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자"(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정보의학시대 논쟁, DNA 공공 데이터베이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말했다.게놈 해독 10만 원 시대… 앱으로 질병 예측할까이런 문제가 있음에도 여러 과학자들이 DNA 공유가 필요하다고 말하고 있다. 규모가 커진 DNA 공공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 게놈을 상세히 이용하고, 이를 통해 개인 맞춤 의학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하기 때문이다. 서정선 소장은 “현재의 ... ...
- [Future] 홀로그램으로 다시 만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전체를 기록하다’는 뜻이 됐다. 홀로그래피의 개념은 1947년 헝가리 출신의 물리학자 데니스 가보르가 창시했다.홀로그래피가 본격적으로 관심을 끌게 된 것은 1960년 최초의 레이저가 만들어진 이후다. 홀로그래피 기술은 레이저 빛을 빔 스플리터를 이용해 둘로 가른 뒤 물체에 쏘아 반사되는 ... ...
- [Issue] “ 우리 우주가, 다른 우주의 그림자?”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이번엔 시작부터 남달랐다. 인류가 만든 가장 거대한 지적 성과물의 비밀을 캐는 우주론 학자들답게, 이야기의 스케일이 컸다. 시간은 100억 년을 쉽게 넘나들었고, 공간은 크기가 없는 고에너지 점(특이점)부터 점점 빠르게 팽창하는 지금의 우주까지 말 한마디로 오갔다.과학동아 카페는 1시간 동안 ... ...
- [Origin] 행복은 디테일에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일이 얼마나 우리를 행복하게 해 줄 것인지에 대한 예측이 빗나간다. 이스라엘의 심리학자 대니얼 카너먼은 전체 그림보다 화려한 부분적 요소 하나에만 집중할 때 생기는 착각을 ‘초점 착각’이라고 불렀다.카너먼 박사팀은 실험 참가자들에게 연간 소득이 적은 사람(2만 달러 이하)과 많은 사람(1 ... ...
- Part 1. 지구 속 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사람서태평양에 있는 마리아나 해구는 깊이가 10km가 넘는 바다다. 1960년, 스위스의 해양학자 자크피카드와 미국 해군 중위인 돈 월시는 잠수정 ‘트리에스테’를 타고 이곳의 바다 밑에 도착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지구 X-파일Part 1. 지구 속 탐사Part 2. 지구 속이 궁금해? 직접 파 ... ...
- Intro. 빅뱅마불게임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조르주 르메트르가 팽창하는 우주를 최초로 주장한 사건이었습니다. 그 이후로 수많은 과학자들이 노력해 아래와 같은 현대의 표준우주모형이 완성됐죠. 한번 따라와 보시겠어요? 도저히 못 참겠다 싶으시면, 당신만 아는 걸 살짝 말씀해 주셔도 좋겠습니다. 자 그럼, 출발!▼관련기사를 계속 ... ...
- [Culture] 11분의 1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수 없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멀고 추운 세계에 우리 둘이……. 지질학자와 해양생물학자 둘이……. 남선 오빠가 죽이고 싶을 만큼 미우면서도, 동시에 완벽한 계획이란 걸 인정해줄 수밖에 없었지요. 알고 있었던 겁니다. 제가 기준 오빠와 함께 그곳에 가리란 걸요.EM드라이브로 움직이는 우주선도, ... ...
- [과학뉴스] 깃털 달린 공룡 꼬리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것이라는 주장에 더욱 힘이 실리고 있어요. 캐나다 왕립서스캐처원박물관 소속 고생물학자인 라이언 맥켈러는 “이 공룡의 크기는 성체가 되어도 참새만 했을 것”이라며, “이번 연구 결과가 조류의 깃털 진화에 대해 연구하는 사람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어요.또한 공룡 깃털을 ... ...
- Part 2. 3진법 시대, 회로 인프라가 필요하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수학자이자 논리학자인 쿠르트 괴델이 ‘불완전성 정리’를 발표하면서부터였다. 수학자들도 이해하기 어렵다는 불완전성 정리의 골자는 ‘진리이지만 증명될 수 없는 수학적 명제가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서부터 참과 거짓 두 개로 나뉘어 있던 세계는 조금씩 무너져갔다.불완전성 정리는 ... ...
- 빅뱅이론의 잃어버린 조각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우주 진화 시나리오의 전체 그림은 얻게 됐지만, 의외로 아직 빠진 조각이 많다. 많은 과학자가 빅뱅우주론의 잃어버린 고리(Missing Link)를 찾기 위해 대안이론을 제안했다. 과연 이 대안이론들은 성공을 거둘 수 있을까. 우주론 제2막에 주목해보자.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빅뱅이론의 잃어버린 ... ...
이전1481491501511521531541551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