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자
지은이
작가
글쓴이
저작자
작자
저술가
스페셜
"
필자
"(으)로 총 1,514건 검색되었습니다.
독감 걸리는 사람 완전히 사라지는 날 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한마디로 신종플루 같은 세계적인 대유행(pandemic)까지 확대되지는 않을거란 말이다. 사실
필자
도 수년 전 독감으로 고생한 뒤 매년 독감예방접종을 받는다. 더군다나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현재 미국 내 유행하고 있는 독감은 물론 우리나라에 돌고 있는 독감 종류는 백신 내에 포함돼 있다니 일단 ... ...
2012년 하늘나라로 간 과학계의 별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그의 지혜는 죽음이 아니라 삶의 숙고에 있다. - 바뤼흐 스피노자, ‘에티카’ 수 주 전
필자
는 문득 2012년 마지막 과학카페 주제로 올해 타계한 과학자들의 삶과 업적을 다뤄보는 게 어떨까 하는 생각이 떠올랐다. 과학저널 ‘네이처’와 ‘사이언스’에는 세상을 떠난 과학자에 대한 회고의 글이 ... ...
곡물 게놈 해독이 동물 것보다 복잡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커피의 역사’도 깊은 인상을 받았다. 야콥의 책들에 대한 국내 독자들의 평가는
필자
만의 것이 아닌지, 10여년이 지난 지금도 절판되지 않고 스테디셀러로 남아있다. 서두에 나온 파브르의 말은 ‘빵의 역사’ 제1장에서 야콥이 인용한 글귀다. 1장에는 ‘풀들의 경쟁’이라는 절이 나오는데 ... ...
프르제발스키 말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4.01
숫자가 서로 다르다. 즉 말은 64개(32쌍)인 반면 프르제발스키 말은 66개(33쌍)이다. 사실
필자
는 작년에 프르제발스키 말에 대해 알아보다 생물이 염색체 개수가 달라도 한 종으로 분류될 수 있다는 걸 처음 알았다. 참고로 당나귀는 염색체가 62개(31쌍)다. 따라서 말과 당나귀 사이에 태어난 노새나 ... ...
이전
148
149
150
151
152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