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설명
해설
해명
풀이
번역
통역
분석
뉴스
"
해석
"(으)로 총 2,258건 검색되었습니다.
노벨상 수상자의 일갈 “젊은 과학자에게 자유를”
동아사이언스
l
2018.07.03
한국중력파연구협력단 소속 한국 과학자의 인원이 일본 다음으로 많다”며 “데이터
해석
등 강점을 지닌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어 기대가 크다”고 말했다 ... ...
선명한 행성 탄생 순간, 처음으로 목격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7.02
대한 가설이다. 학계에선 TD 발생은 주변에 별이 형성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
한다. 연구를 이끈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미리암 케플러(Miriam Keppler)는 “우주 공간의 TD는 새로운 행성이 탄생하는 자리로 추정한다”며 “물론 모든 원반이 행성으로 진화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 ...
‘세레스’의 유기물, 의외로 풍부
과학동아
l
2018.07.02
SwRI) 연구원(전 브라운대 연구원)은 “이번 연구를 통해 소행성 데이터를 더 잘
해석
할 수 있게 됐다”며 “일본의 ‘하야부사 2’, NASA의 ‘오리시스-렉스’ 등 소행성 샘플 반환 임무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지구물리학연구저널’ 5월 21일자에 실렸다. doi : 10.1029/20 ... ...
[全기자의 영화 속 로봇]금속 생명체 탄생 가능할까… 트랜스포머
동아사이언스
l
2018.06.29
나노 단위로 해체해 원하는 모양으로 순식간에 재구성하면 변신이 가능하다는 그럴듯한
해석
을 내놓는다. 하지만 이런 물질을 재구성하고 형태를 다시 튼튼하게 굳힐만큼 강한 힘을 내는 에너지원(예를 들어 자력과 비슷한), 혹은 순식간에 입자의 구조를 바꿀만한 초고속 화학반응이 존재할 ... ...
자폐 어린이 치료돕는 AI 로봇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18.06.29
“전문가들이 일관성을 보이지 못하는 작은 행동 변화를 로봇은 더 잘 추적하고
해석
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재령 교수는 기자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ASD 어린이는 표정이 계속 변해 복잡한 사람의 모습보다는 표현이 단순하고 반복적 행동이 가능한 로봇에 더 편안함을 느낀다”며 “ASD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픔까지 느껴지는 의수(義手) 개발했다!
2018.06.26
있습니다. 뺨에서 온 신호가 과거 엄지손가락을 담당하던 피질을 자극해 뇌가 그렇게
해석
한 것이다. 이런 식으로 환상 손에 대응하는 지도를 얼굴에 그릴 수 있었고 얼마 뒤 팔죽지에서 두 번째 환상 손 지도를 발견했다. 이에 대해 라마찬드란은 체감각피질의 손의 영역 바로 위에 팔죽지를 맡은 ... ...
[2018년 필즈상] 미분기하학 난제, 새 관점으로 푼 브라질의 마르케스 교수... 자국에서 영예 안을까?
수학동아
l
2018.06.18
영국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교수와 함께 ‘스테레오 투영법’을 써서 이 문제를 재
해석
해 윌모어의 추측이 참이라는 걸 밝힙니다. 스테레오 투영법이란 평면 위의 모든 점을 구면에 일대일 대응시키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을 쓰면 3차원 유클리드 공간의 문제를 3차원 초구, 즉 2차원 곡면인 속이 빈 ... ...
[표지로 읽는 과학] 에이즈 정복, 치료제 개발로 끝이 아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6.16
감염률을 기록했다. 물론 학생들이 교육에 대한 반항으로 동성애를 더 하게 됐다고
해석
할 수도 있지만 명확한 조사는 이뤄진 바가 없다. 코헨은 글을 통해 “미국에서 가장 보수적인 플로리다주에서 에이즈 발병률이 높은 이유는 명확히 설명하기 어렵다”며 “에이즈 치료제 개발도 ... ...
쥬라기월드가 돌아왔다...과학적으로 꼽아 본 '옥에 티' 세 가지
과학동아
l
2018.06.10
하늘을 날기보다는 짝짓기 상대를 찾기 위한 치장 목적으로 깃털을 활용했을 것이라는
해석
이 우세하다. (doi:10.1038/srep11775) 한편 영화에서는 벨로시랩터가 문고리를 잡아 돌려 문을 열거나 사람의 명령을 알아들을 만큼 지능적인 것으로 묘사된다. 이 교수는 “사냥을 했던 육식공룡이 초식공룡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머리 큰 사람 vs 작은 사람, 뇌 구조도 다르다
2018.06.05
이번 발견이 ‘머리가 클수록 지능이 높다’는 가설을 적어도 간접적으로 입증했다고
해석
할 수 있지 않을까. 물론(!) 연구자들은 논문에서 이런 위험한 주장을 하지는 않았다. 대신 대사의 관점에서 흥미로운 언급을 하고 있다. 머리 큰 사람은 더 먹어야 즉 뇌가 커질수록 신피질이 더 급격히 ... ...
이전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