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소개"(으)로 총 5,121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인터뷰] 똑똑한 앵무새가 더 매력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물어봤지. 사랑앵무의 이상형을 파악해 어서 짝을 찾아줘야겠어! 일리 : 먼저, 자기소개를 부탁해. 사랑앵무 : 안녕? 나는 사랑앵무야. 우리는 몸길이가 18~20cm, 몸무게가 30~40g인 작은 새로, 우리는 5~10년 정도를 살아. 뾰족한 날개와 꼬리, 독특하고 화려한 깃털을 자랑하지. 우리는 호주 남부 ... ...
- 쇼 미더 매스! 수학과 랩의 만남수학동아 l2019년 03호
- 수학으로 랩을 하는 사람이 드물지만, 과학으로 랩을 하는 사람은 있다. 앞서 소개한 사이언스 나이트 라이브에서 히트곡 ‘널 향한 주기율표’를 불러 매스 댄스 못지않게 인기를 끈 ‘사이언스웩’이다.사이언스웩은 사이언스(이상곤)와 웩(이경오)이 즐기는 과학 문화를 만들기 위해 결성한 국내 ... ...
- 수학으로 흔들어봐! 매스댄스수학동아 l2019년 03호
- 미국여성수학자협회 같은 단체의 학회에서 동료 대학원생에게 자신이 만든 매스 댄스를 소개하는 강연을 하고 있다. 2019년 2월에는 미국 국립과학재단이 주최하는 수학 영상 대회에 지원하기 위해 두 번째 매스 댄스 영상을찍었다. 쉐리치는 “매스 댄스를 통해 수학을 싫어하는 사람들이 수학에 ... ...
- [동아리탐방] 수학 보드게임 들고 전국으로! 거제연합수학동아리수학동아 l2019년 03호
- 제작했다. 또 게임을 반복하면서 걸리는 시간과 고칠 점을 확인하고, 게임하는 방법을 소개할 때 쓰는 설명서도 만들었다. 이렇게 만반의 준비를 했지만 다양한 사람들이 게임을 하면서 돌발 상황들이 생겼다. 오승윤 군은 “게임을 하러 온 사람들이 무리수 개념을 잘 모르는 경우가 많았는데, 굳이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영화 ‘그래비티’의 모티브가 된 인물, 케이디 콜먼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사진으로 무중력을 쉽게 설명하고 있다. 플루트 선율로 우주를 노래하다지난 호에 소개했던 우주인 니콜 스탓(Nicole Stott)이 그림으로 우주를 가깝게 느끼게 만들었다면(2019년 1월호 참조), 케이디는 이를 음악으로 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사실 나와 케이디가 가까워진 계기도 음악이었다. 200 ... ...
- 아무렇게 뽑아 더해도 같은 집합일까? 에르되시의 합의 추측수학동아 l2019년 03호
- , 7, …이나 5, 9, 13, 17, …처럼 이웃한 두 항의 차이가 항상 일정한 수열을 말합니다. 앞서 소개한 예는 1927년에 증명된 판데르바르던의 정리의 특수한 경우입니다. 심지어 등차수열에 속한 수를 3개가 아니라 아무리 큰 수로 고정하더라도 이게 참이라는 것을 네덜란드 수학자 바르털 레인더르트 ... ...
- [수학공부 꿀팁]수학자가 되어 π를 발견하다!수학동아 l2019년 03호
- 14일 π-데이를 맞이해 배숙 수석교사가 매년 직접 기획하고 진행하는 π-데이 행사도 함께 소개한다!당신은 π에 대해 잘 알고 있는가? π는 원의 지름에 대한 원의 둘레의 비다. 즉, 지름이 1인 원의 둘레를 원주율이라 부른다. 원주율은 순환하지 않는 무한소수로 대략 3.1415926535…다. 원의 크기가 크든 ... ...
- 스티븐 호킹 서거 1주년, 먼지가 된 호킹과의 대화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정리했습니다.) Q. 지난 12월 당신의 마지막 연구 논문이 나왔습니다. 어떤 내용인지 소개해 주시겠어요?블랙홀로 빨려 들어간 정보가 어디에, 그리고 얼마나 있을 수 있는지 알아보는 연구였습니다. 2016년부터 저와 같은 곳(영국 케임브리지대)에서 연구하던 맬컴 페리와 대학원생인 사샤 하코, ... ...
- [화보] 헝가리에서 날아온 유럽 나비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보내온 유럽 나비 사진을 소개한다.●인터뷰 " 나비 백과사전 내고파"_아담 고르Q 자기소개 부탁합니다.저는 헝가리에서 유일한 수의대인 부다페스트수의대 생태학부에서 연구하고 있는 대학원생입니다. 헝가리를 비롯해 유럽에 서식하는 나비들을 살펴보고 있으며, 특히 작은모시나비(Parnassius ... ...
- [이달의 책] 주변을 둘러봐 과학은 어디에나 있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이분법으로 나눌 수 없는 복잡다단한 과학의 면면과 윤리적 쟁점을 대중문화를 통해 소개한다.과학 지식은 배우는 것만으로도 재밌을 수 있다. 하지만 저자의 시도처럼 여기서 더 나아가 우리가 ‘앎’과 ‘삶’을 좀 더 일치시킬 수 있을 때, 배움이 더 빛이 나지 않을까. ● 인간은 생각하는 ... ...
이전1491501511521531541551561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