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정
뜻
뜻매김
도리
정당
정념
정도
d라이브러리
"
정의
"(으)로 총 1,791건 검색되었습니다.
화면속에 뛰어들어 실제체험 느끼는 가상현실의 세계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불과하다. 어쩌면 가상현실이 인류생활의 일부분이 될지도 모를 그 때에는 '현실'에 대한
정의
가 새롭게 내려질지도 모를 일이다.환경변화에 민첩한 기업들은 이 가상현실을 상품개발이나 선전에 연결시켜 보려고 궁리하고 있다. 이미 인공현실이란 선전문구를 붙여 시장에 상품을 내놓은 기업도 ... ...
준비는 완료, 장기확보가 문제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결코 의료기술차원에서만 해결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다. 죽음에 대한
정의
와 정확한 판정, 장기기증의 확대와 매매근절등은 건강한 사회를 꿈꾸는 모든 사람들이 함께 고민해야할 공동의 과제인 것이다 ... ...
정자(精子)전쟁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과정에서 발생하는 높은 정자사망률을 방지, 자궁내로 많은 수의 정자를 주입함으로써 수
정의
가능성을 높인다. 요즈음은 정자가 난자에 이르는 모든 경로를 생략하고 여성에게서 채취한 난자를 시험관에서 정자와 결합시켜 수정에 성공한 수정란을 자궁에 직접 착상시키는 체외수정법(in vitro ... ...
행성은 한 별자리에 머물지 않는다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만일 인류의 문명이 지구상 남반구에서 시작됐더라면 시계 방향은 틀림없이 반대로
정의
됐을 것이다(이 서술도 결코 이해하기가 쉬운 것은 아니다).이제 천체의 시운동을 총정리하는 의미에서 다음과 같은 예문에서 천문학적으로 틀린 곳 다섯군데를 모두 찾아내 보자.…자정이 막 지난 초여름밤, ... ...
새봄 새싹 위에 펼쳐지는 작은 촛불잔치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시절의 사냥개자리는 지금과는 많이 달랐다고 한다. 지금의 모습처럼 사냥개자리가
정의
된 것은 17세기 폴란드의 천문학자 요하네스 헤벨리우스(Johannes Hevelius, 1611-1687)에 의해서다.그러나 그후 이 별자리의 그림에 중요한 변화가 생기게 되었다. 그것은 바로 남쪽 별 카라의 목걸이에 심장을 ... ...
보름달이 초저녁 동쪽하늘에 뜨는 이유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그려져 있다. 물론 그림의 춘분 하지 추분 동지란 말들은 북반구(우리나라) 기준으로
정의
된 것이다. 천구의 적도(δ=0˚)가 천정을 지나는 직교하는 대원이라는 사실을 상기하면 (그림2)를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전혀 없으리라고 본다. 이제 적도 지방에서는 여름날 그림자가 남쪽으로 향한다는 사실을 ... ...
수학적 발견은 우연인가, 필연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사람을 공통적으로 알고있을 확률이 얼마일까?"하는 것이다. '아는 사람'이라는 용어를
정의
하기가 힘들다는 점 외에도 정확한 확률을 계산해내는 것 자체도 쉬운 일이 아닐 것이다.그러나 연구에 따르면 세상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생각하듯이 그렇게 넓은 세계는 아니라고 한다. 다음과 같은 경우를 ... ...
바이오스피어Ⅱ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것들생물권 안에서 이산화탄소로부터 유기물질이 생산되는 양을 총 1차생산량이라고
정의
한다. 총 1차생산량중에서 일부를 생산자 자신들의 성장과 생명활동 유지를 위해 소비하는데 이를 생산자호흡 또는 독립영양생물 호흡이라 한다. 그리고 남는 부분은 생산자의 조직에 축적되는데 이를 순 ... ...
악어와 거북은 온도따라 성(性)이 결정된다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것은 암컷 뿐이었다(그림3). 암수 부화시기의 차는 통계적으로 유의할 만하다. 온도성결
정의
연구는 여러가지 중요성이 있다. 그중 하나는 파충류를 보호하는데 큰 역할을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바다거북의 알은 야외에서는 다른 동물들에게 먹혀버릴 우려가 많기 때문에 실내에서 부화시켜 ... ...
별은 왜 비스듬히 뜨고 지는가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0°<φ<90°)상의 관측자에 대한 천구가 그려져 있다. 자오선은 (그림3)에서와 똑같이
정의
된다. 이 경우 관측자에 대한 천구의 북극고도는 φ와 같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것은 (그림5)처럼 이해할 수도 있다. (그림2)(그림3)(그림4)를 이해하는데 관측자가 적도위로부터 북극쪽으로 여행함에 따라 ... ...
이전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