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구도"(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수학으로 따지기2. 외계인을 어떻게 찾아?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이렇게 수학으로 알아보고 나니 직접 보지 못했더라도 어딘가 외계인이 꼭 있을 거라는 생각이 드네요. 그런데 제가 요즘 외계인에 관한 영상을 올리다 보니 외계인을 찾는 단체에서 연락이 왔어요. 그래서 어떤 단체인지, 어떻게 찾는지, 알아봤답니다. 제게 연락한 분들은 자신들을 세티 프로젝 ... ...
- 바이러스는 어떻게 생겨났을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특정 생명체가 최초에 어떻게 생겨났는지, 그리고 그 이후에 어떻게 변했는지 알기 위해서는 흔히 화석이라는 증거를 활용한다. 하지만 바이러스는 크기가 너무 작은 데다가 DNA 또는 RNA 같은 유전물질을 단백질 껍질로 감싸고 있는 구조이다 보니, 뼈나 잎맥 같은 단단한 부위가 있어야만 만들어지 ... ...
- 무조건 막는다, 면역세포의 방어 전략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우리 몸은 왜 병에 걸리는 걸까. 병은 신체 내 유전자와 환경요인이나 바이러스, 박테리아(세균)처럼 신체 밖에서 온 물질(항원)의 침투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나타난다. 병의 원인이 신체 내부나 외부 어디에서 오든지 상관없이 우리가 가진 방어체계는 그 상황에 맞게 대응할 능 ... ...
- [특집] 수학으로 따지기1. 외계인은 진짜 있을까?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제가 수학 좀 합니다. 그래서 무작정 찾기보다 수학적으로 외계인이 정말 존재하는지 먼저 알아보기로 했습니다. 또 외계인이 있다면 왜 아직 보지 못했는지 수학적으로 따져봤습니다. 똑똑한 외계인 있는지 알려면 고려할 요소는?외계인의 존재 유무를 밝히는 다양한 방정식이 이미 만들어 ... ...
- 기후변화에 무관심한 정부 우리가 빼앗길 미래는?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산업혁명 이후 많은 양의 온실가스가 배출되며 지구의 온도는 약 1.1°C 상승했다. 이런 위기 속에 2015년 12월 12일 200여 개의 나라는 지구의 평균 온도 상승 폭을 산업화 이전 대비 2°C 이하로 유지하는 ‘파리협정’을 맺었다. 우리나라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의 37%를 줄인다는 국가목표를 세웠지 ... ...
- 좋은 바이러스도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이이제이(以夷制夷). 오랑캐로 오랑캐를 무찌른다는 뜻을 가진 이 사자성어는 우리가 바이러스를 활용하는 데도 들어맞는다.바이러스는 1900년경 인류에게 감염병을 전파하는 원인 물질로 밝혀지면서 물리쳐야 할 악(惡)으로 여겨지기 시작했다. 그래서 백신과 치료제를 개발하며 악에서 벗어날 ... ...
- Chapter 03. 감염 I 엉성한데 통했다, 바이러스의 생존 전략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대충 만들어 빠르게 퍼뜨리자.바이러스의 생존 전략은 명확하다. 숙주세포에 침투하는 방법도, 그 안에서 유전체를 복제하는 방법도, 숙주 밖에서 퍼지는 양상도 바이러스마다 천차만별이지만 목표는 하나다. 유전체와 단백질, 이 두 가지를 효율적으로 만들어 최대한 많은 숙주를 감염시키는 것이 ... ...
- STEP ① 숙주세포 탐색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바이러스 일생의 첫 장면은 숙주를 찾는 얘기로 시작된다. 바이러스는 단독으로 생존할 수 없다. 번식을 위해서는 반드시 숙주를 찾아 기생해야 한다. 바이러스가 숙주를 찾는 전략은 단순하다. ‘일단 많이 만들어 퍼뜨 리자’는 생존 전략을 초지일관 고수하고 있다. 맨눈으로 확인하지 못할 뿐 ... ...
- Chapter 06. 백신┃인간 지킬 유일한 방패, 백신과학동아 l2020년 07호
- 1980년 5월 8일 세계보건기구(WHO) 는 천연두의 완전 퇴치를 선언했다. 천연두는 기원전 약 3세기 미라에서도 발견됐으며, 20세기에만 3억 명의 목숨을 앗아간 치명적인 바이러스성 감염병이다. 그러나 1977년 소말리아의 마지막 환자 이후 지구상에서 자취를 감췄다. 천연두바이러스는 현재 연구 목적으 ... ...
- [수동TV] 수학으로 따지다! 미스터리 외계인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여러분 안녕하세요. 수동TV의 수따(수학으로 따지기)입니다. 5월 21일! 소행성 1997 BQ가 지구 근처를 지나간다는 소식에 밤잠을 설친 분들 많으시죠? 저 역시 자는 둥 마는 둥 뜬눈으로 지새웠습니다. 그런데 여러분! 그날 제가 아무래도 외계인을 본 것 같습니다. 잠을 못 자 맑은 정신은 아니었지 ... ...
이전1481491501511521531541551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