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저
높낮이
해발
고도
마루높이
마루
처마높이
d라이브러리
"
높이
"(으)로 총 2,575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연의 노래 채집하는 사냥꾼
과학동아
l
200308
까닭이다. 최근 큰 인기를 모으고 있는 홈 시어터는 스피커를 여러개 사용해 현장감을
높이
는데, 그만큼 인간이 소리에 민감하기 때문이다.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는 다양한 소리로 가득 차있다. 자연이 들려주는 소리를 인간의 언어로는 표현하는 것은 사실 무모한 일이다. 예를 들어 바람에 ... ...
디지털 세상 최강의 방패 양자암호
과학동아
l
200308
위치가 달라지는 것이다. 중성자들이 야구팀을 만들어 전자를 야구공삼아 경기를 할 때,
높이
뜬 공(전자)을 바라보면(빛을 비추면) 이 공은 홈런이 될 수도 있다.양자의 중첩상태에 대해 측정을 하는 것도 이와 비슷하다. a0+ b1에 대해 측정을 하면 측정 후의 상태는 0이나 1이 된다. 측정을 한다는 ... ...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모래사막 해안사구
과학동아
l
200308
사구의 아래쪽에 색깔과 외형이 다른 또하나의 사구가 있다. 이 사구는 현재와 해수면
높이
가 달랐던 과거에 형성된 사구로 추정된다. 따라서 이곳의 퇴적물을 분석하면 사구가 형성된 시기와 당시 환경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사구에는 현재와 과거와 미래에 대한 자료가 모두 담겨 ... ...
울릉도 1백년 전설 돈스코이호
과학동아
l
200307
선체는 역사적 기록을 근거로 제작된 돈스코이호의 모형과 일치했다.길이 90.4m, 폭 15.8m,
높이
7m의 돈스코이호는 약 3천3백마일을 항해할 수 있으며 5백명이 넘는 인원을 태울 수 있는 규모였다. 울릉도에서 발견된 이 침몰선은 정말 돈스코이호일까.해저로 사라진 발틱함대 명예의 전사1904년 2월 9일 ... ...
바다의 올림픽 선수 고래
과학동아
l
200307
부하한 마름모꼴의 안테나 단파의 송수신 안테나로 널리 사용되며, 보통 지상 수m의
높이
에 대지와 평행하게 설치한다지향성이나 입력 임피던스가 넓은 주파수대에 걸쳐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단파회선에서 낮과 밤에 주파수를 바꾸어도 같은 안테나를 사용할 수 있다 달표면의 지형을 정밀 ... ...
국내 최고 논문왕 자랑하는 수학자 박세희
과학동아
l
200307
수 없는 형편이었어요. 그 학생들을 키우다보니 20년 동안 내가 공부를 했죠. 제자들의 눈
높이
에 맞추다보니 낮은 수준에서 시작해 계속 수준을 올려온 것입니다.”박 교수는 그의 밑으로 들어온 제자들을 한명도 실패시킨 경우가 없다. 자신이 20대에 연구경력 1년을 못채워서 허비한 시간 때문에 ... ...
로봇이 청소해주는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307
현관이나 베란다로 바로 연결돼 있을 경우 로봇 청소기에게는 큰 위험요소가 된다. 별
높이
가 아니더라도 로봇 청소기가 떨어져 파손되면 안되기 때문이다. 로보킹의 경우는 이런 낭떠러지를 인식하기 위해 4개의 적외선 센서를 갖고 있다.흔히 적외선 센서는 열을 감지하는 일만 한다고 생각하기 ... ...
태양 표면은 울퉁불퉁
과학동아
l
200307
평평한지 알 수 없었다. 그런데 이번 사진은 초고온 플라스마 가스로 이뤄진 수백km
높이
의 산정상과 계곡을 보여준다. 노스브릿지 소재 캘리포니아주립대 존 로렌스 교수는 이번 사진을 통해 태양의 밝은 부분인 백반을 이해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백반은 태양 표면에서 온도가 높은 ... ...
전설의 섬 이어도에 우뚝 선 과학기지
과학동아
l
200307
박사“악천후 속에서 암초에 깊이 60m의 기초 파일을 8개 박고 그 위에 해상크레인으로
높이
76m, 무게 3천4백t 짜리 거대한 구조물을 설치하는 어려운 작업을 하면서 해양선진국이 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었습니다.”한국해양연구원 심재설 박사(연안공학)는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건설의 산 ... ...
3 근육 단백질로 100% 효율의 모터 만든다
과학동아
l
200307
나노입자는 특정 목표부위에 약물을 효과적으로 전달해줌으로써 약물의 효능을
높이
면서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런 연구의 주요 목표는 약리학적으로 적절한 전달 속도와 양을 특정 신체부위에 방출하는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다.인류의 건강과 풍족한 먹거리, 그리고 편안한 ... ...
이전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