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화
변천
변고
이변
변전
변형
이상
스페셜
"
변이
"(으)로 총 1,531건 검색되었습니다.
젖가슴에 대한 과학적 고찰
2014.05.13
유전적 성격이 있는 유방암의 절반 정도만 설명할 수 있을 뿐이라고 한다. 게다가 돌연
변이
가 있을 경우 유방암 발병률이 급증하는 브라카1, 2와는 달리 다른 유전자들은 인과관계가 미묘해 이에 대한 정보가 있어도 환자는 물론 의사도 판단을 내리는데 별 도움이 되지 않는 게 현실이라고. 1994년 ... ...
호모 하빌리스, 당신은 누구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4.04.14
호모 에렉투스이며 같은 논리로 호모 하빌리스나 호모 루돌펜시스도 호모 에렉투스의
변이
형일 뿐이라고 주장했다. - 사이언스 제공 두개골 형태를 분석한 스위스 취리히대 마르시아 폰체 드 레온은 “드마니시 화석이 아프리카의 별개 지역에서 발견됐다면, 학자들은 각각 다른 학명을 ... ...
변비, 제대로 알고 극복하자!
KISTI
l
2014.03.31
같은 오해를 했다. 기원전 16세기 이집트의 의학서적인 에베르스 파피루스에도 대
변이
정체하면 장내 살고 있는 균이 독성 물질을 분비하는 균으로 변한다고 적혀 있다. 실제로도 변비가 해소되면 뾰루지도 자연스럽게 사라진다. 하지만 오래된 변에서 독성물질이 검출된 적은 없다. 전문가들은 ... ...
기억과 망각의 철학과 생명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4.03.24
애두신 유전자가 고장나 기억력에 결함이 있는 돌연
변이
체에 추가로 무사시 유전자에
변이
를 일으켰더니 기억력이 정상 수준으로 돌아옴을 확인하기도 했다. 비록 선충을 대상으로 한 실험결과이지만 사람에서도 무사시에 해당하는 유전자가 있기 때문에 이런 능동적인 망각 메커니즘이 분명 ... ...
영화 ‘달라스 바이어스 클럽’, 진실은 어디까지?
동아사이언스
l
2014.03.13
착각해 쓰게 해 합성에 실패하게 만드는 약물이다. 그런데 AZT와 티민을 구분할 수 있는
변이
바이러스가 등장하면서 약물이 소용없게 된 것. 다행히 과학자들은 HIV에 대해 집중적으로 연구했고 그 결과 여러 약물이 속속 등장했다. 그 결과 이들 약물을 섞어 써 바이러스가 대응하지 못하게 만드는 ... ...
조류독감바이러스, H5N8과 H7N9의 경우
동아사이언스
l
2014.01.20
합쳐져 나온 H3N2바이러스가 일으켰다. 현재 중국보건당국은 H7N9이 추가
변이
를 일으켜 조류독감의 특징을 잃고 인간독감으로 변신하지 않을까 전전긍긍하고 있다고 한다. 이번에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H5N8형 바이러스의 헤마글루티닌의 228번 아미노산이 여전히 글루타민이어서 원천적으로 사람 ... ...
호랑이와 가장 가까운 종은 사자?
동아사이언스
l
2013.09.23
에 포함시켰다. 이번 연구 결과 눈표범은 저산소인 고지에 적응할 수 있게 EGLN1 유전자의
변이
가 일어났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 위키피디아 제공 비교를 위해 호랑이 아종이나 사자를 선택한 건 이해하겠는데 눈표범은 왜 포함시켰을까 하는 의문이 들었다. 우리나라 연구진이 주축이므로 역시 ... ...
인간게놈이 양자컴퓨터를 만났을 때
동아사이언스
l
2013.08.20
단열양자계산을 쓰면 여러 경로를 동시에 탐색하기 때문에 바로 답을 알 수 있다는 것.
변이
인산화효소의 구조를 밝히는 일도 최적화문제의 하나다(가장 안정한 구조를 찾는 것이므로). 로즈 대표는 각고의 노력으로 단열양자계산을 할 수 있는 양자컴퓨터를 만드는데 성공했고, 2007년 1 ... ...
그 많은 우유는 누가 다 먹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8.12
정도는 마셔야 확실할 것 같다. 우유 먹고 배탈이 난 기억이 없는 필자는 10% 확률의
변이
유전자를 갖고 있을지도 모르겠기에 한 번 시험해 보고 싶은 생각이 들기도 한다 ... ...
미래 보건의료산업
KOITA
l
2013.08.09
특정 부분에
변이
가 일어난 경우가 많으므로 현재는 인구집단의 0.1% 이상에서 발견되는
변이
에 대해서만 학문적인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현재는 단일염기다형성에 대한 인종, 민족간의 차이를 확인하고 이것이 약물사용시 치료결과를 포함하여 질병 진행과정과 어떤 상관관계를 지니는지 연구하는 ... ...
이전
148
149
150
151
152
153
1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