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진행"(으)로 총 8,613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 고민 상담소, 수담수담] 수학을 배울 ‘권리’를 포기하지 마세요!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음성학자는 비전문가로 여겨졌고, 코딩할 수 있는 컴퓨터 공학자 중심으로 프로젝트가 진행됐거든요. 그래서 전문성을 가지기 위해선 코딩을 알아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곧 대학원을 그만두고 1년 동안 컴퓨터 학원에서 코딩을 배웠습니다.그런데 코딩의 기본은 수학이었어요. 학창 시절 ... ...
- [기획] 백신의 효능이 궁금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개발할 때는 동물을 대상으로 하는 비임상시험을 한 후에 사람을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진행합니다. 두 시험에서 백신의 효능을 계산하는 법은 다릅니다. 우선 비임상시험에서는 실험동물을 대상으로 백신을 접종한 뒤 일정량의 바이러스를 강제로 주입해서 감염시킵니다. 이론적으로 백신을 맞지 ...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연구원과 진행한 랜선 멘토링무엇이든 물어보세요~! 2020년 11월 28일, ‘슬기로운 수학생활’ 4번 문제를 푼 박상훈(리프), 신예준(파스칼) 회원은 출제자인 백진언 연구원에게 많은 질문을 쏟아냈는데요, 어떤 질문과 답이 오갔는지 살펴볼까요? 리프&파스칼 슬기로운 수학생활 문제는 어떻게 ... ...
- [인터뷰] 지사탐 덕분에 대한민국 인재상 받았다! 닥터구리 유다은 대원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걸으며 개구리를 탐사하고 있답니다. Q개구리를 위한 수로도 만들었다고요?네. 탐사를 진행하다 보니 인간이 자연을 해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처음 탐사를 시작할 땐 논에 물을 공급하는 수로는 흙으로 만들어진 곳이 많았어요. 그러다 최근 몇 해 사이에 흙 수로 대신 콘크리트 수로가 많이 ... ...
- [과학뉴스] CERN의 앨리스 검출기 센서 국내 연구진이 양산 시험 성공과학동아 l2021년 01호
- 교체는 2021년 가을쯤 완료될 전망이다. 그밖에 차세대 고에너지 핵물리 실험(SPHENIX)을 진행하는 미국 브룩헤이븐 국립연구소와 러시아 핵물리통합연구소도 알피드를 사용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상태다. 권 교수는 “실험에서 가장 근본적인 활동은 측정이기 때문에 장비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 ...
- 코로나19 3차 유행 백신을 확보하라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예방 효율이 약 94.1%라고 밝혔다. 존슨앤드존슨은 아직 임상시험을 진행 중인 만큼 공개된 정보는 없다. 한국의 백신 조달 계획한국 정부는 지난해 12월 3일 아스트라제네카와 1000만 명분의 백신 구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전 세계에서 코로나19 백신을 확보하려는 경쟁이 ... ...
- [신 기후체제] 기후 재앙 앞둔 인류세 해수면 상승을 막아라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모니터링과 예측 과정에 자연과학 분야가 기여할 수 있다. 국내에서도 다양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국립해양조사원이 해수면 수위를 정밀하게 측정하고 있고, 한국해양과학기술원에서는 폭풍해일과 지진해일의 높이와 피해에 대한 예측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극지연구소 해수면 변동 예측 ... ...
- 6G 갖춰야 할 성능, 가능케 할 기술과학동아 l2021년 01호
- 글로벌 파트너십인 3GPP 회의에서 결정된 내용을 국제통신연합(ITU)이 채택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3GPP는 과거 3세대(3G) 이동통신 기술을 협의할 때 생겨난 회의체로 아직도 당시 이름을 고수하고 있다. 최 교수는 “삼성전자를 비롯한 다양한 기업이 학회와 포럼 행사에서 6G 기술이 달성해야 할 ... ...
- [헥!헥!핵물리학자] 미래 과학자여, 뒤를 부탁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하는지 라온으로 연구하며, 새로운 희귀 동위원소를 찾으려고 해요. 필자 역시 라온에서 진행될 충돌 실험인 ‘LAMPS’에 참여하고 있어요. 11월 말에 경주의 양성자 가속기에서 LAMPS 실험에 쓰일 검출기 일부를 실험했지요. 라온은 2~3년 뒤 완공해 실험을 시작할 예정이니, 새로운 소식을 기대해 ... ...
- [한 장의 과학] 수고했어, 안녕! 아레시보 망원경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천문학자들이 외계 문명의 신호를 받아 외계 행성을 발견하기 위한 세티(SETI)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데 사용되며, 1974년 1과 0으로 이루어진 아레시보 메시지를 2만 5000광년 떨어진 헤라클레스 대성단으로 보냈지요. 미국 국립과학재단은 아레시보 전파망원경이 본래의 임무를 하지는 못하지만, 앞으로 ... ...
이전1481491501511521531541551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