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부
출장소
분관
지사
센터
장소
현장
d라이브러리
"
지점
"(으)로 총 2,069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석 바퀴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따라 힘의 방향은 지면에서 나오는 방향이다. 같은 방법으로 하면 알루미늄관의 오른쪽
지점
에서는 지면을 뚫고 들어가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한다. 즉 레일에 걸쳐놓은 알루미늄 횡단면 양쪽에 반대방향의 힘이 작용하므로 알루미늄관은 회전한다.(그림3) ... ...
컴퓨터 화면의 꽃 스크린세이버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컴퓨터 모니터는 전자총에서 나오는 주사선으로 영상을 표시하는데, 이 전자총이 똑같은
지점
에 계속 같은 광선을 쏠 경우 모니터에 무리가 갈 수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화면 내용을 이리저리 바꾸어 주는 프로그램이 스크린세이버다.초창기 스크린세이버는 마치 모니터가 꺼진 것처럼 ... ...
1. 장마는 약해지고 국지성 호우 등장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서둘러야기상청에 따르면, 올해는 7월 하순부터 일찍이 태풍이 발생하고 태풍의 발생
지점
도 예년의 북위 10-15도의 열대 해역이 아닌 북위 20도 근방의 해역에서 발달하는 새로운 양상을 보이고 있다고 한다. 또한 북태평양 기단이 세력을 확장하지 못하고 불안정하게 확장과 수축을 반복하는 현상이 ... ...
로그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5년 리히터가 개발한 척도인 ‘규모’(magnitude)다. 지진의 규모는 진원지에서 1백km 떨어진
지점
에서 지진계로 측정한 지진파의 최대 진폭에 따라 결정되는데, 지진파의 최대 진폭은 지진에 따라 대단히 큰 차이를 보인다. 이런 차이를 알기 쉽게 축소해 나타낸 것이 로그다. 지진파의 최대 진폭이 ... ...
별은 어떻게 죽어 가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주계열의 어느
지점
에 머물 것인가는 태어날 때의 질량에 따라 결정된다. 태양은 중간
지점
에 위치하고 이보다 크고 뜨거운 별은 왼쪽 위에 자리잡는다. 주계열에 머물러 있는 시간도 질량에 따라 다른데, 질량이 작은 별일수록 머무는 기간이 길다. 주계열에 머물며 젊은 시절을 다 보낸 별은 ... ...
다이옥신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호르몬처럼 혈액을 타고 돌아다닌다. 그러나 차이가 있다. 호르몬은 도달해야 할 목표
지점
이 있다. 이에 비해 다이옥신은 조건에 맞는 곳이면 어디든 붙어버린다. 바로 지방 성분이다.다이옥신은 물에 녹지 않는 지용성 물질이다. 그래서 몸 안에 지방이 싸여 있는 곳에 달라붙어 차곡차곡 쌓인다. ... ...
누구나 즐길 수 있는 과학마술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플라스틱이나 다른 것들을 넣으면 또 어떻게 될까?■왜 그럴까?얼음은 물과 기름의 경계
지점
에 뜬다. 왜냐하면 얼음의 밀도(0.9)는 물(1)보다 작고 기름(0.8)보다 크기 때문이다. 레고 조각의 밀도는 기름보다 작으므로 기름 위에 뜨고 나사못은 물보다 밀도가 커서 물 아래로 가라앉는다. 기름의 ... ...
운주사 천불천탑의 비밀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탑을 세울 때 바닥을 고르기 위해 바위를 깎아낸 홈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
지점
의 탑자리 흔적은 전남대 발굴팀도 확인하지 못한 것이다. 이로써 도면에 표시되지 않고 탑자리로만 확인된 탑은 4기로 늘어났다 ... ...
아우슈비츠와 731부대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생물학무기. 그래서 1936년 만주를 침략할 때부터 세균전에 대비해 만주 하얼빈 남쪽 20km
지점
에 관동군 산하 세균전비밀연구소를 세웠다. 그 이름은 전염병을 옮기지 않는 깨끗한 물을 공급하는 ‘방역급수부대’라고 은폐됐다. 그러다가 태평양전쟁이 시작된 1941년 8월 ‘만주 731부대’(731부대 외 10 ... ...
동강의 땅 밑이 심상치 않다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떨어졌으며, 멀리 제주도에서도 아 파트 창문이 흔들릴 정도였다. 지진이 발생한
지점
은 현재의 동강댐 예정지역으로부터 동쪽으로 불과 29km 떨어져 있었다.‘지진은 한번 일어난 곳에서 다시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 현재 지질학계의 통설이다. 지진이 일어났다는 것은 땅 속이 불안정해져 있다는 ... ...
이전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