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화
무비
시네마
영화관
뉴스
"
활동사진
"(으)로 총 1,613건 검색되었습니다.
조선왕조에서 가장 슬픈 이야기를 가진 소년 王
동아사이언스
l
2013.09.02
장릉의 배치도 - 이종호 박사 제공 영월의 장릉은 비운의 왕으로 알려진 제6대 단종(1441~1457)의 능이다. 조선 왕릉은 현재 북한에 있는 2기를 제외하고 대부분 도성인 한양을 중심으로 반경 4~40km에 조영됐다. 그러나 조선 제6대 단종의 장릉(莊陵)은 유일하게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영흥리 산133-1번 ... ...
종이만 있으면 벌새도 뚝딱! 오리가미 초고수를 만나다!
수학동아
l
2013.08.27
한 마리 안나벌새가 활짝 핀 나팔꽃을 만났다. 실제 모습과 꼭 닮은 이 안나벌새는 정사각형 모양의 종이로 만들어진 오리가미 작품이다. 더 놀라운 점은 안나벌새의 몸통(짙은 녹색 부분)은 종이 한 장으로 접어 만든 작품이라는 사실이다. 종이접기 분야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오리가미 창작 ... ...
[신나는 공부]진로목표 생기면 학교성적도 오른다?
동아일보
l
2013.08.27
[동아일보] 자녀 진로교육, 3대 오해와 진실 최근 사회적으로 진로교육이 강조되면서 자녀 진로문제에 관심을 갖는 학부모가 늘고 있다. 자신이 자녀 진로교육에 대한 상식을 얼마나 갖췄는지 궁금한 학부모라면 다음 문제를 풀어보자. [문제] 아래 질문에 O, X로 답하시오. ① 자녀의 진로 결정은 빠 ... ...
왕릉을 앞뒤로 배치한 까닭은?
동아사이언스
l
2013.08.26
인선왕후릉(앞)과 효종영릉(뒤)가 앞뒤로 나란히 쌍릉을 이룬 동원상하릉이다. - 이종호박사 제공 다음해에 왕릉 앞에 인선왕후 능을 써서 좌우로 이웃한 다른 쌍릉과는 달리 앞뒤로 나란히 쌍릉을 이룬 동원상하릉이다. 이와 같은 형태는 조선왕릉 가운데 성북구의 의릉(경종)과 더불어 2개뿐이 ... ...
“혹독했던 영어수업 덕분에 국제바둑연맹 사무국장 됐어요”
동아일보
l
2013.08.26
[동아일보] 우송대 솔브릿지국제대학 졸업한 프로바둑 3단 이하진 기사 6월 17일 우송대 솔브릿지국제대학 4층 강당. 수수한 표정에 해맑은 인상이 눈길을 끄는 여학생이 이날 졸업생 수료식에서 대표로 고별사를 맡았다. 수석의 영광을 차지한 이 학생은 평균 4.5점 만점에 4.4점대 학점을 받았다. 졸 ... ...
[신나는 공부]‘2013 통일문화축제’…온가족 함께 즐길 거리 풍성하네
동아일보
l
2013.08.20
[동아일보] DMZ 자전거 대행진·평화통일염원 걷기대회 가족 나들이에 제격인 10월에는 전국 각지에서 다양한 주제와 이름을 가진 각종 축제가 열린다. 올해는 정전 60주년을 맞이한 만큼 통일을 되새길 만한 축제에 대한 관심도 늘고 있다. 하지만 ‘통일’이 가족 나들이의 주제로 삼기에는 다소 무 ... ...
후지산 폭발가능성, 화산폭발 도미노?… 日시민 ‘공포’
동아닷컴
l
2013.08.20
[동아닷컴] ‘후지산 폭발가능성’ 일본 후지산의 폭발가능성이 제기됐다. 일본 현지 언론은 “후지산 인근에 미세먼지 발생이 급증하고 있다”며 “호수 수위가 낮아지는 등 분화 조짐이 보인다”고 지난 19일 전했다. 일본 당국은 후지산 폭발로 인한 피해 예상 지역의 주민수를 13만 6000명으로 추 ... ...
[신나는 공부]“너도 할 수 있다” 멘토의 한마디에 꿈이 깃든다
동아일보
l
2013.08.20
[동아일보] PASS 진로 멘토 토크콘서트 청소년들에게 대학입시 만큼이나 중요한 것이 진로선택이다. 일찍이 자신의 적성을 깨닫고 꿈과 목표를 설정한 청소년들도 있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가 더 많은 것이 현실. 지난달 20일 진로 고민으로 방황하는 전국의 청소년과 학부모 2500여 명이 경희대 서울 ... ...
고양이나 쥐가 살기 어려운 곳은 사람도 살기 어려운 곳
동아사이언스
l
2013.08.18
세종대왕의 천장 사건은 조상의 기운이 후손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동기감응 혹은 친자감응의 예로서 잘 알려져 있다. 세종의 묘를 잘못 택했기 때문에 조선 초기에 수많은 환고가 있었지만 천장을 한 후에는 지덕 때문에 후손에게 큰 불행을 초래하지 않았다는 뜻이다. 묘택을 잘 쓰면 후 ... ...
왕에게 묫자리 빼앗길 것을 예상했던 이인손
동아사이언스
l
2013.08.14
예종은 당시 평안도 관찰사로 있던 이인손의 큰아들 광릉부원군 이극배(성종 때 영의정)를 조정으로 불렀다. 아무리 왕이지만 사대부의 묘택을 함부로 어찌할 수는 없었다. 예종은 인간적으로 명당 터를 양도해달라고 우회적으로 압력을 가하였고 결국 이극배는 할 수 없이 문중 회의를 열고 선친 ... ...
이전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