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면
측
페이지
장
페이쥐
편
뉴스
"
쪽
"(으)로 총 3,653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빙판길은 왜 그렇게 미끄러울까
2019.12.25
수 있는 기발한 장치를 만들었다. 말굽에 대는 편자처럼 생긴 튜닝포크(tuning fork) 한
쪽
끝 아래에 지름 1㎜인 유리구슬을 붙이고 옆에는 가속도계를 달았다. 그리고 구슬을 얼음 위에 올려놓은 뒤 튜닝포그에 좌우상하로 진동을 줘 구슬이 얼음 위에서 움직이게 했다. 이때 구슬과 얼음 표면의 ... ...
무시무시한 말벌, 거미를 사냥하다
팝뉴스
l
2019.12.23
사진다. 무시무시한 괴물이 또 다른 괴물을 잡아 먹고 있는 상황처럼 보인다. 승리한
쪽
은 호크 와스프 즉 ‘매 말벌’이다. 싸움에서 져서 먹이가 된 거미는 헌츠맨 스파이더이다. 거미의 덩치가 두 배는 커보인다. 사진은 최근 호주 시드니의 한 가정에서 촬영되었다. 집에 돌아오니, 이런 ... ...
1400년전 아라가야 지배자 무덤천장에 새긴 별자리 그림
동아사이언스
l
2019.12.21
축조하면서 별도로 그려 넣은 것으로 추정된다. 조사팀은 성혈을 새긴 덮개돌과 양
쪽
벽면이 맞물리는 부분에는 구멍이 없다는 점을 근거로 보고 있다. 또 덮개돌 중 가장 중앙에 놓인 덮개돌에 자리한 것도 성혈이 무덤 축조 기획에 포함됐을 것이란 분석에 힘을 더하고 있다. 조사단은 이 ... ...
국가 양자암호 시험망 첫 개통
동아사이언스
l
2019.12.20
도청하면, 그 순간 양자암호가 반응해 메시지를 이루는 양자 상태가 0 또는 1 어느 한
쪽
으로 결정돼 버린다. 아예 처음 메시지가 변질돼 버리기 때문에 통신 당사자는 도청 사실을 알아차릴 수 있다. 국가용 양자암호 개발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시험통신망이 대전 지역에 처음으로 개통됐다. ... ...
우리은하 중심부도 폭발적 별 생성…'역사' 다시 써야
연합뉴스
l
2019.12.17
온 것처럼 가스를 은하 중심부에 공급하는데 효율적이지 않을 수 있다"면서 "만일 후자
쪽
이라면 왜소은하와 충돌하는 등의 사건이 약 10억년 전에 은하 중심부로의 가스 유입을 촉발했을 수 있다"고 해석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혈압 예방에 유산소운동이 좋은 진화론적 이유
2019.12.17
유산소운동에 좀 더 신경을 쓰는 게 좋을 것이다. 몸이 게을러지려고 할 때마다 내 왼
쪽
가슴에 침팬지의 심장이 뛰고 있다고 상상해 보라는 건 좀 잔인한 제안일까. ※필자소개 강석기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일했다.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 ...
식물 뿌리가 장애물 회피하는 원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17
성장 호르몬 ‘옥신’이 뿌리 내에서 빠르게 재분배돼 장애물을 만났을 때 뿌리가 한
쪽
방향으로 휘어지게 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옥신의 재분배는 옥신을 이동시키는 ‘PIN 단백질’에 의해 이뤄지며 이 과정이 뿌리가 장애물과 만난 뒤 1시간 내에 시작된다는 사실도 밝혔다. PIN 단백질을 ... ...
물 몇 방울로 전기를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16
방출하는 조해성 물질 중 하나인 염화칼슘에 주목했다. 탄소 입자가 코팅된 면 섬유의 한
쪽
면에 염화칼슘을 묻혔더니 습도 20% 이상 환경에서 자발적으로 수분이 흡착돼 전기에너지 생성이 지속됐다. 연구팀은 이렇게 만든 발전기 6개를 직렬로 연결해 4.2V의 전압을 생성했고 20메가와트(mW)의 LED ... ...
'머리는 두 개지만 결국 공동 운명'…올해의 사자성어 '공명지조(共命之鳥)'
동아사이언스
l
2019.12.15
공명조를 바라보는 것만 같다. 서로를 이기려고 하고, 자기만 살려고 하지만 어느 한
쪽
이 사라지면 죽게 되는 것을 모르는 한국 사회에 대한 안타까움이 들었다”고 설명했다. 공명지조에 이어 ‘가짜와 진짜가 마구 뒤섞여 있는 상태’를 비유하는 ‘어목혼주(魚目混珠)’가 300명(29%)의 선택을 ... ...
작았던 천연기념물 애벌레, 과학관에서 성체로 탈바꿈
동아사이언스
l
2019.12.15
애벌레를 성체로 키우는 데 성공했다. 왼
쪽
은 아직 애벌레 상태이던 9월의 모습이고, 오늘
쪽
은 성체로 자란 수컷의 지난 11일 모습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천연기념물 218호이자 멸종위기 곤충인 장수하늘소 애벌레를 국내 과학관이 인공적으로 성체로 키우는 데 성공했다. 멸종위기종을 인공 ... ...
이전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