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늘"(으)로 총 3,744건 검색되었습니다.
- 찌릿찌릿, 따끔따끔! 정전기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4호
- 이번에는 하늘색이 특이하다는 제보를 듣고 북극으로 달려왔습니다. 도착해 보니 하늘을 알록달록하게 만드는 주인공, 바로 오로라가 펼쳐져 있군요. 태양에서부터 날아온 ‘플라즈마’가 바로 오로라를 만드는 주인공입니다.플라즈마는 아주 높은 온도나 전압 때문에 기체에서 전자가 분리되어 ... ...
- 과학을 그린 화가 홀바인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4호
- 시간을 재는 기구들이 발명되었고, 시간은 측정해야할 대상이 되었지요. 또한 하늘의 별들은 관측의 대상이 되었고요. 지도 제작자들은 여러 기구 등을 이용해 정확한 지도를 만들었어요. 이처럼 그림 속 도구들은 천문학과 항해술 등 르네상스 시대에 발달한 과학은 물론 사회의 모습을 보여 주고 ... ...
- 애벌레의 36계 줄행랑과학동아 l2011년 04호
- 몸길이는 100mm 내외. 몸은 연두색이다. 어린 애벌레 때는 연두색인 숨구멍이 종령이 되면 하늘색으로 변하면서 꼬리 돌기도 짧아진다. 등면에 톱날 형태의 흰색 줄무늬가 두 줄 있으며 번데기를 틀 때가 되면 흰색 줄무늬 사이의 색이 연보라 색으로 변한다.] [질경이를 먹는다. 종령 몸길이는 55mm ... ...
- '거짓말 없는 세상' 에서 수 읽기수학동아 l2011년 04호
- 가까운 값, 즉 근삿값을 사용했을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만약 그 수를 셀 수 있어서 ‘하늘의 그분이 쓰나미로 4만 4219명을 죽이다!’ 라고 썼다면 이 영화에 훨씬 더 어울리지 않았을까?꼭 참값을 몰라도 되는 경우확실한 것은 거짓말을 하지 않는 나라에서 ‘4만여 명’ 이라는 말이 결코 어울리지 ... ...
- 천체망원경 제작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1년 04호
- 관측의 순간 직접 목성을 보는 희열은 더욱 짜릿했다. 해가 진 직후약간 푸르스름한 하늘에서 목성만이 하얀점으로 관측된다는 게 매우 신기했다. 목성이 얼마나 밝은지 확실히 실감했다. 또 목성의 위성이 대각선으로 늘어서 있는 모습이 신기했다. 토성의 띠, 목성의 위성들과 같이 모든 ... ...
- 옥수숫대에 얼음종이 맺혔네과학동아 l2011년 04호
- 기상청이 3월 23일 세계기상의 날을 기념해 기상사진전을 개최했다. 이번 사진전에 응모한 작품은 총 1401점으로 이 중 50점이 입상했다. 최우수상 작품은 옥수숫대에 ... 하늘 한정임큰 비구름이 서울 도심부에 집중 호우를 뿌리고 있다. 빗줄기가 마치 땅에서 하늘로 올라가는 통로 같다. ... ...
- 직업에서 취미를 찾은 ‘기상의 달인’과학동아 l2011년 04호
- 때보다 멀리 떨어져 있을 때가 기온이 높은지, 우주선을 타고 지구 대기권을 벗어나서 하늘을 바라보면 무슨 색을 띠는지 설명한다. 구름 그려진 우표를 가지고 권운, 적운, 층운 같은 구름의 이름을 누가 지었는지와 같은 역사의 한 페이지도 소개한다. 단어의 뜻과 이야기를 듣다 보면 어느새 ... ...
- 메가마인드와 함께하는 사이언스 반전극장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4호
- 반대로 빨간빛은 산란이 잘되고, 파란빛은 산란이 적게 되죠. 이 때문에 화성의 낮 하늘은 붉은색이랍니다. 하지만 저녁에는 지구와 마찬가지로 대기층의 두께가 두꺼워져, 빨간빛은 대기층을 통과하지 못해요. 하지만 비교적 산란이 적게 되는 파란빛은 지면까지 도달할 수 있지요. 그래서 화성의 ... ...
- 내 별은 어디에 있을까과학동아 l2011년 04호
- 한국천문연구원, 국립중앙과학관, 동아사이언스가 공동 주최한 제19회 천체사진공모전에서 신범영 씨가 ‘IC 1396’이라는 작품으로 영예의 대상을 ... 고길웅 ‘호수에 담긴 밤하늘’지난 2월 25~26일 이틀간 강원 화천군에서 찍은 별의 일주운동. 밤하늘과 호수에 오색 별비가 내리고 있다. ... ...
- 화산 신이 남겨놓은 돌기둥 병풍과학동아 l2011년 03호
- 모여 있었다.입석대에 오르니 넓은 앞마당이 펼쳐져 있고, 15~20m의 돌기둥들이 하늘 높은 줄 모르고 힘차게 뻗어 있었다. 정상으로부터 약 60m 아래까지 쫙 깔려 있었다. 이곳에 주상절리가 대규모로 발달한 이유는 용암이 두껍게 수평으로 쌓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약 6000만 년이라는 긴 지질시대를 ... ...
이전1491501511521531541551561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