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제안"(으)로 총 2,006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스코 시스템즈과학동아 l2000년 06호
- 어려움을 외면할 수 없다. 시스코의 사원들이 어떤 제안을 할 때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제안서에 고객들의 반응을 집어넣는 것이다. 아이디어를 설명하는 초기 5분 안에 주요 고객의 이름이 최소한 서너개는 거론되고 이들이 아이디어를 얼마나 호의적으로 받아들이는지 증명할 수 있다면 이 ... ...
- 뇌파는 신호일까 잡음일까?과학동아 l2000년 06호
- 버클리 소재) 월터 프리먼 교수를 비롯해 몇몇 신경물리학자들이 간단한 모델을 제안하기도 했으나 그다지 성공적이지는 못했다. 그 이유 중에는 뇌파를 만드는데 관여되는 신경세포들의 수가 너무나도 많기 때문이다. 최소 수만 개에서 많게는 수백만 개의 신경세포들이 동작하며 만들어내는 ... ...
- 3. 우리은하는 어떻게 탄생했을까과학동아 l2000년 05호
- 거의 같은 질량을 갖는 나선은하의 충돌, 병합에 의해 형성됐다는 가설을 처음 제안한 이래, 1980년대와 90년대 여러 천문학자들에 의해 병합의 증거가 발견됐고, 역학적인 충돌·병합 모형이 계산됐다. 은하에서 병합의 증거는 양파 껍질 모양의 겹구조가 있는 경우, 두개 이상의 핵이 존재하는 경우, ... ...
- 자연과학계의 이단자 바이로메드과학동아 l2000년 05호
- 임상시험을 완전히 거쳐 제품으로 탄생한 경우는 하나도 없다.1994년 김교수의 연구제안서가 과학기술처(현재 과학기술부)가 주관하는 G7프로젝트에 채택돼 본격적인 유전자 운반책 연구가 시작됐다.물론"미국에서도 성공하지 못한 것을 어떻게 한국에서 개발하느냐"며 난색을 표하는 관계자들을 ... ...
- 2. 모두가 제각각 은하의 모습과학동아 l2000년 05호
- 최근에는 타원은하의 밝기와 물리적 특성이 연관돼 있다는데 착안한 수정된 세분법이 제안되기도 했다. 나선팔이 전혀 보이지 않는 이 은하에서는 가스나 먼지 같은 성간 물질의 양이 아주 적고, 젊고 뜨거운 별들도 잘 발견되지 않는다. 최근 허블우주망원경 등의 관측에 따르면 타원은하의 ... ...
- Ⅰ. 과학교과서를 버려라 : ① 과학시간에 SF영화를 보자!과학동아 l2000년 05호
- 영화를 예로 들면서 SF영화를 학교 과학수업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6가지 방법을 제안한다.1 영화 속 상황에서 벌어질 수 있는 다양한 문제를 토의영화에서 보여진 각 현상들이 실제로 일어날 수 있는 지와 영화에서 제기되는 다양한 윤리적 문제들을 토의할 수 있다. 두 영화에서는 지구로 ... ...
- 1. 태양계의 행성에 다다른 우주선들과학동아 l2000년 04호
- 하는 행성의 공전궤도를 타원으로 연결하는 새로운 비행궤도를 만들어 비행할 것을 제안했다. 이를 ‘호먼 궤도’라고 한다. 이 새로운 타원 비행궤도는 행성의 공전에너지를 이용해 우주선을 최소의 에너지로 다른 행성에 보내는 것이기 때문에 ‘최소 에너지 궤도’라고도 불린다. 그러면 인간이 ... ...
- 2. 별 여행을 실현시킬 미래의 추진기술과학동아 l2000년 04호
- 일단의 과학자들은 원자탄을 항성간 우주선의 추진 장치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제안했다. ‘오리온계획’이라 명명된 이 계획은 매초 수 개의 원자탄을 우주선 후미에서 폭발시키고, 이 폭발 에너지로 추진판을 밀어내 우주선을 추진시킨다는 것이다. 실제로 다이손 등은 1959년 화약을 이용한 ... ...
- 프톨레마이오스와 주전원 이론과학동아 l2000년 04호
- 달, 지구, 그리고 다섯 행성이 태양 주위를 돈다는 태양중심적 우주체계를 제안했다. 그러나 너무 일찍 나타난 천재였을까? 그의 생각은 관심을 거의 끌지 못했다. '우주의 중심에 정지해 있는 지구'를 굳게 믿었던 당시의 상식에 맞지 않았기 때문이다.그로부터 4백여년이 지난 후 프톨레마이오스는 ... ...
- 1. 수학을 배워서 어디에다 쓰나과학동아 l2000년 03호
- 그리스의 파르테논 신전이나 이집트의 피라미드를 설계할 때 아름다운 황금비를 제안했으며,필요한 돌의 양을 미리 알려줬다.1천5백여년이 지나 지구가 둥글다는 것을 발견하고,태양을 도는 행성등의 궤도가 원이 아니라 타우너이라는 것을 발견한 케플러(1571-1630)의 업적도 그리스의 기하학이 ... ...
이전1481491501511521531541551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