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난"(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 150만 년 전 지구의 기록 빙하코어에서 찾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가장 오래된 연속적 빙하코어로 인정받고 있다.EPICA 연구팀은 이 빙하코어를 분석해 지난 74만 년 동안 빙하기의 주기가 8차례 반복됐다는 결과를 2004년 6월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이를 통해 지구의 기온과 대기 조성이 어떻게 변해왔는지도 알게 됐다. doi: 10.1038/nature02599 아시아에서도 ... ...
- 탄소를 품어 지구를 지키다, 해안의 보물, 갯벌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보유하고 있다. 해안선이 복잡해 전남 순천만 등 여러 지역에 대형 습지가 발달해 있고, 지난 6000~7000년 동안 해수면이 상승하면서 갯벌에는 10m 이상의 두께로 퇴적물이 쌓였다. 강화도 갯벌의 경우 두께가 최대 50m에 이르는 곳도 있다. 1년마다 갯벌에 쌓이는 퇴적물의 두께는 지역마다 다르지만, ... ...
- [가상충돌 D-6년] 소행성의 궤도를 바꿔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것”이라며, “단순할수록 성공할 확률이 높기 때문”이라고 말했어요. 실제로지난해 NASA는 우주선을 소행성 베누에 충돌시킨 가상 실험 결과를 발표했어요. 베누는 지름이525m인 거대 소행성으로, 발표 당시에는 2135년에 지구와 충돌할 확률이 1/2700에 달했어요. ▲PDF에서 고화질 이미지를 볼 수 ... ...
- [과학뉴스] 사진 한 장으로 동영상을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지난 5월 24일, 삼성전자 연구팀은 모나리자가 실존 인물처럼 다양한 표정을 지으며인터뷰하는 동영상을 만들어 소개했어요.기존의 딥페이크 기법은 3D 모델링 과정을 거쳐야 하지만, 이번에 개발된 기술은 단한 장의 사진만으로도 얼굴의 윤곽을 잡아내 동영상을 만들 수 있지요.이 기술은 온라인 ... ...
- [가상인터뷰] 사람만큼 오래 사는 물고기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6월쯤엔 알을 낳기 위해 이동하기 때문에 상류에서도 볼 수 있어. 나이는 어떻게 되세요?지난 5월 23일, 미국 노스다코타 주립대학교 알렉래크만 연구팀은 2016년부터 2018년까지 미국 미네소타와 허드슨만에 사는 빅마우스 버팔로 386마리를 채집해 나이를 추정했다고 발표했어. 연구팀은 머리에 들어 ... ...
- [로보트 재권V] 마침내 완성된 '로보트 재권v'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로보트 재권V와 함께 하는 삶은 분명 지금보다 더욱 나은 삶이 될 것이라 믿습니다. 지난 1년간 로보트 재권V의 제작을 함께 해 주신 독자 여러분에게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
- [과학뉴스] 세계 최초 휴머노이드 로봇 화가, 단독 전시 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6일까지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세인트존스 칼리지에서 열려요. 이번 전시회의 주인공은 지난 2월에 처음 소개된 세계 최초의 휴머노이드 로봇 화가 ‘아이다(Ai-Da)’예요. 영국의 로봇 회사인 엔지니어드 아트가 개발한 아이다 로봇은 갤러리 주인인 아이단 맬러의 제안으로 만들어졌어요. 이 로봇의 ... ...
- [섭섭박사 실험실] 데굴데굴 물방울 구슬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힘이 거의 없기 때문에 물방울이 완전히 둥근 모양이 되어 구슬처럼 변하는 거랍니다. 지난 2015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선 일부 건물의 벽에 ‘초소수성 페인트’를 발랐어요. 왜 그랬을까요? 바로, 취객들의 노상방뇨를 방지하기 위해서였어요! 초소수성을 띠는 벽에 오줌이 닿으면 오줌이 ... ...
- 2019 과학기술 10대 뉴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 죽은 돼지의 뇌세포 부활미국 예일대 의대 연구팀은 생물학적으로 죽은 지 약 4시간이 지난 돼지의 뇌 신경세포를 되살리는 데 성공했습니다. 4월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공개된 연구팀의 설명에 따르면 돼지의 뇌세포에 특수 용액을 주입하자 뇌세포가 더 이상 파괴되지 않았고, 심지어 일부 ... ...
- 두려움에 맞서자!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알려져 트라우마 치료에 사용되는 방법이에요. 그동안 치료원리가 밝혀지지 않았는데, 지난 2월 12일 기초과학연구원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신희섭 단장과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정재승 교수팀이 그 원리를 밝혔어요. 먼저, 연구팀은 쥐에게 ‘삐~’ 소리와 함께 전기 자극을 줬어요. 그럼 쥐는 ... ...
이전1481491501511521531541551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