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추리
추측
추론
추단
결론
가정
어림
d라이브러리
"
추정
"(으)로 총 3,096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단백질 백과사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각자 다른 기능을 갖는다. 과학자들은 현재 단백질의 종류를 무려 100만 개가 넘는 것으로
추정
한다. 유전자 2만 300개를 분석해 유전자지도를 만드는 것도 10년 넘게 걸렸는데 50배가 넘는 데이터를 다룬다는 게 무모한 일은 아닐까. 단백질 백과사전 안에는 유전자에서 발현된 대표 단백질 뿐 아니라 ... ...
귀금속의 고향은 우주?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윌볼드 교수는 “오늘날 볼 수 있는 희귀 금속의 대부분은 이 같은 방법으로 생겼다고
추정
한다”며 “이 시기 운석이 맨틀 상부의 움직임을 일으켰다는 연구도 가능하므로 맨틀의 상태를 알아보는 연구도 병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네이처’ 9월 8일자에 실렸다 ... ...
상어에 강한 턱이 없다면?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➋)와 입(➊)의 모습.][무악어류에서 유악어류로 진화하는 중간단계에 해당하는 것으로
추정
되는 슈유 제지안겐시스의 상상도(위). 이 어류의 두개골에는 한 쌍의 후각기관이 있다. 배 발생과정 중에 이 후각기관 사이의 틈으로 턱을 만드는 줄기세포가 이동해 나간 것으로 추측된다.] 중간 단계 화석 ... ...
별 삼키는 블랙홀 봤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이 블랙홀의 질량은 관측자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략 태양 질량의 400만~2000만 배로
추정
된다.그런데 별이 블랙홀에 빨려 들어가면서 왜 제트가 분출되고 강력한 빛이 나오는 걸까. 별이 거대질량 블랙홀에 빨려 들어가는 건 당구공이 당구대 구멍에 쏙 들어가는 것과 본질적으로 같은 현상 아닐까 ... ...
숫자 마술 부리는 신기한 수9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나머지 8과 같다. 이처럼 나머지가 같다는 사실로 계산이 옳게 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추정
할 수 있다.물론 나머지가 같다는 것만으로 이 계산이 맞았다고 100% 확신할 수는 없다. 단순히 9로 나눴을 때 나머지만 같을 뿐 계산이 틀렸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것이 이 검산법의 단점이다. 하지만 구거법 ... ...
주먹도끼를 찾아 떠나는 구석기 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딱 아저씬데? 그런데 푯말이 붙어 있네. ‘전기 구석기 시대에 주먹도끼를 사용한 것으로
추정
….’ 그렇다면 고대 인류인 호모 에렉투스?인류의 진화 과정이 궁금해!전시장 가운데에 있는 ‘인류 진화의 위대한 행진’에서는 투마이로부터 만달인까지 수백만 년에 걸친 인류의 진화 과정을 한눈에 ... ...
예상보다 짧은 맨틀의 순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것이다. 이에 대해 연구팀은 “예상과 달리 아주 맨틀의 화학적 조성이 다양한 것으로
추정
된다”고 설명했다.이 연구는 저널 ‘네이처’ 8월 10일 온라인 판에 게재됐다 ... ...
우주에서 가장 어두운 행성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측정해 비교했다.그 결과 반사율은 1%보다 낮으며, 정밀한 모델에 따르면 0.04% 정도로
추정
된다. 이는 검은 아크릴페인트보다 낮은 반사율이다. 목성의 반사율 52%와 지구의 37%에 비하면 미미한 수준이다.데이비드 키핑 연구원은 “이 행성이 어떻게 모항성의 빛을 대부분 흡수하는지 정확히 알지 ... ...
‘월하정인’에 뜬 눈썹 달의 비밀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초승달, 한입 베어 먹은 사과처럼 보일 수 있다.이 교수는 신윤복이 활동했을 것으로
추정
되는 18세기 중반부터 19세기 중반까지 약 100년 동안에 부분월식이 일어났던 기록을 찾았다. 그리고 그림에 그려진 것처럼 달이 보인 것, 서울에서 관측할 수 있었던 것을 추려냈다. 1784년 8월 30일 밤 11시 50분과 ... ...
나비처럼 날아 애벌레같이 쏜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몸을 맡겨 이동하는 어른벌레를 확인한 것과는 의미가 다르다. 번식을 위한 진출로
추정
할수 있으며 이미 4∼5월 중에 암끝검은표범나비 암컷이 북상 후 알을 낳았다는 증거이다. 암끝검은표범나비가 기후 변화의 영향으로 서식 범위를 고위도로 확대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 ...
이전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