? 아쉽게도 만능줄기세포는 종양처럼 무한 증식하는 특성이 있다. 미분화상태로 조직에 들어가면 암의 일종인 ... ...
- 멍청아! 문제는 배터리야 PART 1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늘어났다. 컴퓨터 프로세서의 처리속도가 2년마다 2배씩 늘어나는 데 비해 5배나 느린 셈이다. 더구나 리튬이온전지가 상용화된 지 20년이 훌쩍 지나 이제는 성능을 더 이상 개선하기 어렵다. 그렇다고 세상에 없던 신소재를 개발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만약 리튬이온전지를 구부리고 접을 수 ... ...
- 남성미 물씬 사각턱, 이유는 ‘강펀치’과학동아 l2014년 07호
- 광대뼈를 단단하게 만들어 방패로 삼아야 유리했지만 여성은 굳이 그럴 필요가 없었던 셈이다.그간 생물학계에서는 인류가 견과류와 과일의 씨, 나무껍질 등 거친 음식을 먹었기 때문에 강한 턱을 갖게 된 것이라고 추정해왔다. 하지만 이 가설은 남성의 얼굴형은 각진 경우가 많은 데 비해 여성은 ... ...
- 이보다 수학을 사랑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모든 사물과 현상을 수의 관점에서 바라본다. 수는 바깥세계와 소통하는 통로인 셈이다. 작품에는 그만큼 다양한 수학 개념이 등장한다.박사는 교코와 처음 만나는 자리에서 신발 사이즈를 묻는다. 그녀가 24라고 답하자, 박사는 “4의 계승(4×3×2×1)이기 때문에 고결한 수”라고 말한다. 교코가 ... ...
이전1481491501511521531541551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