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원
후원
원조
옹호
승인
시인
변호
d라이브러리
"
지지
"(으)로 총 2,906건 검색되었습니다.
1. 복제양 돌리와 줄기세포의 만남
과학동아
l
200403
필요그런데 일부에서는 동일인의 난자와 체세포를 이용했기 때문에 실제로 복제가 이뤄
지지
않았을 가능성도 제기했다. 즉 난자가 정자의 도움없이 스스로 분화해 배아로 자라나는 단성생식(parthenogenesis)도 가능하다는 말.만약 남성의 체세포를 복제에 이용했다면 단성생식 논란이 있을 수 없다. ... ...
조류에서 인간으로 온 독감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403
종이 등의 가연물에 불꽃을 점화한 후 불꽃을 제거했을 때 스스로 계속 연소되거나 번
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처리제하나의 물리량뿐 아니라 물리량의 분포상태에 따라서 정해지는 물리적 효과 예를 들어 물체가 회전할 때 관성은 물체의 질량뿐 아니라 질량의 분포상태 따라 결정되므로 ... ...
한국 어디를 찍을까?
과학동아
l
200402
KSTAR가 첫 파이럿 프로젝트로 선정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며 한국측
지지
를 호소했다.한편 현재 진행중인 부지 선정 문제가 장기화될 경우, EU와 러시아·중국만이 참여하는 독자 프로젝트가 진행될 수 있다는 우려석인 목소리도 흘러나오고 있다 ... ...
블랙홀 탄생의 순간, 우주가 놀란 감마선폭발
과학동아
l
200402
멸종한 사건이 일어났다. 오르도비스기 대멸종으로 불리는 이 참사의 원인은 아직 밝혀
지지
않고 있는 가운데 한 천문학자가 새로운 가설을 들고 나왔다. 감마선폭발이 그 원인이라는 것.미국 캔자스대 천문학자인 에이드리언 멜롯 박사는 지구로부터 1만 광년 이내의 거리에서 발생한 감마선폭발이 ... ...
위대한 예술가는 타고난 신경생리학자
과학동아
l
200402
서로 공간적으로 섞여 있는 곳이 많다. 섞여있는 부분들에서 우리는 실제로는 칠해
지지
않은 혼색의 느낌을 지각하게 된다.이는 색채를 지각하는 신경단위의 크기와 관련이 있다. 색면의 크기가 색채를 지각하는 신경단위에 비해 크면 우리는 색을 그대로 지각한다. 그러나 매우 작을 때에는 색의 ... ...
동식물 1백만종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0402
1에 해당하는 동식물을 지구상에서 찾아볼 수 없게 된다. 너무 충격적이어서 쉽게 믿어
지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이 얘기는 과학전문지 ‘네이처’의 표지를 장식하면서 발표된 논문 내용이다. 생물이 사라지는 원인은 흔히 지구온난화라고도 불리는 기후변화 때문이다.영국 리즈대 크리스 토마스 ... ...
조용한 일상의 디지털 혁명 유비쿼터스가 온다
과학동아
l
200402
살기 좋은 첨단의 미래를 약속하는 단어인 것은 같지만 막상 머리 속에서는 그려
지지
않는다. 실제 유비쿼터스에 대한 이해는 나라마다 혹은 사람마다 제각각인 것도 사실이다. 유비쿼터스의 어제와 오늘을 통해 미래의 집과 사무실, 거리를 미리 가 본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조용한 일상의 ... ...
누가 다윈의 진정한 후예인가?
과학동아
l
200402
지난번 다윈의 식탁에서 공룡 멸종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6천5백만년 전에 운석이 떨어
지지
않았다면 생명의 역사에 어떤 변화가 있었을까를 상상해보자고 한 적이 있습니다. 아마 우리 인간들이 이렇게 런던에 모일 일도 없었을 것입니다. 이렇게 거대 규모의 진화는 소규모 진화의 연장선상에 있지 ... ...
유인화성탐사
과학동아
l
200402
이용해 얻은 전기견인전동기의 전기자의 역토크를 이용해 제동력을 얻는 방식차체를
지지
하고 궤도 위를 주행하는 데 필요한 전동기 브레이크 장치 및 차륜 등을 구비한 차차대(車臺)의 프레임에 차륜을 고정함과 노면에서의 진동이 직접 차체에 닿지 않도록 하는 완충장치차량 질량 중에서 ... ...
인공미생물 탄생 머지않았다
과학동아
l
200402
생산하는 미생물 유전자를 찾는 일이다. IBEA의 연구자들은 지금까지 거의 연구가 이뤄
지지
않았던 수백종의 미생물들을 대상으로 유용 유전자를 탐색하는 작업을 시작했다. 서울대 생명과학부 천종식 교수는 “이 작업은 메타게놈 탐색으로 이뤄질 것”으로 전망했다.자연계에 존재하는 미생물 ... ...
이전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