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로
길거리
거리
가로
노선
항로
경로
d라이브러리
"
길
"(으)로 총 5,256건 검색되었습니다.
[생활] 대구 대명중 김동우 선생님 친구와 함께 걷는 수학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키우는 교육은 분명 한계에 부딪혔습니다. 물론 경쟁도 필요하죠. 하지만 같이 살아가는
길
을 고민하는 게 먼저 아닐까요? 더 이상 수학 수업이 수포자를 만드는 시간이 돼선 안 돼요. 적어도 학교 수업만큼은 모두 같이 갈 수 있는 시간이 돼야죠 ... ...
[수학뉴스] 힘센 쪽이 이끄는 물방울 춤
수학동아
l
2015년 05호
어떤 물방울은 힘을 가하지 않아도 춤을 추듯 스스로 움직입니다. 때론 다른 물방울 사이로 미끄러져 합쳐지기도 하지요. 최근 물방울마다 표면장력과 증발 속 ...
길
이 비. 코사인 60°는 한 각이 60°인 직각삼각형에서 60°인 각을 끼고 있는 밑변의
길
이를 빗변의
길
이로 나눈 값을 말한다 ... ...
[Hot Issue] ‘멍~ 때리는 동물?’ 파충류는 억울해
과학동아
l
2015년 05호
자신이 지나갔던
길
을 정확하게 기억해가면서 8개의 먹이를 모두 먹어 치웠다. 이는 같은
길
을 실수로 몇 번씩이나 오가며 먹는 쥐보다도 뛰어난 결과였다. 파충류의 기억력은 결코 낮은 게 아니었다!문제해결능력은 어떨까. 미국 듀크대 마뉴엘 릴 교수는 푸에르토리코 아놀도마뱀을 이용해 실험해 ... ...
[과학뉴스] 원숭이 vs 침팬지, 미로 탈출 승자는?
과학동아
l
2015년 05호
겪었다. 어린이의 경우 미로를 찾아가는 방식에서는 원숭이와 비슷한 실력을 보였지만
길
찾기 성공률은 침팬지와 비슷했다. 이 연구 결과는 ‘비교심리학지’ 3월 23일자에 실렸다 ... ...
[Hot Issue] 한국말 일취월장 사랑이, 생각도 한국식으로?
과학동아
l
2015년 05호
대상으로 실험을 해봤다. 언어특성상 영어와 독일어는 차이가 크다. 영어가 ‘나는
길
을 걷고 있던 중이었다’처럼 행동에 초점을 맞춘다면, 독일어는 ‘나는 집에서 학교로 가던 중이었다’처럼 출발지와 도착지(즉 목적)에 초점을 맞춘다. 이중언어 사용자는 그 중간쯤의 특성을 보인다 ... ...
[Life & Tech] 영어 공부에서 해방되는 그 날 올까?
과학동아
l
2015년 05호
가정에서 외국에 사는 배우자 가족과 통화 할때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물론 아직은 갈
길
이 멀다. DB를 쌓아 번역 성능을 높이고 자연어 인식률을 높이는 것 외에도 할 일이 많기 때문이다. 요소 기술을 서로 연결하는 중간 기술을 개선하는 연구가 대표적이다. 자동통역을 연구하는 과학자들도 당장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5호
길
경(도라지
길
, 줄기 경)감기에 좋다고 알려진 도라지는 뿌리가 단단하고 곧아서 ‘
길
경’이라고 부르며, 옛날부터 감기나 부인병, 상처 치료 등 다양한 질환에 약재로 쓰였다. 심지어 흉년이 들었을 때는 구황작물로 이용되기도 했다. 도라지에서 우리가 주로 이용하는 뿌리가 흰색이기 때문에 ... ...
[Life & Tech] 너는 나의 봄이다
과학동아
l
2015년 05호
길
이 옛날에 서울가정법원 가는
길
이라 이혼하려는 부부가 많이 지나갔대. 그래서 돌담
길
을 같이 걸으면 헤어진다는 속설이 생겼다고 하더라.” 소년이 별안간 진지한 얼굴로 덧붙입니다. “우리는 평생 알콩달콩 행복하게 살자. 알았지?” 갑작스런 고백에 소녀 얼굴에 웃음꽃이 피었냐고요? ... ...
[과학뉴스] 약지 긴 남자, ‘체력’도 강하다
과학동아
l
2015년 05호
20% 가까이 기록 차이를 보인 셈이다. 연구팀은 성호르몬을 원인으로 주목했다. 약지의
길
이는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의 영향을 받는다고 알려져 있다. 롱맨 교수는 “태아 때 남성호르몬에 더 많이 노출될수록 지구력이 좋다”고 설명했다 ... ...
[Knowledge] 불완전한 자연미인 다이아몬드
과학동아
l
2015년 05호
다이아몬드가 반짝이려면 입사한 빛이 밖으로 새어나가지 않고 되돌아 나오도록 정밀한
길
이와 각도로 연마해야 한다. 만약 연마가 정밀하지 못하면 빛이 뒤로 빠져나가 버린다. 우리가 흔히 떠올리는 다이아몬드 모양은 1919년 폴란드의 다이아몬드 가공 장인인 마르셀 톨코우스키가 발명한 ... ...
이전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다음
공지사항