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치레
족장
꾸미기
허위
체하기
호주
주인
뉴스
"
가장
"(으)로 총 16,374건 검색되었습니다.
가는 2013년이 아쉽다면 가거도로~
동아사이언스
l
2013.12.25
동남쪽으로 가야 한다. 대망의 2014년 새해 첫 해는 독도에서 7시 26분 23초에서
가장
먼저 떠오른다. 육지에서는 7시 31분 23초 울산 간절곶과 방어진을 시작으로 해를 만날 수 있으며, 서울에서는 7시 46분 46초에 해가 뜬다. 일출이란 해의 윗부분이 지평선이나 수평선에 나타나기 시작할 때를 ... ...
우리나라도 '슈퍼태풍' 안전지대 아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2.25
인적 피해를 줬던 태풍 ‘매미’의 최대 풍속도 60m에 불과했다. 필리핀 내에서도
가장
피해 규모가 큰 지역은 중부 레이테 섬의 주도 ‘타클로반’이었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하이옌 상륙 하루 만에 이 지역에서만 100명 이상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복구 작업이 진행되면서 희생자 수도 ... ...
제돌아, 지금은 행복하니?
과학동아
l
2013.12.25
암흑에너지의 미래까지. 과학동아가 올 한해 보도한 수많은 기사 중에서 독자들에게
가장
사랑받았거나 화제를 낳은 기사 5개를 골랐다(편집장이 결정한 것도 있다). 독자들의 인기도 많았고, 화제도 풍성했지만 무엇보다 하나하나 이슈에 충실했다. 과학동아는 내년에도 사회와 과학계 이슈를 ... ...
인간 배아줄기세포 복제…생명공학 소용돌이
동아사이언스
l
2013.12.23
과학계 인물로 선정되기도 했다. 배아줄기세포는 수정란이 분열하면서 만들어지는
가장
초기의 줄기세포로 근육은 물론 신경세포 등 몸을 이루는 어떤 세포로도 분화가 가능하다. 이 성질을 이용하면 신경세포가 사멸하며 생기는 파킨슨병을 치료하거나 이식용 장기를 만드는 데도 쓸 수 있다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
동아사이언스
l
2013.12.23
Cetus)를 설립했다. 1980년대 이 회사를 다니던 괴짜 화학자 캐리 멀리스는 생명과학 분야의
가장
혁신적인 기술의 하나인 PCR(중합효소연쇄반응)을 발명했고 1993년 노벨화학상을 받았다. 분자생물학도 시들해진 글레이저는 1980년대 초 안식년을 맞아 롤랜드연구소의 에드윈 랜드 박사 실험실에 ... ...
숫자 감각, 생후 6개월에 결정된다?!
수학동아
l
2013.12.23
세지 않고 어림하여 알아맞히도록 했다. 그리고 IQ 테스트를 비롯해 아이가 셀 수 있는
가장
큰 수를 확인하는 시험 등을 보았다. 그 결과 생후 6개월 시점에서 숫자가 바뀌는 화면을 더 오래 응시한 아동들이 3.5세가 됐을 때 숫자에 대한 이해가 더 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브라논 교수는 “이 ... ...
생명 과학의 역사를 송두리째 바꾼 주인공 알고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3.12.22
소프트웨어로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문화실험을 도운 것은 바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예술전문지라고 할 수 있는 ‘공간’덕분이다. 김종필이 격려금으로 내놓은 100만 원짜리 수표 2장을 밑천으로 고 김수근이 1966년 11월 창간된 공간은 당시 문화 불모지였던 우리나라에 국내외 문화계 경향을 ... ...
네이처 선정 2013년 10대 과학자
동아사이언스
l
2013.12.22
밝혀낸 미국 존스홉킨스의대 바이러스학자. 마이클 메이어 - 지구와 질량·크기가
가장
유사한 행성 ‘케플러-78b’를 비롯해 수백 개의 외계행성을 찾아낸 스위스 제네바대 천문학과 명예교수. 나데레프 사노 - 11월 8~9일 초강력 태풍 ‘하이옌’이 필리핀을 강타하자 UN에서의 연설, 금식 ... ...
진실을
가장
한 거짓 '시모니니' 여전히 존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2.22
채우기 위한 또 다른 계획을 구상하는 일련의 과정이 메타인지와 연관돼 있다. 인간과
가장
가깝다는 침팬지조차 갖지 못한 인간만의 특별한 능력인 셈이다. 책의 마지막에 에코는 “그(시모니니)는 여전히 우리들 사이에 있다”고 밝혔다. 양의 탈을 쓴 시모니니가 존재하고, 그가 만든 가짜 ... ...
혜성 부스러기, 별똥별이 된 사연
동아사이언스
l
2013.12.20
즉 이들은 비교적 ‘어린’ 별똥비인 것이다. 또한 사자자리 별똥소나기의 경우,
가장
이른 시기의 기록은 서기 902년의 것이며 필자의 분석에 의하면 당나라시대의 기록에는 별똥비가 나타나는지 확신이 없다. 잘 알려진 사실은 사자자리 유성우는 그 어미혜성(모혜성)의 공전주기가 33년인 ... ...
이전
1537
1538
1539
1540
1541
1542
1543
1544
15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