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설
원리
주의
체계
설
원론
견해
d라이브러리
"
이론
"(으)로 총 4,885건 검색되었습니다.
일반상대론 100주년 독자설문조사 “물리학의 가장 위대한 발견은?”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2015 일반상대성
이론
100주년 기념 독자설문조사에 참여해주세요.투표결과는 2015년 1월호 ‘일반상대성
이론
’ 특집기사에서 공개합니다. ...
[hot science] “내가 만만해 보여?” 양자역학의 굴욕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소위 양자의학이라는 것은 의학계에서도 물리학계에서도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사이비
이론
일 뿐입니다. 안타깝게도 오늘날 양자 혹은 퀀텀이라는 단어는 있어 보이기 위해서 흔히 가져다 쓰는 마케팅 용어가 됐습니다. 저희 동네에 있는 ‘양자 치료기’ 업체도 마찬가지일 가능성이 큽니다. ... ...
[career] “3D 프린터로 하늘 나는 새를 만든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어떤 분야를 연구하나요?A 컴퓨터공학은 크게 세 가지 분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계산
이론
분야는 컴퓨터의 계산 능력을 끌어올리기 위한 연구를, 컴퓨터 시스템 분야는 컴퓨터의 구성과 동작을 공부합니다. 소프트웨어 분야는 사람과 컴퓨터가 효과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방법을 찾습니다.그 중 ... ...
PART 2 블랙홀 속 수학여행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이론
을 응용해 특수상대성
이론
을 발전시킨 일반상대성
이론
을 발표했고, 결국 블랙홀
이론
의 밑바탕을 쌓았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빛나는 블랙홀 검은 구멍의 수학적 재구성PART 1 한 눈에 보는 블랙홀PART 2 블랙홀 속 수학여행PART 3 웜홀 타고 우주여행 가능할까 ... ...
PART 1. 일본 노벨상의 비결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연구소를 만들었다. 이 연구소는 1990년 히로시마대
이론
물리연구소와 합병해 유카와
이론
물리학연구소가 됐다. 2008년 물리학상을 받은 마스카와 교수가 바로 이 연구소의 소장 출신이다. 재미있는 것은 마스카와 교수가 물리학을 하게 된 계기다. 그는 나고야대 출신인데, 고등학생 때 과학잡지에서 ... ...
[knowledge] 생명의 양자도약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생명체 내에서 결맞음을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 더구나 양자 중력까지 등장하는 그의
이론
은 지나치게 앞서 갔다는 평가가 많다. 양자 중력은 아직 아무도 알지 못하는 물리학의 성배이기 때문이다.진화의 역사를 보라. 양자역학이 생존에 이익이 된다면 생명은 이를 반드시 이용했을 것이다. 아직 ... ...
[시사] 반 고흐 위대한 유산의 비밀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알아내 훼손된 그림을 복원하거나, 모사품을 구별할 수 있다.물론 아직까지 수학
이론
으로 완벽하게 그림을 복원하고, 모조품을 구별할 수 있는 단계는 아니다. 그러나 수학으로 진짜 명화를 오랫동안 감상할 수 있는 날이 가까워지고 있음은 분명하다 ... ...
[수학뉴스] 도시의 형태를 수학으로 비교한다?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런데 이 사실을 수학적인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을까.프랑스
이론
물리학 연구소의 수학자 레미 라우프와 물리학자 마크 바르텔레미는 미국과 유럽의 주요 도시 형태를 수학적으로 비교 분석해, 그 결과를 ‘영국왕립학회지 인터페이스’ 10월 8일 자에 발표했다.두 ... ...
Part 2 테러리스트 검거, 데이터 분석이 책임진다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어떤 관계에 있는지 알아내기 위해 점과 선으로 연결망을 그리는 것이다. 이때 그래프
이론
이나 선행대수, 확률통계를 이용해 연결망의 구조를 분석한다. 그러면 핵심인물과 조직 규모 등을 알 수 있다.그렇다면 크렙스는 테러리스트 조직도를 어떻게 만들었을까? 먼저 그는 방송 뉴스와 신문에 나온 ... ...
PART 2. 물리학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질화갈륨(GaN)이라는 물질이 떠올랐다. 질화갈륨으로 파란색 LED를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을
이론
적으로 처음 밝혀낸 사람이 바로 나고야대의 아카사키 이사무 교수와 아마노 히로시 교수다. 아카사키 교수는 1974년부터 질화갈륨에 관심을 갖다가 1981년 나고야대 교수로 부임하면서 본격적인 연구를 ... ...
이전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